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4

        61.
        2003.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늙은 호박의 효소처리 조건에 따른 추출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pectinase에 의한 영향에서는 효소제 처리를 한 모든 구가 대조구보다 품질 특성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0.15%(w/w) pectinase 처리구의 품질특성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혼합 효소제 처리에서는 pectinase와 cellulase의 단독 처리구에 비해 pectinase와 cellulase의 혼합 효소제의 추출율이 높게 나타났다. 최적 효소제 처리조
        62.
        2003.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각종 전처리 및 진공포장이 최소가공한 단호박 제품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ascorbic acid, citric acid, NaCl, MgC1및 이들의 혼합조성물(1:1:1:1)을 슬라이스와 채썰기로 최소가공한 단호박에 처리하여 진공 포장한 후 저온저장 하였다. 최소가공 처리에 따른 저장 중 중량감소율은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슬라이스 처리시 보다 채썰기한 경우 더욱 크게 나타났다. 한편 ascorbic
        63.
        2001.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밤호박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개발하여 안정적인 내수기반을 마련하고자 밤호박과 몇가지 부재료를 이용하여 즉석죽을 제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밤호박 즉석죽은 증숙 밤호박 78.4%, 가열 옥수수 9.2%, 볶은 양파 4,6%, 삶은 통팥 6.9%, 설탕 0.6%, 소금 0.3% 비율로 배합했을 때 제품의 관능적 품질이 양호하였다. 즉석식품으로서 저장성을 확보하기 위해 12에서 20~60분간 열처리한 결과 제품의 색도는 낮아졌으나 산도와 점도는 증가하
        64.
        199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purees from pumpkin and sweet-pumpkin. Soluble solids in pumpkins were increased as heating time increase. The maximum yield of puree from sweet-pumpkin marked 78.2% when in prepared at 121 for 60 minutes heating, but puree from pumpkin was 53.2% at 121 for 40 minutes heating. Soluble solid and yield of pumpkin purees were increased with enzyme treatment. but viscosity was deceased remarkably. Hunter's a and b values of puree from sweet-pumpkin were higher than puree from pumpkin, and it was considered due to higher content of carotenoid. Organoleptic qualities of puree from pumpkin and sweet-pumpkin were investigated by 5-point scale and the most effective heating time was 40 minutes at 121.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