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1

        90.
        198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금까지 살펴 본 국민 학교 컴퓨터 교육의 현황은 크게 교과 편제 및 시간 배당의 측면, 교사 연수의 측면, 시설 확보의 측면 그리고 교재 개발의 측면 등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바라본 제5차 교육 과정에 의한 국민 학교 컴퓨터 교육의 문제점은 다음의 몇 가지로 요약, 정리 될 수 있다. 1. 교육 과정이 체계화 되어 있지 않고 학년별 지도 내용과 지도 요소가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다. 2. 컴퓨터의 주변 기기의 절대적 부족과 16bit 컴퓨터의 보유가 저조하다. 3. 16bit 컴퓨터에 대한 교원 연수가 미흡하다. 4. 학생들이 컴퓨터를 실습할 기회와 시간이 부족하다. 5.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교육용 소프트웨어가 부족하다. 6. 컴퓨터 교육을 담당할 전문 교사가 절대 부족하다. 7. 학생들의 수준과 단계에 맞는 컴퓨터 교육용 교재가 풍부하지 않으며 그 내용이 지나치게 프로그래밍 작성에 치우쳐 올바른 컴퓨터 소양을 길러주기에는 적당하지 않다. 8. 시설, 장비, 운영 관리를 위한 적극적이고 전문적인 행정적, 재정적 지원 체제가 미흡하다.
        91.
        198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46년 제정된 교수요목으로부터 1987년 5차 교육과정이 나오기 까지 40여년 동안에, 우리나라 초등국어교육과정은 체제면에서나 내용면에서 장족의 발전을 해온 셈이다. 이 40년의 기간은 과거 몇 백, 몇 천 년에 맞먹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대변혁기라고 할 수 있다. 초등국어교육과정은 바로 이기간 동안에 서구 교육사조의 영향 아래, 때로는 언어의 실용적 기능 중시와 정의적 가치기능 중시의 양극을 헤매기도 하고, 때로는 아동중심의 교육과 국가사회 중심의 교육의 양극을 방황하면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성장했던 것이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