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5

        81.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 여성 노인의 신체활동 참가형태에 따라 노인의 부정적 정서인 고독감, 우울 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기초자료를 확보함으로써 노인들의 심리적, 정신적, 안정과 건강한 노후를 맞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 한국, 중국, 일분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여성 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유층 집락 무선 표집법에 의해 최종적으로 한국 192명, 중국 178명, 일본 213명 총 583명을 표집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도구는 원형중(1994)에 의하여 5점 Likert 방식으로 수정 번안된 UCLA 고독감 척도(10문항)와 Zung(1965)이 개발한 척도를 육영숙(1994)이 번안하여 표준화시킨 자기보고 우울 척도(20문항)을 평균, 표준편차, 신뢰도 분석, 빈도 분석, 이원변량분석, 사후검증 등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분석 및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노인이 가장 선호하는 신체활동은 맨손체조(25.0%), 댄스스포츠(19.1%), 걷기(18.3%), 등산(9.7%)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국가별 노인들이 선호하는 신체활동은 약간씩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독감에 있어서 신체활동에 참가하는 노인들의 주당빈도 평균은 한국 5-6일, 중국 1-2일, 일본 3-4일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에 있어서 신체활동에 참가하는 노인들의 주당빈도 평균은 한국 1-2일, 중국 1-2일, 일본 매일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독감에 있어서 신체활동에 참가하는 노인들의 지속기간 평균은 한국 2-3년, 중국 1년 이하, 일본 1-2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에 있어서 신체활동에 참가하는 노인들의 지속기간 평균은 한국 1년 미만, 중국 2-3년, 일본 2-3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82.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고둥학생의 신체활동 참여 유형별 신체적 자기개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피험자는 학교의 운동써클에 가입하여 구기종목에 참여하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각 50명, 도장에 다니며 투기종목에 참여하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각 50명, 그리고 운동에 참가하지 않는 중학생 43명과 고등학생 40명 등 총 283명이었다. 검사도구는 김병준(2001)의 한국판 신체적 자기개념 질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중·고등학교와 신체활동 참여 유형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구기종목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스포츠 유능감, 외모 요인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신체활동,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 요인은 비참가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투기종목 집단과는 차이가 없었다. 건강 요인은 투기종목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비참가 집단과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투기종목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신체활동,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 요인은 비참가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구기종목 집단과 차이가 없었다. 셋째 운동에 참가하지 않은 학생들은 건강요인이 투기종목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구기종목 집단과의 차이가 없었다. 넷째 중·고등학생별로 모든 요인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신체활동 요인의 상호작용효과 검증결과 투기종목 집단에서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체지방/날씬함 요인과 자기존중감 요인은 중·고등학생간과 신체활동 참여 유형별 모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84.
        199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sis of the muscle action in physical exercise in the rolling machine. The rolling machine moved by eletric power-driven was made to keep the constant cycle and size of roll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 of 4 seaman(SM) and 4 landman (LM). The experiment analyzed the muscle power of lower and upper limbs by Intergrated Electromyogram(IEMG). The measurement was made on the ground, and 6 and 8 degrees of rolling separately. This study concludes as follows ; including analysis of IEMG of heavy exercise in two hands curl, a standstill walking and just standing. 1. IEMG of the lower limbs when standing. 1) In 6 degrees of rolling, for the landman(LM), vastus medialis m.(9.73), vastus lateralis m.(9.55), and rectus femores m.(8.73) acted more. As for the seaman(SM), tibialis anterior m.(5.38), biceps femores m.(5.05), and gastrocnemius m.(4.47) acted more. 2) In 8 degrees of rolling, in common, for both LM and SM, it were vastus medialis m.(11.20 and 8.97), vastus lateralis m.(16.20 and 4.63), and tibialis anterior m.(5.13 and 4.47). 3) It was showed that IEMG of LM was larger than that of SM. 2. IEMG of the lower limbs when walking. 1) On the ground, for the LM, gastrocnemius m.(7.08), vastus medialis m.(6.65), and vastus latralis m.(6.60) acted more. As for the SM, vastus lateralis m.(7.08), vastus medialis m.(6.58) and restus femores m.(5.10) acted more. 2) In both 8 and 6 degrees of rolling, vastus medials m.(14.50 and 11.98), vastus lateralis m.(10.10 and 14.10), and gastrocnemius m.(11.75 and 7.10) acted more in two groups. 3) It was showed that IEMG of LM was larger than that of SM. 3. IEMG of the lower limbs when heavy exercise(two hands curl). 1) On the ground, for the LM, vastus lateralis m.(21.68), vastus medialis m.(16.08), and rectus femores m.(14.08) acted more. As for the SM, tibialis anterior m.(16.08), vastus medialis m.(14.58), and vastus lateralis m.(8.78) acted more. 2) In 8 and 6 dgrees of rolling, it were vastus medialis m.(17.05 and 12.45), vastus lateralis m.(37.98 and 17.08), and tibialis anterior m.(19.83 and 13.20). 3) It was showed that IEMG of LM was larger than that of SM. 4. IEMG of the upper limbs when heavy exercise. 1) On the ground, the brachialis m.(44.30 and 17.80), and biceps brachii m.(13.40 and 25.10) acted more in two groups. 2) In both 6 and 8 degrees of rolling, the brachialis m.(37.60 and 24.35), and biceps brachii m.(11.38 and 7.97) acted more in two groups. 3) It was showed that IEMG of SM was larger than that of LM.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