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9

        81.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0년 6월부터 1999년 9월까지 채집된 한국산 꾹저구, 무늬꾹저구, 검정꾹저구 3종의 성별에 따른 형태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산 꾹저구속 3종은 암컷과 수컷 모두 측정한 13개의 형질 중 꼬리지느러미 길이를 제외한 12개의 형질에서 종간에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었고, 이들 3종간에 각 차이의 유무를 알아보기 위한 다중비교분석 결과, 암컷의 경우 3종 모두 종간 구별이 되는 형질은 6개의 형질 즉, 체고, 두장, 미병장, 미병고, 문장, 가
        4,000원
        82.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임의증폭 다형 DNA(RAPD)와 미토콘드리아 12S, 16S rRNA 유전자의 제한단편 DNA 표식자에 의해 한국에서 발생하는 담배가루이 개체군들의 biotype을 판별하였다. 진천의 장미 온실과 서울 내곡동의 포인세티아 온실에서 발생한 담배가루이는 일본, 이스라엘, 호주의 B biotype 과 동일한 DNA 단편들을 보유하였다. 여러 지역의 노지 콩 (Glycine max), 고구마 (Ipomea batatas), 들깨 (Perilla frutescens)에서 채집된 담배가루이 개체군들은 일본 시코쿠의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에서 채집된 담배가루이와 같은 DNA로 표식되었다. 이들 non-B biotype은 한국, 일본 등 극동아시아 지역에 고유한 계통으로 보인다. 최근 한국에서 발견된 담배가루이 Bemisia tabaci(Gennadius)의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한 형태적 특정을 온실 원예작물의 주요해충인 온실가루이 Trialeurodes vaporariorum (Westwood)와 비교하여 기재하였다.
        4,000원
        83.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선초를 가해하는 주홍날개들명나방(Udea ferrugalis)을 채집하여 1995~1996년동안 실내에서 누대사육하면서 형태적 특징과 생활사를 조사하고 신선초 이외의 기주식물을 조사하였다. 성충은 갈색으로 체장은 암컷이 10.1mm, 수컷은 8.3mm이었고, 날개편길이는 18.5mm, 16.6mm이었다. 알은 회백색으로 원형이며, 유충은 유백색~연노랑색으로 체장은 1.5~14.6mm이고, 번데기는 진한 갈색으로 체장은 8.2~9.7mm였다. 항온조건에서 난기간은 5.81일, 유충기간 19.00일, 전용기간은 3.46일, 그리고 용기간은 11.00일 이었다. 또한 성충의 수명은 암컷이 9.80일, 수컷은 10.13일 이었다. 산란수는 와에서 각각 238.5개, 248.8개 이었다. 기주식물은 채소류에서 무, 배추, 상치, 딸리, 오이, 미나리, 콩, 국화, 장미, 신선초, 천궁 등 총 12종이 확인되었다.
        4,000원
        85.
        199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촉진 및 호르몬 측정으로는 알기 힘든 난소의 정상 혹은 병리학적 형태 및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에서 도살장으로부터 채취된 난소 100개를 수침법으로 초음파 사진을 찍고 그 실제 단면과 비교하였다. 그리고, 홀스타인 50두에서 직장 벽을 통해 난소를 초음파로 관찰하여 난소의 정상 상태 및 병적 상태를 조사하였다. 이 기초 실험을 바탕으로 하여 홀스타인 소 1두를 과배란 처리하여 42일간 난소의 형태 및 변화를 직장 벽을 통해
        5,400원
        87.
        199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연구(硏究)는 들깨 국내 육성종을 포함한 수집종(蒐集種)중 20종(種)을 공시하여 이들 간의 형태적(形態的)인 주요(主要) 특성(特性), 생화학적(生化學的)인 특성(特性)과 세포유전학적(細胞遺傳學的)인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고 유전적(遺傳的) 다양성(多樣性)을 밝혀 들깨의 분류(分類)와 품종육성(品種有成)에 있어서의 중요(重要)한 기초자료(基礎資科)를 얻고자 본(本) 실험(實驗)을 수행(遂行)하여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들깨 수집종의 형태적(形態的), 생화학적(生化學的), 세포유전학적(細胞遺傳學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해 본 바,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으로 종피색은 약간의 농도차이는 있었으나 회갈색(灰褐色), 갈색(褐色), 암갈색(暗褐色)(흑색)등 3군(群)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우립중(于粒重)은 3.5g 이하인 것이 11종(種)으로 가장 많았고 4.5g 이하인 것이 4종(種) 4.5g 이상인 것이 5종(種)이었다. 또한 줄기색은 적색(赤色)과 녹색(綠色)으로 분류되었는데 적색(赤色)은 안동재래를 포함 5종(種)이었고 나머지는 녹색(綠色)이었다. 생화학적(生化學的)인 특성(特性)으로 각 수집종(蒐集種)을 대상으로 지방산(脂肪酸) 조성을 조사(調査)해 본 바, 불포화도가 가장 높은 linolenic acid는 53%(영양재래)에서 65%(의성재래)에 이르기 까지 다양(多樣)하였으며, 59-61% 범위에 속하는 종(種)이 12종(種)으로 가장 많았다. 염색체(染色體) 수(數)는 조사한 4개의 수집종(蒐集種)(안동재래, 엽실, 영광재래, 대영) 모두가 2n=38로 나타났다.
        4,000원
        89.
        198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and structual characters and the dry weight of plant (DW/pl.) concerned vegetational structure of orchardgrass pastures by the times of year, from 1 year to 7 year previous, 1986 through 1980,
        4,000원
        90.
        198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삼 해충, 큰컴정풍뎅이와 참검정풍뎅이의 형태 및 생화사를 구명키 위해 1984-1986년에 걸쳐 야외조사 및 실내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큰검정충뎅이는 형태적으로 모든 충태에 있어서 유사하였으며, 유충은 두폭과 체장에 있어 큰 검풍뎅이가 다소 컸으나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을 정도는 아니었다. 큰검정풍뎅이는 년 1에 발생하여 산란기는 7월 중순-8월 하순에 9월에는 대부분 종유충인 3형충이 된 후 초동하여 이듬해 5월 하순부터 용화하여 6월 하순에는 우화하였다. 참검정풍뎅 2년에 1에 발생하며 산란기는 5월 하순-7월 상순으로 9월에는 대부분 3영춘이 된후 초동하여 이듬해 4월이면 다시 지표 가까이로 올라와 생식을 계속하다 7월 하순부터 용화, 8월 중순부터 우화하여 성충으로 그대로 추동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는 대부분 홀수 해에 비산 및 산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두 종간에 산란기는 서로 비슷하였으나 유충기간 및 용기간은 참검정풍뎅이가 현저히 길었으며, 특히 3영기간은 55일이다.
        4,000원
        91.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rghum cv. Pioneer 93 1, sorghum-sudangrass hybrid cv. Sioux and maize plant cv. Blizzard were assayed for toxic concentrations of nitrate-nitrogen (NO3-N) and their relationship t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temperature in a fiel
        4,000원
        92.
        198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나방과 왕담배나방의 형태적(形態的)인 특징(特徵)을 조사한 결과 : 1. 담배나방 앞날개에는 신상문(腎狀紋)과 환상문(環狀紋)이 있으나 왕담배나방은 신상문(腎狀紋)이 있고 환상문(環狀紋)은 없거나 희미하며 갈색횡선(褐色橫線) 사이에 7개의 유백색반점(乳白色斑點)이 있다. 2. 숫컷 생식기(生植器) 판(瓣)의 길이가 폭에 대하여 담배나방은 5.6 배(倍), 왕담배나방은 4.3 배(倍)이다. 3. 뒷다리 경절(脛節)에 있는 극모수(棘毛數)가 담배나방은 8.5 개, 왕담배나방은 11.4 개이다.
        3,000원
        93.
        202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venty Pipistrellus abramus samples were caught to analyze their sexual dimorphism and mo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mean HB and FA were 50.86 mm and 34.93 mm, respectively, based on external measurements and skull shape. The length of the TL, Hfcu, and Tra were approximately 70%, 55.6%, and 38% of the HB, Tib, and E, respectively. Both the lambdoid crest and the sagittal crest were well developed and the H.BC was approximately 84% of the W.BC. P2 was inside the toothrow and metacone of canine was clearly visibl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exual dimorphism,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in between males and females: WS, C-M3, C-C, M3-M3, LOM, LUC, and i-m3. The WS, C-M3, C-C, M3-M3, LOM, and i-m3 were bigger in females than males, whereas the LUC was bigger in males.
        94.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충청북도농업기술원 대추연구소에서 보유 중인 대추 유전자원 중 형태적 다형성을 나타내는 ‘일본’과 주요 대추 유전자원의 형태형질을 조사하고, 대추 육종 소재로서 ‘일본’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일본’은 주요 대추 유전 자원과 비교하여 엽과 과실의 크기가 뚜렷하게 작고 당도가 낮았다. 하지만 과실에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항산화 능력 또한 가장 높았다. 또한 ‘일본’은 종자형성능이 가장 높았다. 대추 유전자원들의 형태형질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지리적 기원에 따라 유전자원들이 분류되었다. 특히 ‘일본’은 한국 및 중국 유전자원들과 명확히 구분되었다. 따라서 종자형성능이 우수하고 기능성 성분이 높은 ‘일본’은 추후 대추 유전연구 및 교배육종을 통한 품종 육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95.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버네사이트(birnessite, 7 Å manganate, δ-MnO2)는 망간단괴를 구성하는 주요한 광물이다. 버네사이트는 또한 이온교환제와 배터리 재충전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합성법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버네사이트는 화학양론적으로 성립하지 않는 화학조성을 가지기 때문에 합성시 단일 상을 수득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버네사이트 합성과정 중에서 중간생성물로 페이크네타이트(β-MnOOH)가 나타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 중간생성물이 버네사이트로 상전이 하는 특성 차이를 XRD와 SEM 결과를 통해 비교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에 연구된 합성 방법 중에서 산화-환원(redox)반응을 기작으로 하는 Feng et al. (2004)와 Luo et al. (1998) 두 방법을 이용하였다. Feng et al. (2004) 방법으로는 27 °C에서 60일, Luo et al. (1998) 방법으로는 60 °C에서 3일 에이징 한 시료에서 단일 상의 버네사이트를 수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두 시료의 상전이 특성은 Mg2+ 도핑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며 Mg2+ 도핑된 Luo et al. (1998) 방법으로 합성된 버네사이트의 경우 페이크네타이트 상전이 속도가 느리게 나타났고 고온에서 거의 단일 상 버네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결정 표면 및 형태 또한 두 방법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96.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사회적 트라우마를 남기게 되었던 사건·사고에 대한 국내외 추모시설을 대상으로, 사회적 공감과 치유의 공간으로서 기능강화 및 기능회복을 도모하기 위해 주디스 허먼의 트라우마 치유회복단계를 적용하여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전문서적, 보고서, 논문이나 인터넷 자료, 직접 답사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사례의 경우 대부분 치유회복의 1단계 안정에 대한 기능은 보유하고 있으나, 기억과 애도의 기능은 매우 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희생자의 가족과 지인에게만 제공되는 추모의 공간기능이 일부 이루어질 뿐, 일반인들에 대한 기억과 애도의 기능은 거의 없다. 국외사례의 경우 1단계 안전과 2단계 기억과 희생을 추모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기능을 최대화하고 있으며, 3단계 평화와 사랑의 중요성 등을 함께 공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메모리얼 공간적 기능향상 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1단계 안전에 대한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해 장소성, 연결성이 매우 중요하다. 2단계 기억과 애도의 기능강화를 위해서는 방문객들이 아픔을 공감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의 기회를 오감을 적극 활용하여 제공해야 한다. 3단계 연결과 공통성의 회복을 위해서는 1, 2단계와의 선순환적 공간기능이 필수적이다. 방문객들의 공간내 체재시간 확대를 유도를 통해 메모리얼의 의미, 공간의 명확한 목적과 기능을 우선적으로 수립되어야 한다.
        97.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연하천 유로의 선형과 단면 형상은 유수 흐름 및 유사이송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시·공간적으로 연속적 변화를 거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4대강 살리기 사업을 통해 대규모 하상 준설과 시설물 공사가 이루어진 낙동강을 대상으로 인위적 변화가 가해진 유로의 형태학적 특성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연적으로 변화해가는 양상을 살펴보고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강정고령보∼달성보 구간에 대한 수심 및 하천측량을 실시하고 하도 단면의 기하학적 특성치와 유로 선형(곡률)을 지표로 4대강살리기 사업 완료 후 지형의 변화양상과 형태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4대강살리기 사업 종료 후 유의미한 지형변화가 발생하기에는 충분한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기에 지형변화의 정도와 양상에서 특별한 경향 성을 추출할 수는 없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론을 활용한 지형특성 및 변화의 양상과 규모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바이다.
        98.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팥배나무 11개 집단으로부터 잎의 형태적 특성과 변이를 조사하여 조경수로서의 팥배나무 선발 및 육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잎의 형태적 특성 12개를 조사하고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11개 특성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특히 잎의 길이와 너비, 엽면적 등 잎 크기와 관련된 인자들은 마니산 집단이 모두 상위그룹에 속하여 비교적 큰 경향을 나타냈으나, 백운산과 두륜산은 하위 그룹으로 분류되어 비교적 작은 경향을 나타냈다.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1 주성분은 29.9%의 설명력이 있으며 엽면적, 잎의 너비, 잎의 길이 순으로 높은 상관을 나타내어 잎의 형태적 차이를 설명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고, 제5 주성분까지 72.9%의 누적 설명력을 나타냈다. 제5 주성분까지의 득점치를 새로운 변량으로 하여 유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Ⅰ그룹인 광교산과 안면도 집단, Ⅱ그룹인 덕유산 등 3집단, Ⅲ그룹인 발왕산 등 3집단, Ⅳ그룹인 가지산과 축령산 집단, Ⅴ그룹인 마니산 집단 등 5개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지리적으로 인접 집단 간의 구분은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99.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Panax ginseng C. A. Meyer is a medicinal plant corresponding to 'raw materials for food use' in Korean food standards codex, and it is known that it has the same origin although it is classified into wild ginseng, cultured ginseng and red ginseng. It varies morphologically, molecularly, depending on the cultivation or habitat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experiments for the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of cultured ginseng (Hongcheon, Gunsan, Miryang) and adventitious roots culture of wild mountain ginseng (by company). Methods and Results : Morphological observations were made with resin sectioning method (RSM). The test method was sampled, preprocessed, embedded, segmented, slid and then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The epidermis, cortex and vascular tissues were identified in the inner cross section of adventitious roots culture of wild mountain ginseng. Phloem was formed at the center, and xylem was formed at the side. In cultured ginseng, the organs of the vascular tissues were differentiated into two, whereas in the adventitious roots culture of wild mountain ginseng, one vascular tissue was formed due to the thin adventitious. Conclusion : Plant resources have the diversity of using the same or different origins depending on their distribution. The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method of ginseng and adventitious roots culture of wild mountain ginseng is expected to be based on domestic fair trade to prevent discrimination.
        100.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roots of 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are used as medicines such as expectorants, and they are edible. 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currently has a very small cultivation area, and there are no breeding cultivars, most of the native species are cultivated in the farm house.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identification of collecting species characteristic in order to breeding strategy. In this study,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leaves and stems of the collecting species in the area were observed. Methods and Results :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nsam collected from three areas including Cheolwon (41 accession), Jeongseon (19 accession), and Pyeongchang (15 accession) were investigated at the flowering stage on leaf and stem.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leaf characteristics, The leaf shape was the most frequent with 78.9% in the kidney type, 8.5% in the cardiac type, 7.0% in the wide-elliptical type, and 2.8% in the egg and egg-oval type. The leaf length was the most frequent with 67.1% in case of short, 28.6% in case of middle, and 4.3% in case of long. The leaf width was 67.1% in case of middle, 30.0% in case of broad, and 2.9% in case of narrow. Leaf hair was 47.1% in case of plenty, 27.1% in case of middle, and 25.7% in case of small number. The degree of greenness of the leaves was 60.0% in case of middle, 31.4% in case of darkness, and 8.6% in case of lightness. The degree of pigmentation of anthocyanin in petiole was 41.4% in case of lightness, 31.4% in case of darkness, and 27.1% in case of middle.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stem, The presence and absence of hair on the stem was 95.7% in case of little, 2.9% in the middle, and 1.4% in case of plenty. The degree of staining of anthocyanin in the stem was 42.9% in case of middle, 30.0% in case of darkness, and 27.1% in case of lightness. Conclusion : We intend to use this data as a basic data for cultivating varieties by supplementing investigation of traits such as expansion of collection area and investigation object and flower shape in the future.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