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9

        61.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태블릿PC의 활용 유형 및 중재효 과를 분석하여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치료 중재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태블릿PC 및 소프트웨 어의 활용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0년부터 2015년 12월까지 국외 학술지 검색 시스템을 사용하였고 주요 검색용어로는 ‘tablet PC’와 ‘intellectual disabilities’로 하였다. 추가 검색어로는 ‘iPad’, ‘iPod’, ‘portable multimedia device’, ‘tablet computer’를 사용하여 총 9개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결과 : 태블릿PC 활용유형에 대한 분석을 한 결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연구(55.5%), 직접 제작 한 멀티미디어 자료(22.2%), 비디오 모델링(11.1%), 디지털 교과서(11.1%)순으로 나타났다. 태블릿PC 의 중재 결과로는 학업수행 향상(33.3%), 과제수행 변화(22.2%), 수업참여(11.1%), 의사소통(11.1%), 사회성(11.1%)에 관련한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지적아동을 대상으로 한 태블릿PC 활용유형 및 중재결과를 제시함으로서 태블릿PC를 중 재에 활용 하고자 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고, 향후 치료 목표 및 중재에 대한 근거를 제시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4,500원
        62.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에서의 장애아동 부모상담 실태를 파악하고 부모의 상담욕구를 확인하기 위한 목 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서울, 경기에 소재한 소아정신과 의원, 복지관, 사설 센터의 작업치료실을 이용하 며 주 1회 이상 작업치료사와 상담을 받은 장애아동 부모 및 가족 177명이었다.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 반적 정보, 작업치료에서의 장애아동 부모상담 실태와 부모의 상담욕구 등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자의 92.0%는 정기적으로 부모상담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상담 시 다루는 내용은 작업치료 과정 및 프로그램 정보, 장애아동의 행동 특성과 대처 방법, 작업치료의 목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순으로 응답하였다. 부모상담의 효과는 자녀의 발달수준과 작업치료의 이해도를 높이고 치료 를 지속적으로 받는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였다. 부모의 상담욕구 중 원하는 상담 내용은 장애아동의 행동특성과 대처방법 제공, 치료과정 및 프로그램 정보제공, 자녀의 발달에 대한 정보제공 순으로 필요 하다고 응답하였다. 부모상담욕구 중 시간 및 시점은 현황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어머니와 아버지가 함 께 상담 받고싶은 욕구가 높았다. 결론 :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작업치료에서의 장애아동 부모상담 시 부모의 욕구를 반영하여 효 과적인 장애아동 부모상담을 계획하고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63.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애인들에게 교육은 한 사회의 시민으로서 소속되어 역할을 담당할 수 있게 하는 바탕이 될 수 있다. 특히 대학교육은 그들에게 삶의 질을 보장하는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들에게 보다 높은 삶과 더 나은 직업을 가질 기회를 제공 하게 되는 것이다. 현재 의 대학교육 환경은 장애인들의 대학생활을 누릴 기회를 제한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대학교육 환경의 물리적인 공간개선이 더욱더 장애인을 중심으로 하는 차원에서 검토되어야 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충청도 소재 대학교 13곳을 선정하여 장애인 편의시설 전수조사표1)를 기준 으로 편의시설, 외부시설, 내부시설의 접근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대학의 편의시설은 특정 장애에 대한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나마 설치시설도 적정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도 많았으며 설치가 되었다 하더라도 관리 소홀로 적절하게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장애인편의시설 기준과 규정을 더욱더 강화하고, 그에 따른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행정적으로도 처벌이 이루어져야 하며, 학교차원에서도 적극적으로 행정적 지원이 되어 장애인들의 교육에 대한 권리에 지켜나가야 한다고 본다.
        6,500원
        64.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위한 욕창예방방석 중재와 방석의 종류 및 효과 측정 방법에 대한 논문 고찰을 통해 임상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자 데이터베이스 RISS, KISS, Scopus, PubMed와 Google Scholar를 사용하여 2010년부터 2015 년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검색 용어로 “Pressure Ulcer AND Wheelchair AND Cushion”을 사용하 였다. 검색된 논문은 3차 분류를 거쳐 최종적으로 13개의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분석 고찰 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는 연구 참여자와 중재로 사용된 욕창예방방석의 종류, 중재가 적용된 환경 그리고 효과 검증을 위해 사용된 측정 방법을 기준으로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논문의 질적 수준은 단일 그룹 실험 논문이 8편으로 가장 많았고 연구 참여자는 비장애인 대상에서 척수손상장애인 대상으로 변화되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연구가 수행된 환경도 실험실 기반에서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연구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욕창예방방석의 종류는 공기방석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나 최근에는 맞춤형 방석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었다. 욕창예 방방석의 효과에 대한 측정 방법은 좌면의 압력을 측정하는 방법이 전체적으로 가장 많았으나, 최근에는 방석 사용자의 사용성과 주관적 만족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증가하고 있다. 결론 : 이번 연구를 통하여 욕창예방방석 중재와 방석의 종류 및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작업치료사의 욕창예방방석 서비스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고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추후에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욕창예방방석에 대한 개발과 연구 및 임상적 서비스 근거 마련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5,200원
        65.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CBPR) approach is recognized in the field of health promotion as a way to optimize intervention for promoting health by taking into account specific social, economical, and institutional situations of the community. However, the CBPR approach has not been applied in the field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Obje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self-perceived satisfaction of therapists and disabilities on the Short-term Intensive Home-based Rehabilitation (SIHR) program developed using the CBPR approach as well as determine the points that need improvement. Method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SIHR program was developed, applied, and evaluated by both the researchers and four therapists on the basis of the CBPR approach. The SIHR program was administered to four disability for 1 hour a day, 2 or 3 times a week, for 8 weeks, and their self-rehabilitation was monitored once a week for 4 weeks. After all intervention perio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for the therapists and disability. Results: The therapists were satisfied with the contents of the SIHR program, such as behavioral change technique and goal-directed training. They were also satisfied with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program through a community network. Disabilities were satisfied with the therapists’ persuasive and emotionally interactive way of delivering the SIHR program as well as the individually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and physical improvement. The short period (8 weeks) of the SIHR program was noted by both therapists and disabilities as the part that needs improvement. Conclusion: The SIHR program developed using the CBPR approach was feasible and satisfying to therapists and disabilities. However, a longer SIHR program should be developed. Community networks could help therapists effectively utilize community resources and thereby provide more rehabilitation program for persons with disability.
        4,500원
        66.
        2015.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장애여성의 차별경험이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수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조사한 장애인고용패널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장애여성 1,620명 중 결측 치를 제외한 1,612명을 대상으로 SPSS 19.0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차별경험과 생활만 족도 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에서 1, 2, 3단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일상생활에서의 차별경험과 생활만족도 간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일상생활의 차별경험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낮게 나타나지만, 장애여성들 스스로가 장애를 인식하고 극복하기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장애여성을 임파워먼트할 수 있도록 실천적 개입방안과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5,500원
        67.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t study, to examine the effects of somatosensory stimulation of the hands on the hand functions and visuomotor coordin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total of 24 session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60 minutes per session, three sessions per week from January 7, 2013 to March 11, 2013. To examine the effects of somatosensory stimulation of the hands on grasping and visuomotor coordination which are sub-areas of PDMS-2, the A-B study design was used which is a single case study method out of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s. Somatosensory stimulation of the hands was show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hand func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omatosensory stimulation of the hands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raw scores and standardized scores of grasping and visuomotor coordination in all the three subject children. Visuomotor coordination functions showed higher scores in post-hoc tests in all three children. In particular, ring throws showed high scores at right 90°, right 45°, center, left 45°, and left 90°among visual directions. In the present study conducted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ing throws were performed to examine visuomotor coordination. In particular, the numbers of successes of ring throws on the front, left, and right were shown to be high. Therefore, somatosensory stimulation of the hands was effective on the hand functions and visuomotor coordination func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4,000원
        68.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장애아동 부모의 재활치료기관 선택과정에서 겪는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고, 선택 과정의 전략을 알아보는 것이다.연구방법:장애아동 부모의 재활치료기관 선택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질적 연구 중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의사로부터 자녀가 장애진단을 받은 후 1년 이상의 재활치료를 경험하였고, 본 연구에 동의한 장애아동 어머니 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일대일 면담방법을 이용하였고, 녹음한 면담내용을 전사하여 분석하였다.결과:연구결과는 의미단위 26개와 구성요소 8개, 그리고 주제 3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재활치료의 필요성, 재활치료기관 이용 시 어려움, 재활치료기관 선택전략의 주제로 분석하였다. 재활치료의 필요성은 장애문제의 심각성을 통해 인지하게 되었고, 재활치료기관 이용 시 어려움은 재활치료기관 이용에 따른 심리적 불편함과 이용 절차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재활치료기관 선택 전략은 치료사의 전문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결론:장애아동 부모의 가장 중요한 재활치료기관 선택전략은 치료사의 전문성이다. 다른 선택전략은 근 거리, 치료비용, 치료시설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애아동 부모들이 겪는 다양한 치료선택과정의 경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과정 중에 발생하는 어려움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관과 현장 관계자들이 장애아동부모들의 욕구를 이해하고 치료기관을 운영하고 자 하는 치료사에게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4,300원
        6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ltimedia game contents is effective and efficient instruction media to support learning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who have attention and learning difficulties. Many education game programs have developed to enhance learning fluency and learner’s interest. These programs also can be applied to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uccessfully. To this, education game program is designed to access all student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is study, to assess and suggest education game program accessibility, 6 education game programs were reviewed through teacher’s recommendation. Also These programs were rated 5 point likert scale by 30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specialists according UDL(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9 guidelines. The results show that well designed education game program applied efficiently to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t need to consider practices to enhance accessibility.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4,000원
        7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적장애인과 같이 발달상의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육체적 및 정신적 건강에 대한 커다란 건강욕구를 가지고 있으나 건강증진이나 의료보건체계의 접근성 면에서 소외되고 있는 대표적인 건강 취약 집단이다. 이들은 사망률, 기대수명, 이환율 및 비만, 간질, 구강보건, 다중투약 등의 영역에서 심각한 건강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예방과 교육 등 의 건강증진활동 및 보건의료전문가들과의 접촉에서도 많은 장벽에 직면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유럽과 미국에서는 지적장애인의 건강격차 해소를 위한 개입의 토대로서 포모나(POMONA) 건강지표 등 지적장애인 건강지표를 개발하였다. 지표들에는 건강 격차의 다중성을 반영하여 건강상태에 관한 항목과 건강행동, 활동, 보건의료의 질 등을 포함하는 건강증진 및 건강관리 접근에 관한 항목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지적장애 인도 다른 사회구성원과 마찬가지로 건강할 권리가 있으며 건강상의 차이가 발생한다면 그와 관련된 요인의 탐구가 필요하다. 건강감시체계의 활용과 의료체계의 접근성 확보를 통하여 지적장애인의 건강형평성을 증진시키려는 보건의료의 흐름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8,100원
        71.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PEO모델을 이용하여 통합교육환경에서 지적장애아동의 학교활동참여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 경기도 여주군내 초등학교에서 지적장애아동 7명, 담임교사 7명, 양육자 7명, 총 21명을 대상으로 2011년 11월 9일부터 11월 18일까지 실시하였다. 학교기능검사를 통한 양적 연구와 관찰,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지적장애아동의 참여가 어려운 활동을 조사하고 아동, 학교환경, 과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 교실활동, 운동장(체육시간), 등교 시 낮은 참여정도를 보였고, 교실 내 이동, 화장실 사용, 급식시간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참여도를 보였다. 아동의 낮은 행동적, 인지적 수행능력을 보조해 줄 수 있는 보조도구는 일반교실에서는 사용이 제한되었다. 결론 : 일상적인 자조기술을 요하는 활동은 높은 참여율을 보인반면, 일반아동들과 집단을 이루어 활동을 하거나, 수정된 교육 과제가 요구되는 활동에는 참여가 낮았다. 따라서 지적장애아동의 학교활동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체계적인 아동-환경-과제의 상호작용의 이해 및 전문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4,200원
        72.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문제행동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과제이탈, 주의산만, 상동행동을 가지는 지적장애 9세 남아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총 20회기, 주 3회, 40분, 1:1 감각통합치료를 통한 문제행동을 다중기초선 설계(multiple-based line)로 A-B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사건기록법으로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 결과 : 대상아동은 감각통합치료를 통해서 과제이탈행동 23회에서 11.30회로 11.7회가 감소하였고, 주의산만은 22.57회에서 10.62회로 11.95회 감소하였고, 상동행동은 18.6회에서 7.4회로 11.2회 감소하였다. ◉ 결론 :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문제행동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500원
        73.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본 연구는 컴퓨터 보조 인지 재활프로그램으로 사용되는 Rehacom을 이용하여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치료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1년 10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총 3명을 대상으로, 15인치 노트북과 컴퓨터 보조 인지 재활프로그램의 전용패널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1회기 치료시간은 30분이며, 10분씩 정해진 3가지 컴퓨터 보조 인지 재활프로그램(위치기억, 지속적 집중력, 공간적 조작 능력)을 6주간, 주 2회 시행하였다. ◉ 결과 : 대상자 A를 제외한 B와 C는 공간적 조작 능력에서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며, 위치기억력, 지속적 주의력은 3명 모두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일상생활에서도 Rehacom 치료 프로그램 적용 후 향상된 기능수준을 나타냈다. ◉ 결론 : 3명의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컴퓨터 보조 인지 재활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위치적 기억과 지속적 집중력이 점차 향상되었으며, 일상생활이 이전에 비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독립적인 지역사회 생활을 위해 화폐를 이용한 돈내기 기술은 기능적이고 중요한 기술이지만 발달장애인의 경우 적절한 기술의 습득과 일반화를 위해 지원이 필요하다. 발달장애인을 지원하기 위해 기능성 모바일 앱은 그 효과가 기대되는 잠재력 높은 도구이며 직접 발달장애인에게 적용해본 결과를 토대로 대상자의 특성에 맞는 기능성 모바일 앱 게임 프로그램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폐성 장애인을 위해 개발된 국내의 돈내기 기술 보조 앱을 직접 발달장애 대상자에게 적용한 결과를 통해 중재의 효과와 논의를 토대로 발달장애인을 위한 기능성 모바일 앱 게임모델을 제시하였다. 발달장애인을 위한 기능성 모바일 앱 게임은 학습 효과와 일반화를 높이기 위하여 문제해결 중심의 교육용 게임기능을 탑재하고, 독립적인 의사소통을 지원하기 위하여 AAC기능을 제공할 것이 제안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4,000원
        75.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8년 장애인실태조사 자료 분석을 통해 장애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는데 있다. 먼저 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장애인의 개인 요인, 장애 요인, 사회 요인을 투입하면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장애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개인 요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없었다. 둘째, 장애인의 장애 요인 중에서 주된 장애유형, 장애등급, 만성질환 여부, 평소 일반적인 건강상태의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 요인 중에서 교통수단 이용 시 어려움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의 복지 이념인 정상화와 사회통합을 위해서는 장애인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에서의 사회복지서비스 확대뿐 아니라, 장애인의 장애 요인과 사회 요인이 반영되는 장애인 복지서비스의 발전이 요구된다.
        5,500원
        76.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능성 게임은 지적 장애인의 과제분석, 촉진, 반복을 주요 전략으로 사용하는 직무 훈련에 효과적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능성 게임과 장애인 직무 훈련의 공통점을 살펴보고, 기능성 게임이 왜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구체적 예로 “직업 기능“ 교과서의 콘텐츠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음식 조리" 단원의 콘텐츠를 분석하여 적합한 게임의 구성과 형태를 연구하였다. 훈련 및 학습 효과의 최대화를 위해 장애인을 위한 기능성 게임은 기존의 엔터테인먼트 게임들과의 차이가 있어야 함을 설명하였으며, 지적 장애인 기능성 게임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4,300원
        77.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s on the adoptive behavior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ix special education schools located in the Daegu-Kyungbuk area,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552 families and teachers with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Identification of eating habits began with a factor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a five-factor solution. Among the five patterns, factors 1 and 2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behavior problems of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Further, food preferences of the children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adoptive behavior proble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learly indicate that eating habits as well as food preferences are important factors in identifying adoptive behavior problems in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eating habits a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children are provided.
        4,000원
        78.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임상현장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들을 중심으로 현행 장애아동 재활치료의 실태를 파악하고 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취합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구성하고, 우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전국의 장애인복지관을 포함한 장애아동 재활치료 기관의 종사자에게 4,000부의 설문을 배포 후 수거된 966부 중 작업치료사가 응답한 162부를 기술통계량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설문에 응답한 작업치료사는 뇌병변 및 자폐성 장애를 주로 치료하였고, 일일 평균 7.1명, 주당 평균 4회, 일 회당 37분을 치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치료서비스 전문인력 공급 여부는 부족하다는 의견이 높았고, 전문 인력의 확대방안으로는 치료사의 처우개선을 1순위로 꼽았다. 또한 재활치료 제공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이수과목 확대가 우선 필요하고, 재활치료 서비스 대상자 선정방법은 팀접근 방식이 적절하며, 향후 재활치료 전문 인력의 학력기준은 전문학사이상 이어야 한다는 의견이 87.5%를 차지하였다. 재활치료 서비스 개선을 위한 시급한 국가정책은 관련법과 제도의 정비이며, 공적지원체계는 보건복지부 관할로 일원화하자는 의견이 높았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재활치료 분야 중 작업치료 서비스 실태와 재활치료 서비스 제도의 개선방향에 대한 작업치료사들의 의견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향후 작업치료와 관련된 제도정비 및 전달체계 개선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4,600원
        79.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8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조사한 장애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총 7,000명을 대상으로 장애인의 접근성과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여부와의 관계는 어떠한지, 그리고 접근성이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애인의 접근성과 사회복지서비스 이용현황을 살펴보고, 개인요인, 장애요인, 접근성 요인을 투입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접근성에서 41.7%가 차별을, 공간적 접근성에서 51.8%가 어려움을 호소하였고,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여부에서 서비스 이용은 26.4%, 미이용은 73.6%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여부와 관련하여 심리적 접근성은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여부와는 상관관계는 없었고, 공간적 접근성이 좋을수록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여부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서비스 이용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의 복지서비스 이용을 통한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장애인복지 관련 서비스 확대뿐 아니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장애인의 개인, 장애특성과 접근성을 고려하여 할 것이다.
        5,200원
        80.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작업수행기술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작업수행기술에 영향을 주는 감각처리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0년 6월부터 2011년 2월까지 국립재활원과 충남 장애인 부모회 당진지회 발달센터를 내원하고 있는 발달장애아동 39명을 대상으로 Short Sensory Profile(SSP)과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AMPS)을 사용하여 감각처리능력과 작업 수행기술을 평가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대상자의 작업수행기술 중 운동기술에서는 활력부족/허약 영역, 처리기술에서는 활력부족/허약과 시/청각 민감성 영역이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정신지체 그룹에서는 처리기술과 감각처리능력 총점 및 촉각 민감성 영역에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뇌성마비 그룹에서는 운동기술과 움직임 민감성 영역에서 강한 상관성이 나타났으며, 처리기술과 청각여과하기 영역에서 상관성을 보였다. 전반적 발달장애 및 그 외 그룹에서는 운동기술과 활력부족/허약 영역에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다중회귀 분석 결과 운동기술에 영향을 주는 감각처리영역은 활력부족/허약이었으며, 처리기술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수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 발달장애 유형별 감각처리능력과 작업수행 기술 간의 관련성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추후 더 많은 연구 집단을 대상으로 각 진단별 감각처리능력과 작업수행기술의 관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
        3,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