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9

        81.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ee growing wether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nitrogen (N) retention, blood plasma metabolite concentration and energy-yielding nutrient supply to muscle and adipose tissue. The wethers were fed one of three diets: timothy hay with concentrate (THD), Italian ryegrass with concentrate (IRD), and rice straw with concentrate (RSD) for 11 days. The experimental diets were adjusted to the animals to provide 100 g of daily gain. The triglyceride (TG) concentration of blood plasma in arterial and portal veins was higher with THD and IRD than with RSD. Conversely, the available amount of TG in tissues was higher with IRD. The daily amount of glucose and non-esterified fatty acids (NEFA) supplied to muscle tissue and adipose tissue was numerically higher with THD than IRD or RSD. Although N retention did not differ among the diets, it was numerically higher with THD than with IRD or RS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glucose and NEFA delivered to muscle tissue may reflect the N retention in response to forage based diets.
        4,000원
        8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성장기 아동 및 청소년기에 있어 난시유병률과 굴절이상도 분석을 통해 안보건 및 눈 관리의 필 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한다. 방 법: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한 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해 만 5세에서 만 18 세의 성장기 아동 및 청소년 총 280명을 대상으로 난시 유병률, 난시굴절력, 난시축, 구면굴절력을 분석하 고 난시교정굴절력이 교정시력에 미치는 상관성을 SPSS 18.0을 이용하여 유의 수준 p<0.05로 처리하였다. 결 과: 연령별 난시 유병률은 5-6세 50.0%, 7-9세 33.8%, 10-12세 48.8%, 13-15세 67.7%, 16-18세 63.4%를 나타내었고,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난시 유병률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C-1.00D 이하일 때 구면굴절력이 큰 경우 교정시력은 0.93, 난시굴절력이 큰 경우 교정시력은 0.83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 었으며 교정시력에는 난시굴절이상도가 더 많은 영향을 주었다. 결 론: 난시는 교정시력에 영향을 주어 약시를 유발할 수 있기에 난시유병률 증가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 하여 국민의 안보건과 시력저하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와 사회적 관심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8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동절기 시설원예 난방에너지 절감을 위해 방울토마토의 온도민감부인 생장부를 추종하면서 난방을 수행할 수 있는 국소난방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울토마토 생장부 추종형 국소난방시스템은 온실 하류로의 균일한 열분배를 위해 내/외부 덕트와 온풍난 방기를 연결하는 이중덕트 분배장치, 정식 후 작물 유인에 따라 덕트를 토마토 줄기끝 생장점과 개화화방을 추종하여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권취장치 등으로 구성되었다. 국소난방 시스템의 운용은 토마토 정식 직후에는 덕트를 작물 상부에 위치시키며 작물 생장에 따라 생장부 국소난방과 차광 회피를 위해 덕트를 상하로 이동시켰다. 방울토마토 수경재배 온실을 대상으로 생장부 국소난 방구와 관행의 바닥덕트 난방구에 대해 난방성능과 작물 생육 비교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생장부 국소난방구는 야간 난방시간에 작물 군락내 상부 기온이 하부에 비해 0.9~2.0oC 높으며, 바닥덕트 난방구에 비해 군락 상부 기온은 0.3~1.8oC 높고, 하부 기온은 1.4~1.8oC 낮게 나타나 온도에 민감한 상부 생장부를 상대적 고온으로 관리하고, 군락하부는 상대적 저온으로 관리 가능하며, 관행 바닥덕트 난방구의 높이별 온도분포를 역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토마토 군락에 대한 적외선 열화상 측정을 통해 정식 직후부터 줄기내림 유인재배 기간에 걸쳐 생장부 국소난방구는 군락내에 높이별 엽온의 온도성층화를 형성하여 생장부 추종 국소난방이 가능 함을 확인하였다. 난방방식별 작물생육 분석결과 초장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수확량에서도 생장부 국소난방구가 초기 수량이 약간 우세하였으나 총 수확량은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온풍난 방비 경유소비량은 생장부 국소난방구가 군락의 높이별 최적 온도관리로 관행 바닥덕트 난방구에 비해 약 23.7%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시스템은 길이 90m 온실에 대한 적용시험에서 열 분배 성능의 한계로 온실 상/하류간 온도편차가 발생하였으며, 시스템 개선을 위해 내부덕트의 직경 또는 두께 상향, 열복사 억제 재질의 덕트 사용 등 열분배 성능 최적화를 위한 추가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84.
        2015.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ashion brands are influenced by multiple identities. Even though, for example, the brand name might still be associated with one or more creative founders (Gucci, Prada, Chanel, Hermès, Adidas, Joop) the brand image, and moreover the overall brand reputation are influenced by many different identities. For instance, a specific product identity (e.g., Gucci’s Bamboo Bag), the identity of the city or country of origin (Florence, Italy), the identities of well-known key customers as brand ambassadors (Sophia Loren, Vanessa Redgrave, Lady Diana, Naomi Watts etc.). Of course, also fashion brands who are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name of creative founders are composed of the effects of several identities. In the case of e.g. Nike especially successful athletes (Steve Prefontaine, Michael Jordan etc.), specific sports and sport events, and product lines tailor-made for them did help to build a strong brand reputation. All in all, it seems to be expedient to understand fashion brands as more of less complex systems composed of several identities. To deal in more detail with such “brand systems” is becoming particularly important against the background of several strategic challenges – e.g., when fashion brands are growing older and the creative founders lose their specific gravitational power, when in the process of internationalization new countries gain more and more importance who’s citizens might not have a strong access to the existing brand reputation drivers, or simply when in the context of the growing global competition the fashion brand needs to be “refreshed”. Against the background of cultural differences, or even - as within countries - lifestyle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groups of customers, it can also be quite possibly that very different reputation drivers account for the success of a brand. Thu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in different contexts, the relevant reputation drivers, and to analyze which interplay of those drivers might be particularly promising. Is it the creative founder, the corporate heritage, the country and/or city of origin, a special designer, a specific corporate culture, an outstanding product design, attractive key customers etc.? Which combination of such identity factors leads to what kind of success (e.g., brand loyalty, brand trust, price premium)? Will, for instance, heritage especially lead to brand trust, whereas an outstanding product design and specifically attractive key customers create the readiness for a higher price premium? And, is it necessary to create sub-brands to especially highlight specific identities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brand system (e.g., the sub-branding of a Michael Jordan product line in the case of Nike)? Or is sufficient to only communicate an alignment with the brand (e.g., ads showing Naomi Watts wearing a Gucci Bamboo Handbag)? In other words, which kind of brand system, and which kind of brand communications has to be designed to attract specific target groups and to sustain competitive advantages? The present contribution aims to present a conceptual framework for analyzing “brand systems” in the fashion industry. Concomitantly, an approach of measuring such brand systems will be presented. Furthermore, a concept for analyzing the impact of several sub-identities on the development of the overall brand reputation and brand success against the background of existing contingencies will be outlined. With the introduction and discussion of such a conceptual framework it especially is intended to initiate the launching of an international research project which attempts to find an answer basically to the following question: Which via an integrated branding and brand systems communication carefully crafted composition of sub-identities might be how successful under what kind of situational conditions?
        85.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liber persistent artery (CPA) is a vascular anomaly presenting as a bluish and pulsatile artery in the subepithelial tissue. Although the incidence of CPA was debated, many CPAs occurred in the perioral and facial tissues at which the embryonal strapedial artery networks were distributed.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a case of CPA occurred in the retromolar buccal mucosa in a 37 years old male. The lesion showed many pinkish granular spots, but was asymptomatic except biting irritation during mastication. It had slowly increased in size up to 20 × 25 mm for 3 years, and recently became hemorrhagic due to the biting injury between left upper and lower second molars. With the fear of oral cancer an incisional biopsy was performed, and followed by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Histologically the lesion showed many tortuous artery localized at the submucosa area, and the arterial wall was thick and its lumen was narrowed and shrunken. In the immunochemistry α-SMA was positive for thick smooth muscle layer of artery and arterioles, TGase 2 was weakly positive for the luminal surface of arterial intima, and bFGF was consistently positive for the perivascular fibrous tissue. But PCNA, VEGF, CD31, CMG2, TGF-β1, HSP-70, and 14-3-3 were almost negative for the vascular tissue. Therefore, it was presumed that the lesion was not actively proliferative nor degenerative but still retained its cellular stability and slow growing potential. It was finally diagnosed as CPA differentially from arterio-venous malformation, hemangioma, lymphangi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The retromolar buccal mucosa CPA is first reported in this study and may present usual clinical findings depending on its size and location. This asymptomatic lesion could be severely hemorrhagic by minor biting injury, therefore, precise differential diagnosis should be made through biopsy, and careful therapy be followed.
        4,000원
        86.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sex ratio, and natural enemies and nesting competition insects of mason bees, Osmia spp. in 32 apple orchards during 2006 to 2008. The rate of bee nested was 14.0±1.7%. The rate of fauna nested were Osmia spp., 66.0%, natural enemies, 21.7% and nesting competition insects, 11.6%. We collected five species of Osmia spp. consisting of Osmia cornifrons, O. pedicornis, O. taurus, O. satoi and O. jacoti. In case of collected five Osmia spp, O. cornifrons was 69.6%, which was the dominant species and O. pedicornis was 13.0% and O. taurus was 11.2%, respectively. The collecting rate of Osmia spp.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ach year and 10 locations. The sex ratio of Osmia spp. were 1:1.9 in O. cornifrons, 1:5.1 in O. pedicornis and 1:2.2 in O. taurus. The sex ratio of O. cornifrons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ach year and 10 locations. Seven species of natural enemies that attack Osmia spp. were collected in apple orchard. Trogoderma and Chaetodactylus showed the highest rates with 48% and 38% among 7 natural enemies. Also, we collected nine species of nesting competition insects. Anterhynchium flavomaginatum showed the highest rates with 38.6% among 9 nesting competition insects.
        87.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맹글로브와 불수감 삽목시 IBA와 NAA 처리가 생육과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맹글로브 경우 IBA처리시 초장이 컸고 엽수가 많아졌으며 신초장이 증가하였다. 또한 근수가 증했으며 근장이 길어졌는데 고농도 처리보다 저농도 처리시 효과가 컸다. 2. 불수감의 경우 IBA나 NAA처리에 의해 생육이 저하되었으며 고농도 처리시 더욱 단축되었다. 그러나 IBA 1,000 mg·L−1처리시 근경은 굵어졌으며 근중이 무거웠다. 3. 전체적으로 볼 때 맹글로브 및 불수감 모두 발근율은 NAA보다 IBA 처리시, 고농도보다 저농도 처리시 효과적이었다. 특히 NAA 고농도 처리시 수피의 벗겨짐과 물러짐으로 발근율이 현격히 저하되었다.
        4,000원
        88.
        2015.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productive and growing performances in sow farms located in Chungnam. Data collected from a total of 15 sow farms divided into 3 farm groups for 1 year were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The average of sow at small and large farms were 114.25 and 487.88 heads, respectively. And then, the difference among 3 groups in sow farm was not found significantly in farrowing rate. Th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3 farm groups was significantly found(p<0.05) in total litter size. The litter size born alive at sucking in small sow farm and middle farms were 9.93, and 10.48 pigs. The difference between small and large farms in number of pigs at weaning were significantly shown 8.89, and 9.35 pigs(p<0.05), respectively. The difference among 3 sow farms for ages at weaning showed significantly (p<0.05). The cycles of farrowing rate per year in small, large and middle farms were 2.17, 2.23 and 2.32, respectively. Th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3 sow groups was found in farrowing rate(p<0.05). The growing rate up to weaning for middle farms was significantly the higher level(94.70%) than that for other farms(p<0.05). The differences among 3 farm groups for marketing weight were not significantly shown.
        4,000원
        8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농가에서 모떼기 작업의 용이성 때문에 널리 이용되는 개량상자를 위한 적정 물관리 방법을 본 연구에서 제시하였다. 개량상자 +중량상토 조합으로 마른 못자리와 물 못자리에서 고랑관개와 상면관개를 하여 시험하였는데 그 결과 못자리 종류에 관계없이 상면관개가 안정적인 물관리 방법으로 선정되 었으며 고랑관개는 안정성이 낮아 배제되었다. 선정된 물관리방법이 경량 상토 및 매트상토에서도 유효한지 확인하기 위해 상면관개를 하여 못자리 별로 중량상토, 경량상토, 매트상토에서의 물관리 시험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상면관개는 동일 못자리내에서 상토 종류에 관개없이 정상적으로 이앙 가능한 수 준의 모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개량상자를 이용할 경우 못자리 종류와 상토에 관계없이 상면관개를 해야만 하며 모를 안정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물 수위가 낮아지지 않게 주의해야 한다.
        4,000원
        9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송이의 품종 및 재배온도에 따른 주기별 자실체 내의 당성분의 함량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HPLC로 분석한 결과. 재배온도 중에서 가장 높은 총 아미노산 함량을 보 이는 것은 19 o C 처리로 공시품종 모두 동일한 결과를 보 였다. 103호 품종은 다른 품종에 비하여 총아미노산과 아 미노산 종류별 함량도 품종 중에서 가장 낮은 것이 확인 되었다. 아미노산 종류에서는 cysteine 함량이 가장 높으 며, 그 다음으로는 phenylalanine, glutamic acid, lysine, proline, histidine 등이 높았다. 기존성적에서 연구자별로 차이가 큰 것은 재배온도와 품종의 차이에 의해 발생 가 능한 것이라고 추정된다.
        4,000원
        91.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ckroaches are insects of the order Blattodea, sometimes also called Blattaria, of which about 30 species out of 4,600 total are associated with human habitats. About four species are well known as pests. Among the best-known pest species are the American cockroach, Periplaneta americana, which is about 30 mm long; the German cockroach, Blattella germanica, about 15 mm long. We researched growing condition of in-vitro(temperature and humidity) for P. americana and B. germanica. The cockroach is divided in three sections; the body is flattened and broadly oval, with a shield-like pronotum covering its head. A pronotum is a plate-like structure that covers all or part of the dorsal surface of the thorax of certain insects. They also have chewing mouth parts, long, segmented antennae, and leathery fore wings with delicate hind wings. The third section of the cockroach is the abdomen. We measured size of head, abdomen, and body length during differential stages. Also, we checked number of egg, size of egg, hatching rates, period of former laying eggs, and laying periods etc.
        9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mato varieties were evaluated during winter-spring growing season at experimental station of the Uzbek Research Institute of Vegetable, Melon Crops and Potato (UzRIVMCP). Six hybrids and one conventional cultivar were tested in Korean double-layered, single-span plastic greenhouses. These greenhouses were built under Uzbek-Korean collaborative research project. Variety trial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and select most suitable tomato varieties for growing in specific microclimate conditions which are created in double layered plastic greenhouses. Tomato hybrids F1 Beton and F1 Chelbas had significantly higher total and marketable yields compared to standard variety, and these varieties will be recommended for The State Variety Testing for further evaluations.
        4,000원
        9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결과 조농비가 다른 사료를 각각 급여한 젖소에 서 임신초기의 유방 크기는 HF군이 LF군 보다 2.4배 가량 유의하게 컸으나, 임신중기와 착유기 동안에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Estradiol의 혈중농도는 두 군 모두 사춘기 부터 서서히 증가하여 임신기간 동안 사춘기의 2~3.5배가 량이 되었으며,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착유기 전 기간에 걸쳐서도 estradiol의 농도는 두 군간 차 이가 없었다. Progesterone의 혈중 농도는 사춘기부터 증가 하기 시작하여 임신중기까지 두 군 모두 비슷한 농도로 유지되었으며, 시험 전 기간에 걸쳐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산유량 4% FCM은 두 군 모두 분만 후 증가하다 LF군은 분만 100일, HF군은 150일을 기점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분만 후 50일까지를 제외하고 그 후 전 기간에 걸 쳐 양질 조사료 함량이 높은 사료를 급여한 HF군의 젖소 에서 산유량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분만 250일 까지도 높 은 산유량을 유지하였다. 우유 내 체세포 수는 분만초기를 제외하고 착유기 전 기간 동안 HF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 였다. 유지율은 분만 후 비유 초기에 LF군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그 이후부터는 두 군간 차이가 없었으며, 그 밖에 우유 내 단백율, 고형율, MUN 모두 두 군간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산유량과 체세포 수 및 유지율을 기초로 계산한 유대에 있어 HF군이 LF군에 비하여 최고 141.5% 증대되었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젖소의 양질 조사료의 함 량을 적당 수준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유방의 크기나 관련 호르몬의 변화 없이 우유의 생산량을 증대시키고 우유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4,000원
        9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육성기 흑염소에 있어서 조사료원이 볏짚 위 주일 때, 농후사료 급여 수준이 발육, 사료이용성 및 경제 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육성기 암 컷 흑염소 40두를 공시하여 농후사료 급여수준을 체중의 1.5% (T1), 1.8% (T2), 2.1% (T3) 및 자유채식구(T4)로 나누 어 급여 하였고 조사료원은 볏짚을 자유채식 하도록 하였 다. 그 결과, 일당 증체량은 T1 (1.5%), T2 (1.8%), T3 (2.1%) 및 T4(자유채식)구가 각각 50.23, 60.37, 71.46 및 98.90 g으로 농후사료의 급여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조사료인 볏짚의 사료 섭취량은 농후사 료 급여수준이 증가 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p<0.05). 경제성 분석에 있어서 육성기 흑염소 경영 비는 농후사료를 1.5%, 1.8%, 2.1% 및 자유 채식하였을 때 각각 46,704원, 49,998원, 54,701원 및 74,613원으로 농후사 료의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경영비는 증가하였다. 이는 증체량에 있어서 T4(자유채식)구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지 만 T3 (2.1%)구보다 사료비에 있어서 두당 19,912원 더 많 이 들었다. 이상의 시험 결과를 종합하여 고려할 때, 육성 기 흑염소에 있어서 조사료 원이 볏짚 단용일 경우에는 농 후사료를 2.1% 수준으로 급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 으로 사료 된다.
        4,000원
        9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버섯재배부산물, 재활용가금깔개, 미강 및 straw로 구성되는 BF 사일리지 급여가 육성 거세한우의 행 동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 험에 사용한 공시 한우는 11개월령 총 10두(평균 301.7 kg) 를 2처리로 배치하였으며, 이 때 대조구(볏짚 자유채식)와 처리구(BF silage 자유채식)로 하여 48시간 행동관찰을 실 시하였다. 대조구와 비교해서 BF 사일리지 급여구는 총 DM 섭취량과 NDF 섭취량이 각각 30% 및 36% 높았고, 채식시간, 반추시간 및 저작시간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 다. 식괴수, 식괴당 반추시간에 있어서도 유의적 차이가 없 었고, 식괴당 저작수와 FVI는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대조구와 비교해서 BF 사일리지 급여구는 배뇨 회수가 높 고(p<0.05), 음수 및 배분 회수에 있어서는 상호간에 차이 가 없었고, 채식율, 반추효율 및 저작효율에 있어서는 더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BF 사일리지 급여는 볏짚과 비교 시 육성거세한우의 반추행동 상 큰 차 이가 없다는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차후 볏짚 대용으로 활 용하여도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즉 입자도가 큰 straw를 peNDF를 충족시키는 최소량을 혼합하여 부산물사료 사일 리지를 제조, 급여하였을 때 육성거세한우의 반추행동은 볏짚 급여 시와 차이가 없었다.
        4,000원
        96.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 설치되어 있는 원예시설 중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 하고 있는 단동비닐하우스의 기상재해로 인한 피해를 경 감시킬 수 있는 모델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자 재배작물별로 대표적인 온실규격를 선정하여 안전풍 속과 적설심을 구한 후 재현기간 8년에 해당하는 지역의 설계풍속 및 적설심과 비교하여 온실의 구조 안전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배작물별 대표온실에 단위풍하중을 적용한 결과, 최 대 단면력은 과채류, 근채류, 엽채류 온실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재배작물별 서까래 간격을 고려한 안전풍 속은 엽채류 온실이 17.7 m/s, 과채류 온실이 20.2 m/s, 근채류 온실이 22.3 m/s로 나타나 지역별 8년 빈도의 설계풍하중과 비교하였을 때 홍천, 이천, 성주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지역에 있어서 불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재배작물별 대표온실에 단위 적설하중을 적용한 결과, 근채류 온실의 최대 단면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나 재배작물별 서까래 간격을 고려한 안전적설심은 엽채 류 온실이 8.8 cm, 과채류 온실이 9.4 cm, 근채류 온실이 11.8 cm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지역별 8년 빈도의 적설하중과 비교하였을 때 경남지역 일부를 제 외하고는 대부분의 지역에 있어서 불안전한 것으로 분 석되었다. 3. 재배작물별 대표 온실의 안전풍속과 적설심에 대하여 구조물에 발생하는 최대 인발력은 12.7~15.1 kgf/개소, 최대 연직하중은 20.6~21.7 kgf/개소로 나타나 기초는 안전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안전풍속과 안전적설심이 매우 작기 때문에 폭설이나 강풍에 대비한 보강이 필요 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97.
        201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anwhile, Korea has continuously promote economic growth strategy large enterprise-oriented under stateled. As a result, the economy has grown remarkably. But domestic industry structure is unbalanced because of the proportion of medium-sized enterprises is low. To growth of small enterprises to mid-sized enterprises, balanced development of the corporate ecosystem is necessary.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growth of small enterprises to mid-sized enterprises. But most companies do not escape stagnation phenomenon in the growth phase while experiencing growing pains. In this paper, we will study the concept of growing pains and stagnation cause of domestic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Through this, classifying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growing step and Find out the factors that lead to growing pains at each step. To overcome growing pain, we suggest plan for conquest.
        4,000원
        98.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enetic relationships among five genera, seven species of Theaceae were examined through a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a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In RAPD analysis, five of 15 arbitrary primers showed polymorphic bands, which were able to classify different genera and species of Theaceae. The genetic variations of Theaceae were from 0.031 to 0.484. In ITS analysis, the ITS sequences were analyzed using BLAST and showed high identities with sequences of Theaceae, seven species published in NCBI GenBank database, which ranged from 98 to 100%. Sequence alignment of seven species showed 34.9% identities for ITS 1 region and 43.7% for ITS 2 region. Pairwise sequence divergences among seven species ranged from 0 to 0.330%. In phylogenetic tree,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n conclusion, the molecular data generated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will help to understand the genetic relationships of Theaceae and also might be useful for further studies in intra-species, inter-species, and molecular evolution researches.
        4,500원
        100.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본의 과수 재배 일반현황과 기계화 동향을 살펴본 결과, 일본의 과수 재배면적과 농가 수는 점점 줄고 있으나 호당 경지면적은 증가하고 있고, 특히 3 ha 이상의 대규모 재배농가가 증가하고 있었다. 주요 과수작목의 10 a 당 평균 노동시간은300시간으로 벼 재배의 약 10배 이상을 보였으며, 포도가 가장 긴 455시간을 보였고, 감이 가장 짧은 186시간을 보였다. 과수 기계화율 향상을 위해서는 첫째로 재배측면에서 농기계가 자유롭게 작업할 수 있는 재배양식의 표준화, 저수고화를 포함한 수체의 콤팩트화, 수형의 규격화 등 재배환경의 최적화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재배양식의 표준화는 차세대형 기계화는 물론 이미 개발된 기술을 실용화함에 있어서 필수 불가결한 조건이기 때문이며, 재배양식 다양성이 기계의 보급대수를 제한하고 제조비용을 높게 만들어 보급이 진행되지 못하게 막는 방해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수체가 콤팩트하게 된다면 기계도 소형화 될 수 있고, 에너지와 기계 비용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체 피복형 작업기가 실현가능하게 되어 환경보전형 방제기와 각종 작업의 로봇화에도 크게 공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수형의 규격화가 진행됨으로서 기계개발의 가능성이 크게 넓어질 것이다. 즉, 노력이 가장 많이 들고 있는 전정과적과, 수확 등의 기계화 여부는 수형의 콤팩트화와 규격화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둘째로 기계측면에서는 노동력 부족 해결을 위해 전정·제초로봇, 친환경 방제용 기계, 수확 운반기계의 개발이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고령 농업인들을 위한 농작업 부하경감을 위해 파워 어시스트 슈트의 개발과 허리, 손, 무릅에 부담이 가는 작업의 부담경감을 위해 동작 패턴을 기억하여 재현 가능한 기술의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