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0

        81.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이오디젤은 식물성유지, 동물성유지 그리고 폐식용유를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을 시켜 만들어진 것으로 경유를 대체할 수 있는 연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원료의 식물성유지 (대두유, 폐식용유, 유채유, 면실유, 팜유)로부터 얻어진 바이오디젤의 연료 특성을 알아보았다. 다양한 식물성유지 원료로부터 얻어진 바이오디젤은 지방산메틸에스테르 함량, 동점도, 인화점, 필터막힘점, 글리세린 함량을 분석하였다. 바이오디젤의 품질기준과 시험방법은 한국 표준과 유럽 표준인 EN14214에 따라 시험하였다. 대두유, 폐식용유, 유채유, 면실유 바이오디젤은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에 팜유 바이오디젤은 포화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저온특성, 동점도, 산화안정도와 같은 바이오디젤의 연료 특성은 지방산메틸에스테르의 구성 성분과 관련이 깊다.
        4,600원
        82.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내 농산물 중 주요 채소(9개 품목)에 대한세계 속에서 한국 농업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개방화시대에 국내 농업현장에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품목별 국제경쟁력(RCA, RC, 수출비율지수), 국내시장에서 수입품과의 경쟁력(역RCA, 수입품 국내시장점유율) 및 경쟁국 수입품과의 가격경쟁력을 비교분석하였다.16) 더불어 농산물 유통전문가 설문분석을 통하여 질적인 경쟁력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조사대상 품목 대부분의 수출경쟁력은 매우 취약하였으며, 특히, 2010년 RCA지수는 마늘이 0.004, 양파 0.0238, 멜론 0.1060, 고추(건고추) 0.3637 등으로 비교우위를나타낼 수 있는 수치인 1보다 현격히 낮아 수출경쟁력의 어려움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조사대상 품목 중 착색단고추(파프리카)는 일본시장에서 수출경쟁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격경쟁력은 일본 등 일부국가를 제외하고는 경쟁력이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가격비교에 있어서 관세가 포함될 경우에는 고율의 관세가 부과되는 마늘, 고추(건고추) 등에서는 국내시장에서 수입품과의 경쟁력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농산물 전문 유통인들을 대상으로 한 품질경쟁력 설문조사 결과 국내 채소의 전반적인 품질경쟁력은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과중, 과형, 색깔, 당도, 육질 등 부문별 품질수준에서도 높게 평가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산 딸기의 경우 과중, 색깔, 향기 등에 있어 조사대상 품목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파프리카는 당도와 육질에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국내 농산물이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최우선 고려사항으로는 고품질 브랜드화를 최우선 과제로 지적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신품종 개발, 생산비 절감을 통한 가격경쟁력 제고, 유통구조 합리화 등을 지적하였다. 더불어 보다 현실적 대안으로써 품목특성에 따른 유통단계의 차별화, 즉, 국내산 유통 단계와 수입산 유통단계를 달리 시도하는 방안을 강구함으로써 국민의 식생활 안전성을 지키는 방안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국내 채소류의 경우 FTA 등 수입개방의 확대 속에서 가격경쟁을 통한 경쟁력 확보에는 한계가 따르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어 차별화된 품질향상 등 품질경쟁력 제고를 통한 경쟁력 확보 방안에 주력하는 것이 우리 농업의 유지·발전을 위한 최선의 방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83.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가나슈 제조 시 사용되는 크림의 지방 종류(동물성 유크림과 식물성 크림)에 따라 함유량을 달리하여 제조하고 이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관능특성을 분석하여 지방 종류와 함유량에 따른 품질특성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대조군으로 100% 동물성 유크림을 첨가한 가나슈에서 유크림 함량의 25, 50, 75, 100%를 식물성 유지로 대체하여 시료를 제조하여 일반 성분분석, 색도, 점도, texture profile analysis, 산가,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가나슈의 수분 함량은 5.71-6.22%의 범위로 크림의 유지방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수분의 함유량도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조단백질은 5.04-5.73%의 범위에서 유지방의 함유량이 증가하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오지 않았다. 조지방은 29.49-31.77%, 조회분은 0.38-0.40%로 나타났다. 색도를 분석한 결과 명도와 황색도는 MC0 시료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MC100 시료가 가장 낮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점도는 수분함량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수분함량이 가장 높았던 MC100 시료가 가장 낮은 점도를 보였고, 식물성 유지의 함량이 증가하면서 점도도 증가하였다. 이는 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계적 품질특성은 경도(hardness)는 식물성 유지의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고, 탄력성(springiness)과 씹힘성(chewiness), 부드러움(softness)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산가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되었으나, 불포화지방의 함유량이 높은 유크림의 비율이 높은 경우 전체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어 식물성 유지 첨가에 따라 저장성이 높아지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는 경도(hardness), 융해도(melting rate), 점착성(sticky), 건조성(dry), 탄력성(springiness)은 식물성 유지의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부드러움(softness)은 시료간의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볼 때 가나슈 제조 시 사용하는 식물성 유지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경도(hardness), 점착성(sticky), 탄력성(springiness)과 같은 특성이 강화되어 시료의 견고성 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제로 저장성 실험에서 산가의 증가도 낮은 수준을 보여 저장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경도와 점착성, 건조도, 거친정도의 증가로 인해 기호도 측면에서도 긍정적인지는 향후 기호도 조사를 통해 확인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4,000원
        84.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iodiesel production characteristics in a pulsed-corona plasma reactor has been investigated through parametric tests. Transesterification of rapeseed oil together with camelina oil was done with the change of such variables as voltage of power, molar ratio, KOH catalyst and temperature. The energetic electrons emitted from pulsed-corona plasma has contributed to the enhancement of yield on rapeseed oil in short time (15 min). The higher yield on camelina oil was observed in 5 min. The optimal parameters were shown as the voltage of 23 kV, the molar ratio of 5/1, the content of KOH catalyst of 0.6 wt% and the temperature of 28℃ under the rotating rate of spark gap of 900 rpm.
        4,000원
        85.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인구 증가 및 기후 변화로 인해 채소를 비롯한 농작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가운데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채소 및 식량자원의 자급 달성을 위한 대규모 사업을 추진하여 왔다. 그 결과독립 후 현재까지 약 20년간 채소 생산량은 약 140%, 감자는 168%각각 증가하였고, 특히 최근 5년간에 채소 생산량은 1.7배나 증가하였다. 채소 생산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우즈벡은 여전히 수요량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인구 증가와 더불어 정부의 목화와 곡물 생산 집중, 관개면적의 확대 제한 등에 기인하고있다. 우즈벡의 채소산업의 미래는 생산 장려와 수출가능성 때문에 밝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채소 공급업자들은 러시아, 카자흐스탄과 같은 주요 수출시장에 기반을 구축해 있고 그 외 중앙아시아와 중국 시장도 우즈벡 채소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말해 주고 있다.
        4,000원
        89.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predictive mathematical models were developed to predict the kinetics of Listeria monocytogenes growth in the mixed fresh-cut vegetables, which is the most popular ready-to-eat food in the worl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4, 10, 20 and 30oC). At the specified storage temperatures, the primary growth curve fit well (r2 = 0.916~0.981) with a Gompertz and Baranyi equation to determine the specific growth rate (SGR). The Polynomial model for natural logarithm transformation of the SGR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was obtained by nonlinear regression (Prism, version 4.0, GraphPad Software). As the storage temperature decreased from 30oC to 4oC, the SGR decreased, respectively. Polynomial model was identified as appropriate secondary model for SGR on the basis of most statistical indices such as mean square error (MSE = 0.002718 by Gompertz, 0.055186 by Baranyi), bias factor (Bf = 1.050084 by Gompertz, 1.931472 by Baranyi) and accuracy factor (Af = 1.160767 by Gompertz, 2.137181 by Baranyi). Results indicate L. monocytogenes growth was affected by temperature mainly, and equation was developed by Gompertz model (−0.1606 + 0.0574*Temp + 0.0009*Temp*Temp) was more effective than equation was developed by Baranyi model (0.3502 − 0.0496*Temp + 0.0022*Temp* Temp) for specific growth rate prediction of L. monocytogenes in the mixed fresh-cut vegetables.
        4,000원
        90.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춘천지역에서 발생하는 환경 오폐수를 시료로 하여 미생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수질정화제를 실제 하천과 호수의 오염환경과 유사한 배양기내에서 생물학적반응을 시켜 오염물질의 정화정도를 측정하고 평가하였다. 사용된 미생물은 식물성 유산균(vegetable Lactobacillus fermentum),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와 고초균(Bacillus subtilis)이다. 두 가지의 미생물혼합제를 투입하여 정화정도를 실험하였다. 실제 하천에 투입하여 정화되는 과정과 유사하게 반응을 시키고자 반응 온도는 21(±3)oC로 하였으며 완전교반을 진행하였다. 사용한 시료의 오폐수의 오염도와 미생물에 의한 정화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총질소 함량과 총인 함량을 측정하였다. V.L.F.와 S.C.의 혼합물로 구성된 혼합제의 경우 총질소함량을 감소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으며, V.L.F., S.C.,와 B.S.로 구성된 혼합제의 경우 그 총인의 함량을 저감화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실험 데이터를 통하여 V.L.F.와 S.C.의 혼합제가 오폐수의 정화반응에서 나타나는 반응상수값을 도출하였으며 그 값은 0.178 day-1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저감화하고자 하는 성분에 따라 미생물의 종류와 그 혼합비를 조절하는 최적화과정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곡선적합으로 도출한 반응상수값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호수와 하천의 정화정도를 simulation함에 필요한 실험인자로서 응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4,000원
        9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ransesterification of rapeseed oil, soybean oil, and mixed fat were conducted at 65℃ with Al2O3-supported CaO, 0.8 wt% KOH, 1 wt% NaOH and mixed catalyst. The overall conversion(%) of rapeseed oil indicated to be 96% at the 12:1 molar ratio of methanol to oil, 8 wt% CaO and 2 wt% water. The pH ranges of biodiesel for mixed fat using four catalysts and for three fats using 8wt% CaO were 7.3-9.1, 7.3-7.5, respectively. The volumes of water needed to wash biodiesel from rapeseed oil using 0.8 wt% KOH and 8 wt% CaO were 15 mL and 3 mL.
        4,000원
        92.
        200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참기름은 높은 항산화활성 및 항암작용 등의 우수한 영양학적 가치를 지니는 반면 비싼 가격으로 인하여 가짜 참기름의 유통이 범람하여 이를 판별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의 확립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량분석기를 바탕으로 한 전자코를 이용하여 대두유가 혼합된 참기름을 제조하여 진위 판별을 시도하기위하여 각각의 유지를 전자코를 이용하여 분석, 통계처리하였다. 혼합 참기름의 휘발성 향기성분으로부터 생성되는 ion fragment 중 40-160 amu에서 각 시료 간에 차별성이 높은 fragment (m/z)를 선택하여 해당 intensity값을 판별 분석한 결과, 참기름 및 대두유는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참기름 및 대두유, 옥수수유, 들기름을 각각의 순수한 상태로 향기성분 분석을 한 결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정확하게 분리됨을 알 수 있었고, 대두유와 옥수수유의 경우 타 기름과는 달리 순수한 공기 성분과 비슷한 위치에서 확인되는 것으로 휘발성 향기성분의 감응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미량의 대두유가 혼합된 참기름은 첨가된 대두유의 농도에 비례하여 제1판별함수값(DF1)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참향후 참기름의 위조 여부를 검증하는 방법에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93.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on the feasibility of use of glycoprotein in various areas such as cosmetics and food etc. by extracting, isolating and refining glycoprotein from carrots, red ginseng extract residue, sesame and pine needles using protease(pepsin) and by analyzi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asuring various bioactivities. The results of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 showed protein contents of glycoprotein. In the analysis of constitutive amino acids, the ratio of contents of hydroxy proline and glycine, the characteristics of glycoproteins appeared similar and the contents of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appeared higher. As a result of measurement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it showed that glycoprotein had more contents generally, and the effect of bioactivity of glycoprotein appeared higher although different kinds of glycoprotein showed a little DPPH radical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total antioxidant capacity by ABTS, ACE inhibitory.
        4,800원
        94.
        200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using agricultural information and develope desirable strategy to offer agricultural information for leaf vegetables farmers.187 farmers are surveyed to collect data. Many farmers get agricultural information through various channel.They satisfied with agricultural information contents, rightness of time but dissatisfied with the easiness of gain, fitness of information relatively. And the mean score of farmer's information needs on agricultural information were higher than that of theoretical mean. relatively high items were new seed information, technology of cultivation, pesticide purchase and prevention, laborer finding, consumer information, the trend of leaf vegetables price, marketing place, government's agricultural policy and laws etc.To make farmers get information easily, we recommend to gather information at one place and provide them on internet portal site composed with information related for paddy rice farmers. To make desirable information service system, farmers should bring up their internet searching ability, and agricultural extension officers in count/city have to make effort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more often by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visiting farmers, using internet or e-mail service, pamphlet, and so on.
        5,700원
        95.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egetable eating behaviors and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stage of change for vegetable intake. The subjects consisted of 191 fourth and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Gyeonggi province. The stage of change for vegetable intake was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precontemplation (PC, 18.4%), preparation (P, 43.5%), and action/maintenance (A&M, 48.2%). The trend to eat a variety of foods was more distinctive as the students went from the PC to the A&M stage. The stage of change for vegetable intake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kimchi-eating pattern of the students. The A&M group ate more vegetables than the PC group because they liked vegetables and/or wanted to prevent disease. The PC group had a lower tendency to follow recommendations for vegetable eating than the P and A&M groups. The PC group also had an incorrect notion that low vegetable consumption over an extended time would not have a big impact on their health. The vegetables of high preference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potato, sweet potato, lettuce, radish, perilla leaf, cucumber, and cabbage. The vegetables of low preference were spinach, onion, balloon flower, and green pepper. The PC group had lower preferences for most vegetables than the P and A&M groups. Therefore, careful nutrition education is necessary especially for students in the PC group in order to explain the positive effects of vegetable intake and negative effects of an unbalanced diet. It is also necessary to survey students' tastes consistently and to develop recipes that encourage them to consume more vegetables agreeably.
        4,000원
        99.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ing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food involvement, health, mood, convenience, sensory appeal, weight control and vegetable consumption. A total of 290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measur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constructs.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 for the data also indicated excellent model fit. The effects of food involvement on health, mood, convenience, sensory appeal, weight control and vegetable consump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expected, health, mood, sensory appeal and eight control had significant effects on vegetable consumption. Moreover, health, mood, convenience, sensory appeal and weight control played medi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involvement and vegetable consumption. In conclusion, based on structural analysis, a model was proposed of interrelations among food involvement, health, mood, convenience, sensory appeal, weight control and vegetable consum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riginal vegetable consumption model was modified and should, preferably, be alidated in future research. Other variables, such as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may be incorporated to form vegetable consumption models that consist of new antecedent and consequence pair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