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네슘을 이용한 침샘검사의 시간-방사능 곡선에서 다양한 기능매개변수지표를 획득하여 환자 군과 건강한 정상군과의 비교를 통해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4년 12월부터 2015년 2월까지 구강 건조증으로 침샘검사를 시행한 환자군 30명과 건강한 정상군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99mTc-과산화테크네슘 370 MBq을 정맥으로 주사 후 20분에 비타민C 파우더를 입안에 투여하여 10분 동안 촬영하였다. 분석방법은 귀밑샘과 턱밑샘의 관심영역을 정하여 시간-방사능 곡선을 그린 후 곡선의 각 위치에서 다양한 기능매개변수 지표를 획득하고, 구강 건조증 환자군와 정상군을 비교하였다. 비교 및 측정에 적용된 방법으로는 섭취율(uptake ratio, UR), 최대 방사능 시간(time at maximum counts, Tmax), 최소 방사능 시간(time at minimum counts, Tmin), 최대 축적율(maximum accumulation, MA), 축적속도(accumulation velocity), 최대 배출율(maximum secretion, MS), 최대 자극 배출율(maximum stimulation secretion, MSS), 배출속도(secretion velocity, SV)를 사용하였다. 환자군과 정상군간의 기능매개변수지표 비교에서 환자군의 최소 방사능 시간(Tmin)을 제외한 모든 지표에서 건강한 정상군이 환자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시간에 따른 변화량에서도 정상군이 환자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침샘검사에서 다양한 기능매개변수지표를 이용한 정량분석은 구강 건조증 환자의 침샘 기능을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정보로 평가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목표는 한의학을 기초로 한 새로운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한방화장품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의학에서는 얼굴과 피부에 나타나는 현상을 분석하는 것이 환자의 질병과 체질을 예측하는 중요한 방법이었다. 내부 장기의 상태를 얼굴에 발현되는 증상과 피부를 통해 진단하는 방법을 한의학의 진단체계에서는 ‘망진(望診)’이라 한다. 이에 저자들은 지난 5년간 인삼농축크림을 사용한 피검자군 여성 11명과 대조군여성 11명을 대상으로 한의사 3인의 망진 평가와 비침습적인 피부 실측 과정(non-invasive skin bio-engineering)을 병행하여 두 그룹 간의 피부 상태를 비교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총 17항목의 망진 평가에서는 7개 항목에서 인삼농축크림 장기사용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7가지 피부 측정항목에서는 유분, 거칠기, 색소침착 면적과 눈가 주름 깊이에서 인삼농축 크림 장기사용군이 대조군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본 실험을 통해 인삼농축크림의 장기사용이 피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한의학적인 진단법과 현대기기를 이용한 피부 계측 방법을 융합하여 한방화장품의 특성을 살린 신규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Recently,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MSC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useful source for regenerative therapy. Controlled production of cell therapy requires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an accurate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monitoring for quality assurance of developing MSCs mediated. In this study, we were confirmed maintenance of potency of isolated and cultured human umbilical cord (hUC)-MSCs during ex vivo expansion or after cryopreservation. Expression of their cell specific marker was analyzed by flow cytometry and the differentiation potency was confirmed by guided differentiation of adipocyte, osteocyte, chondrocyte and hepatocyte after expanding over 15 doublings in vitro. Safe production of developing a cell therapy was proved by testing for microbial, mycoplasma, endotoxin, and adventitious agents. Also stability of cells in cultivation, preservation and/or differentiation was determined chromosomal assay. In developing using hUC-MSCs, cells showed an accurate isolation and stable expansion in ex vivo condition. The results of several management assay showed that the stem cell marker expression of CD31, CD34 and CD45 were under 10%, however CD90 was over 90% by FACS analysis. Any contamination and mutation in all tests weren't detected in specific points for safe or stable production of hMC-MSCs. Also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potency maintains during in vitro culture and after cryopreservation of hUC-MSC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standard methods of maintenance of hUC-MSCs for cell therapy products and clinical application.
기능성 게임은 현재 정부, 교육, 군사, 기업 그리고 보건 및 의료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확장되고 있다. 특히 보건/의료 기능성 게임은 예방과 치료를 위한 유용한 도구로 인식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천식, 당뇨, 암, 뇌질환, 백혈병 등의 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상태를 호전시키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효과들을 토대로, 미국과 유럽 등에서는 건강심리, 가상현실, 행동의학 등의 다학제간 융합연구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게임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이에 대한 체계적인 학문적 접근은 물론 개발사의 효과적인 기획 전략 수립과 다양한 개발 노력도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건/의료 기능성 게임에 대한 기존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그 개념과 효과, 분류체계를 정리하고, 대표적인 성공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관련 연구와 개발 및 기획에 대한 개괄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보건/의료 기능성 게임의 성공적 개발을 위해서는 의학적 근거와 과학적 설명을 근간으로 기획 단계부터 관련 이론을 체계적으로 적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보건/의료 기능성 게임에 적용되었거나 향후 활용 가능한 이론들을 정리하고, 성공사례 분석과 결부해 연구자와 개발자, 그리고 의료 전문가들이 고려할 사항과 방향성에 대한 제언을 정리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oohwangcheungsimweun (ox bezoar), deer antlers, and wild ginseng on induction of cardiomyocyte differentiation using the established mouse embryonic stem (ES) cells. The expression of 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 was highest in Woohwangcheungsimweun treatment group. The expression of rabbit anti-GATA-4(GATA-4) and troponin (TnI) were highest in wild ginseng and Woohwangcheungsimweun treatment groups, respectively.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 (FACS) analysis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ANP was highest in Dimethyl sulfoxide(DMSO) and Woohwangcheungsimweun treatment groups. The expression of GATA-4 was relatively high in wild ginseng treatment group. The expression of TnI was highest in Woohwangcheungsimweun treatment group. In the gene expression analysis, DMSO greatly inhibited GATA-4 expression to 25% of control. Woohwangcheungsimweun treatment caused to increase cTnI and cardiac ANP expression significantly. Wild ginseng extract upregulated GATA-4 gene expression. In conclusion, DMSO widely used as cardiomyocyte differentiation inducer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on the expression of ANP, GATA-4 and TnI in this study. Woohwangcheungsimweun showed upregulation of ANP and TnI expression. Wild ginseng extract showed greater effects than DMSO on GATA-4 expression. These results might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Woohwangcheungsimweun and wild ginseng extract treatment can be expected to increase expressions of all three genes.
핵의학과에서 시행되는 일반 영상 검사는 수검자의 검사 접수로부터 의사의 판독까지의 과정 동안 오류가 발생된 다. 이러한 오류는 최종단계인 의사 판독 시에 확인되어 재검사나 추가촬영, 결과의 재분석, 그리고 PACS 영상의 수정 등의 내용을 영상실 검사 담당자에게 지시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얻어진 결과는 검사에서부터 판독까지의 시간 지 연을 초래하고 또한 추가검사가 발생될 경우 환자 만족도와 병원의 신뢰도가 하락하게 된다. 따라서 영상 검사의 접수 부터 결과 확정까지 발생되는 오류를 개선하여 수검자들의 불만 감소에 따른 환자 만족도 증가와 근무자들의 업무 효 율 증가를 목적으로 한다. 2008년 3월부터 12월까지 9개월간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일반 영상 검사를 하는 수검자의 검사 오류를 분석하여 2009년 1월부터 12월까지 12개월간 1차 개선 활동으로 검사 절차서의 재 확립 및 검사 업무 기술서 작성, 2010년 1월부터 6월까지 6개월간 2차 개선 활동으로 Pre-filtering & Post-Filtering, 2010년 7월부터 10월까지 3개월간 3차 개선 활동 Cross-Check와 스티커 제작 및 부착 실시 이후 검사 오류 건수를 수집하여 비교하 였다. 연도별 오류 건 수는 92건에서 1차, 2차 개선 후 32건, 3차 개선 후 46건으로 나타났고, 검사자에 의한 오류는 전체 오류원인의 94.6%이던 것이 74.3%로 감소되었다. 핵의학 일반 영상 검사는 다양한 검사의 종류와 서로 다른 전 처치 및 결과산출, 영상의 구성, PACS 전송 영상의 차이로 인하여 검사자의 실수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줄이기 위한 개선 활동이 지속되어야 하며 각 영상실 담당자들의 지속적인 Cross-Check와 판독실의 Confirm 과정을 통하여 개인별 편차를 줄여나가야 할 것이다.
시판 19종 한약재 methanol 추출물의 어병세균 Edwardsiella tarda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오배자 추출물에서 가장 강한 활성이 나타났다. 오배자 methanol 추출물은 용매 극성에 따라 분획하였으며, 각 분획물의 항균활성 측정 결과 ethyl acetate 층에서 가장 강한 항균 활성이 나타났다. 이는 E. coli와E. tarda 모두에 대해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오배자 추출물의 최소생육저해농도(MIC)를 측정한
신선한 울릉도 민들레 뿌리를 70% ethanol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n-hexane, EtOAc, n-BuOH로 순차용매 분획하였다. 이중 상대적으로 높은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을 나타낸 EtOAc 분획에 대해 Toyopearl 및 겔을 활용한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5종의 페놀성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스펙트럼 데이터 해석 및 표품과의 HPLC 직접 비교를 통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at quality inspection of distributed Scutellariae Radix in Korea.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se herbal medicines, we carried out TLC pattern, foreign matter in purity, loss on drying, ash, acid-insoluble ash, oil content, dilute ethanol-soluble, water-soluble, ether-soluble extracts contents, quantitative analyses, residual SO2, individual heavy metal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To measure contents of baicalin, baicalein and wogonin, we were quantitative analyzed using HPLC. The average contents of baicalin, baicalein and wogonin were detected by 13.28 (±0.43)%, 1.17 (±0.04)% and 0.40 (±0.02)%, respectively. Each average contents As, Cd, Hg and Pb was 0.059 (±0.054) mg · kg-1, 0.019 (±0.010) mg · kg-1, 0.017 (±0.057) ppm and 0.242 (±0.084) mg · kg-1, respectivel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mixed herbal medicine for the substitution of antibiotics on the performance of laying hens. Day old hyline 1,500 layer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to 4 treatments. Control were 600 and three each treatment was 300. Eggs were collected at every weeks for measuring egg production and week 26, 27, 28 for chemical analyses. Chemical analyses were done for fatty acid profile of egg yolks, amino acid, antibiotics residue in eggs(collect eggs after supplying OTC 21ppm/bird/day to control for four day at 26, 27, 28) during the laying period(19~77 wk). On 0~4 week, T-3 showed higher feed intake than those fed the other diets and on 5~13 week, T-2 showed highest feed intake among treatments. After birds were moved (14~18 wk) CT-3 showed highest, but for overall rearing period,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In conclusion the mixed herbal medicine did not tended to influence palatability to rearing birds. Egg quality(egg yolk color, haugh unit, eggshell breaking strength) showed no difference among treatments. Ratio of unsaturated fatty acid (mg/100g)/saturated fatty acid (mg/100 g) was no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but linolenic acid and docosahexaenoic acid(DHA) of the mixed herbal medicine treatments showed higher then control. The antibiotics residue of CT, T treatments egg was not detected and control was not detected or below allowance. In conclusion the mixed herbal medicine can be possible to feed laying hen without antibiotic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 of the mixed herbal medicine for the substitution of antibiotics on the performance of laying hens. Day old hyline 1,500 layer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to 4 treatments. Control were 600 chicks and there were three treatments of each 300 chicks. The 4 treatments were as follows: the mixed herbal medicine 0.1%(T-1), 0.3%(T-2) and 0.5%(T-3) after removed antibiotics on commercial feed and commercial feed(control) from 5th week to 13th week, each treatment was replicated 3 times and from 14th week to 18th week. Each 100 hens of the mixed herbal medicine 0.1%(CT-1), 0.3%(CT-2) and 0.5%(CT-3) were moved to cage. Body weight were measured on 4th, 8th, 13th week and feed intake, mortality were measured on every weeks. Body weight at fourth week, all treatments tended to be higher than control and T-3 statistically was highest(p<0.01). On 8th week, also treatments statistically high and T-1 was highest(p<0.01). But 12th week,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hat the mixed herbal medicine substitute for antibiotics after vaccination. Mortality was not different between treatment and control overall rearing period. Early laying period(19~41wk), T-2 showed highest feed intake(107.1g) among treatments, later laying period(42~77wk), T-1 showed highest feed intake(134.3g) and was not any different among each treat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