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5

        61.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시에서 발생되는 생활폐기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폐자원에너지화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기존의 도시형 생활폐기물 처리방식은 매립을 통해 관리하였으며 현재까지도 집중적인 관리대상이다. 특히 매립지 인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폐기물 매립으로 인해 발생되는 매립가스는 온실가스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계획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도시의 인구 밀도의 증가로 인해 매립에 의한 폐기물 관리는 더 이상 효과적인 처리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도시형 생활폐기물 관리가 필요하다. 폐기물을 유용자원으로 전환을 위해서는 폐기물의 발생 단계에서부터 운송, 취급 및 저장 그리고 관리방안까지 최적의 활용계획을 세워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을 유용자원으로 효과적인 관리 시스템을 계획하기 위해 선형정수계획법을 도입하여, 도시단위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종류 및 발생량 그리고 처리방법에 대한 통계자료와 폐기물의 성분분석과 발열량의 실측분석을 통해 최적화 계획을 실시하였다. 최적화 설계는 선형계획법을 통해 폐기물 처리기술에 대한 기술투자비, 온실가스 감축효과 등을 목적함수(Objective function)로 두어, 해당지역에서의 에너지 사용현황과 온실가스 발생량을 정량화하여 폐기물의 에너지전환계획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였다. 제시된 방법론은 매립의 대안으로 도시형 생활폐기물을 다양한 유용자원으로 전환 방안을 소개함으로써 폐자원에너지화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62.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디자인은 하나의 조형으로써 내제된 함축적 정보를 갖고 인간은 그를 통하여 디자인을 이해하고 사용하게 된다. 사물이 가 지고 있는 구조로 평가되는 인식적 차원에서의 기능, 즉 디자인 제품을 마주하는 순간 느끼는 감정이나 인상이 소비의 중 요한 단서가 되고 있으며 이것은 곧 정보(Information)로 받아들여진다. 이러한 디자인에 내제된 함축적 정보는 기업의 디 자인경영 전략이나 전술에 따라 달라지며 이를 통하여 기업의 정체성이 구축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기업정체성에 따라 그에 맞는 함축적 정보를 디자인에 담아낼 수도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세계적 도자기 회사인 웨지우드(Wedgwood)사 와 로젠탈(Rosenthal)사의 디자인경영 전략과 디자인 제품이 가지고 있는 함축적 정보에 대한 조사, 분석, 비교를 통하여 그들의 도예 제품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디자인경영 전략과 디자인 함축적 정보와의 관계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디자인에 내제된 함축적 정보를 규명하기 위해 학부생과 대학원생 52인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신고전주의를 기업 철학 및 정체성으로 디자인경영 전략을 펼치고 있는 웨지우드(Wedgwood)사의 경우의 디자인에 내제된 함축적 정보는 체 험적, 감성적이고 은유적이며 모호함과 복잡함을 띄고 있었고 디자인의 범위는 다양하였으며 반면에 기능주의, 제품 프로 세스를 중심으로 제품 정체성을 통한 디자인경영 전략을 펼치고 있는 로젠탈(Rosenthal)사의 경우 그 반대의 성향을 나타 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디자인경영 전략에 따라 디자인 함축적 정보는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 의 결과는 기업들이나 디자이너들이 디자인경영 전략을 구축하는데 참조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63.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디자인경영은 학계나 산업에서 더 이상 생소한 용어가 아니며 그 중요성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다. 현재, 인간경험디 자인 방법론, 서비스 방법론 등 경험을 중시하는 디자인 경향이 나타나면서 디자인 필드에서는 디자인경영은 조금은 시대를 지난 트랜드처럼 인식되어지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대기업들의 경향을 보면 사용자나 소비자들에게 보다 낫은 경험을 통한 만족을 제공하기 위하여 디자인을 통한 사용자경험, 브랜드경험, 서비스경험 등이 향상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이는 디자인경영의 시대가 지났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20세기 제조업 중심으로 발전되었던 디자인경영이라는 분야가 서비스 업 중심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에 이 논문은 20세기와 21세기 현재에 걸쳐 디자인경영의 시대적 변천에 관하여 인과적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디자인경영과 그 요소의 확장성과 축적성에 관하여 고찰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인 시각으로 디자인경영을 분석해 봄으로써 독자들의 디자인경영의 확장성과 축적 성에 대한 쉬운 이해와 개념을 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디자인경영은 실행적, 전술적, 전략 적, 창조적, 사회 문화적의 다섯 가지의 활동으로 축적 및 확장되었고, 그 요소는 기능성, 유용성, 심미성, 사용성, 직관성, 혁신성, 정체성, 경험성, 창의성, 감성, 사회성, 문화성, 융합성의 열세가지의 요소들로 확장 및 축적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64.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velop various usable water from coal seam gas (CSG) water that needs to be pumped out from coal seams for methane gas production, a feasibility study was carried out, evaluating and analysing a recent report (Coal Seam Gas Water Management Policy 2012) from Queensland State Government in Australia to suggest potential CSG water treatment options for fit-for-purpose usable water production. As CSG water contains intrinsically high salinity-driven total dissolved solid (TDS), bicarbonate, aliphatic carbon, Ca+2, Mg+2 and so on, it was found that appropriate treatment technologies are required to reduce the hardness below 60 mg/L as CaCO3 by setting the reduction rates of Ca+2, Mg+2 and Na+ concentrations, as well as TDS reduction. Also, Along with fiber filtration and membrane separation, an oxidation degradation process was found to be required. Along with salinity reduction, as CSG water contains organic compounds (TOC: 248 mg/L, C6 -C9: <20 mg/L and C10 - C36: <60 mg/L), compounds with relatively high molecular weights (C10 - C36) need to be treated firs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combined system design with filtration (Reverse osmosis) and oxidation reduction (electrolysis) technologies, offering proper operating conditions to produce fit-for-purpose usable water from CSG water.
        65.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 강우사상의 빈번한 발생과, 도시화로 인한 토지이용의 변화로 도시유역의 침수피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도시에서의 홍수배제는 우수관거에 의존하고 있으며, 대부분 집중호우의 발생이후 하수도 시스템의 용량부족으로 침수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유역의 침수방지를 위한 내수배제시설에는 배수문, 배수펌프, 유수지, 우수관거 등이 있다. 도시유역에서의 침수피해는 지역 물 순환을 고려한 내수배제를 위해 내수 및 외수를 함께 고려하여야 하고, 유역의 재산상 피해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원활한 홍수량 배제 및 침수피해의 감소를 위해 각각 시설별 정확한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습침수가 발생하는 도시유역으로 서울시의 도림천 유역을 선정하였다. 도림천 유역은 최근 폭우발생시 침수 피해가 빈번히 발생한곳이다. 도림천 유역은 관악산에서 발원하여 관악구, 구로구, 동작구등 도심지를 관통하며 하천의 일부가 복개되어 도로로 사용되고 있다. 도림천 유역은 총 17개의 배수분구로 구분되어 있으며, 침수피해는 복개되지 않은 부분에서의 하천의 범람, 하수관거 및 펌프장의 내수배제 불량 등의 원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한 곳은 신림3, 4 배수분구이며, 이러한 도림천 유역에 대하여 내수배제시설의 효율을 알아보기 위해 적용 가능한 내수배제시설을 선정하고, 시설별 내수 침수 저감율을 산정하였다. 불투수율이 높은 도시유역 유출특성을 고려한 홍수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 도시유출모형인 SWMM 모형을 이용하여 관거에서 우수의 흐름을 모의하였고, 이 결과 발생한 월류량을 홍수범람해석 모형인 FLUMEN의 입력자료로 사용하여 범람해석을 실시하였다.
        66.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is study illustrates research product industrial engineering, which needs to be promoted to encourage knowledge intensive businesses. Research traditions related to industrial business products and a fuzzy multi criteria decision approach in technology management for product design industries have undergone continuous changes over time. However, there is no clarity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there is a need to reform business enterpris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Using fuzzy theory and appraising multi-goal plans, the manner of promoting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industrial businesses is analyzed using a case study. In the case study, various aspects are examined, such as product design and manufacture, fuzzy set decisions with multi attribute policy making, flaws in the present system, and a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Results - New fuzzy and multi criteria designs can improve the existing keyboard by solving product problems, resulting in a clear and durable typeface for a creative LED keyboard. Conclusion - Using a fuzzy set with multi attribute policymaking influences the achievements appraisal system and can help achieve the anticipated strategy goal of product design.
        67.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소기업이 디자인경영을 통하여 성과를 이룬 사례이다. 대상기업은 디자인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현지고객의 요구를 제품에 연계하는 과정을 체계화 하였다. 디자인 컨설팅사는 디자인경영을 위한 컨설팅을 바탕으로 거둔 신뢰와 협력 관계를 유지하게 되었다. 이번계기를 통한 경영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경영이 중소기업의 핵심역량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경영진과 개발에 참여했던 직원들이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를 전체 개발계획에 반영하는 등의 체계적인 개발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셋째, 이번 과정을 통하여 해외 사업에서 경영의 현지화, 현지고객의 이해 그리고 현지화 디자인의 3가지 요소를 시스템화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제조업 기반의 중소기업과 디자인경영에 참여하는 디자인경영 전문 컨설팅사를 통하여 디자인을 중심으로 비전을 만들어 가는 사례를 LED TV 제품디자인 개발과정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68.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디자인경영은 약 30년의 노력을 통하여 원론적인 연구 기반을 구축하였다고 볼 수 있다. 디자인경영 정책 및 기반 구축, 대기업 사례, 중소기업의 가이드라인 그리고 인력과 조직, 체계 중심에서 전략 중심으로 연구를 말한다. 이제 중소기업의 실질적인 디자인경영 도입을 위한 사례별 연구가 절실하다. 이런 다양한 사례 연구를 통하여 기업의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특성별로 구체적이고 책임감 있는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제조업 중소기업인 드림라이트는 대기업과 유사한 최고경영자를 중심으로 하는 경영, 브랜드, 마케팅, 소비자, 기술, 스타일 6가지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는 독특한 종합형 디자인경영체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 대기업과 다른 내부 외부의 전문가 집단을 통한 최고경영자에게 조언이 가능하게 하면서, 내부 과정과 조직을 소기업에 맞게 효과적으로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국내 제조업 기반의 소기업의 최고경영자를 조언하는 전문가 집단을 통하여 디자인을 중심으로 하나의 비전을 만들어 가는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69.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sign the program that can effectively support the port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for to reduce maintenance costs, to ensure the safety and to extend the age of the facilities(docking facilities, counter facilities, pavement etc.) by effective repair at the optimum time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rogram was designed by considering the business processes of the system. The program was divided into the database and the operating programs, and composed of a total of five modules.
        70.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선박 추진시스템 설계를 위한 제품정보관리(Product Data Management, PDM) 시스템의 구현 사례를 소개하였다. 객체 지향 모델링 언어(Unified Modeling Language, UML)를 이용하여 중소형 선박 추진성능 추정 시스템을 설계하였으며, 프로펠러의 3차원 디지털 모크업(Digital Mock-Up, DMU)을 중심으로 제품정보를 구축하였다. 또한 설계 과정에 필요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Modeling & Simulation, M&S) 기술을 PDM 시스템과 통합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 추진기 및 축계 설계 검증 모델을 동시에 구현하였다. 시스템 개발에는 Open Scene Graph(OSG) 라이브러리 및 객체 지향 시스템 개발 도구를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설계 검증용 M&S 소프트웨어와 PDM 시스템을 연동한 구현 사례를 보임으로써 추진성능 추진 시스템의 개발환경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71.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전국에 설치된 CCTV는 무려 200만대(소방방재청 5200대, 경찰청 6000대, 지자체 31만대, 민간 170만대)가 넘어 보급대수로는 세계 최고수준이다. 하지만, 정작 문제는 양적성장 일변을 고집할 뿐, 실질적인 운용상의 효율성 제고를 간과하는데 있다. 다시 말해, CCTV 설치대수도 중요하겠지만, 어디에 어떤 목적으로 어떤 제원을 설치하고 특히, 과거에 기록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명확히 판독하는지 등 용도별 목적에 맞게 적정하게 설치되었는가에 대한 관리상의 검토가 미흡하다는데 있다. 특히, 재난관리라는 목적의 경우는 국민의 인명과 재산에 결부되어있다는 점에서 더욱 민감도가 높다고 할 것이다. 지난 2009년부터 소방방재청에서는『재난관리용 CCTV를 통합·연계사업』과 병행하여 재난상황시 CCTV영상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 심도 있는 검토를 추진해왔다. 전국 232개 시·군·구의 약 5,400여대의 재난관리용 CCTV를 연계해 공동활용 및 연계체계를 구축함으로써 현장 상황정보를 실시간 제공하고 특히, 재난유형별로 자동 위험알림기능을 제공해 재난을 사전에 예방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이마져도 CCTV의 설치에 대한 정확한 지침과 근거, 최적의 입지조건과 사양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미흡으로 정작 재난상황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적합한 CCTV의 운영이라 하기엔 부족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재난관리용도로 설치된 CCTV를 대상으로 GIS를 이용한 공간분석을 통해 최적의 입지조건 설계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또한, 테스트베드를 통하여 재난관리용 CCTV가 갖추어야 할 제원(각도, 거리, 위치 등)에 대해 최소한의 조건에 대해 분석하였다. 아울러, 향후 재난관리를 목적으로 운영되는 CCTV 설치 및 운영에 필요한 진단, 분석, 평가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72.
        200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난 몇 년 동안, 해안지역에서 산업의 발달과 인구증가로 인해서 육지에서 방출되는 오폐수의 정화 처리 방법이 중요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처리방법으로는, 1차 처리 또는 2차 처리된 것을 수중 방류관을 통해 해안이나 심해 또는, 그 중간지점에서 방출되는데, 오폐수가 방출되면 주변의 해수를 연행하여 플룸, 제트 또는 부양성 제트의 형태로 해수면까지 상승하면서 많이 희석된다. 본 연구는 해양환경관리 및 오폐수 처리에 관한 의사결정과정에서 중요한 해양방류관 설계를 다룬다. Cormix 모델에 조위의 변화와 계절변화에 의한 몇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방류수의 궤적과 희석을 다룬다. 본 연구는 방류수의 효과석인 관리를 위한 기본 데이터와 일반배치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73.
        200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 및 처리를 위하여 XML이 웹 기반 웅용 시스템 에 적용되었다. 또한, ASP는 쉬운 웹 기반 프로그래밍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UML은 시스템 모델링 기법의 새로운 대안으로 연구되고있다. 이에 관하여, 본 논문에서는 XML, ASP, UML을 이용하여 학생 수강신청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는, 학생모드와 관리자 모드로 구성되었으며, 효과적인 데이터 관리 및 처리를 위한 XML을 이용하였다. 또한, 시스템 분석 및 설계를 위하여 UML을 이용하였으며, 전체 시스템은 ASP로 구현하였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는 MS-ACCESS를 이용하였으며, 웹 문서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Java Script 언어를 사용하였다.
        75.
        199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t a farm village stream. The framework design of the system and the ecological monitoring of a test watershed were carried out, The system consists of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database, pollution source management, water quality and hydrologic analysis. Suri watershed located on Idong, Yongin city, Kyunggi Province, was selected as the test watersh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system. The fifteen's monitoring stations were chooses at up- and down-stream of the watershed. The results of an aquatic ecological monitoring were analyzed by the GPI(Group Pollution Index) method. The GPI revealed that water quality was varied within the stream. GPI and DO map for the watershed stream were developed, These maps facilitated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water quality.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