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2

        101.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증가하는 사이버 괴롭힘 사안처리과정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어려움을 탐색하여, 사이버 괴롭힘의 실태 및 교사의 상호작용 전략에 대해 파악하고 효과적인 접근 및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인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사용하여 사이버 괴롭힘 사안처리과정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어려움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연구 참여자는 의도적 표집(purposive sampling)을 통해 최근 2년 내에 사이버 괴롭힘 사안처리 경험이 있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9명의 중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자료는 참여자들과 일대일 심층면접을 통해 개방코딩(open coding), 축코딩(axial coding), 선택코딩(selective coding)의 세 과정의 분석을 거쳤으며, 분석 결과 133개의 개념과 56개의 하위 범주 및 25개의 범주를 바탕으로 도출된 패러다임 모형(paradigm model)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사이버 괴롭힘 사안 처리과정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어려움은 사이버매체와 사이버공간에서 나타나는 청소년특성 요인에 기인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른 어려움을 인식한 교사가 학생과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대처하는지를 탐색하였으며, 긍정적 및 부정적인 측면에서 확인된 결과를 정리하였다. 이들의 실제 경험에 근거하여 분석된 결과에서 제시한 패러다임 모형을 바탕으로 학교에서 사이버 괴롭힘의 사건을 처리해나가는 과정에서 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구체화시킨 점에서 의의를 지니며, 학교현장에서 앞으로의 실천적 해결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102.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예비 초등교사들의 사회과 다문화수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파악하고 초등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총 25명의 예비 초등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학년과 주제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작성한 사회과 다문화 수업지도안과 본 연구목적에 적합하게 수정한 CoRes(Content Representations)기반 질문지에 대한 답변을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초등교사들은 사회과 다문화 수업의 목적으로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 존중, 포용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그 이유로 국내 다문화가정의 증가와 세계화시대 글로벌 시민성의 필요를 꼽았다. 둘째, 예비 초등교사들은 사회과 다문화수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다문화 가정 학생의 수업참여 유무와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수준을 가장 깊게 고려하였다. 또한 사회과 다문화수업을 구성할 때 다문화로 발생하는 사회문제에 해결책을 찾는 문제해결학습을 주로 활용하였으며 가치와 태도에 중심을 둔 평가를 실천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예비 초등교사의 사회과 다문화수업 인식이 초등교사교육 전반에 주는 시사점으로는 첫째, 예비 초등교사들에게 다양한 다문화 경험과 체험의 기회를 교원양성과정 속에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과 다문화수업의 가치태도 평가방법에 대한 의견과 아이디어들이 더욱 활발하고 풍부하게 논의되어야 한다. 셋째, 현실을 정확하게 반영한 다문화 교재개발 및 교육적 차원에서 정선된 다문화 교육논리와 개념이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문제해결로서의 다문화교육을 넘어 다양한 논리의 사회과 다문화 수업인식이 요구된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103.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학교 영어교육의 중장기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학교 영어교육의 실태와 기대에 대한 학생, 교사, 학부모의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해 비교 제시하였다. 설문조사에는 학생 1,007명, 교사 144명, 학부모 340명이 참여하였으며, 주요 설문 내용으로는 학교급별 영어 수업시수, 최종 희망-예상 영어능력 목표, 학교 영어교육의 최종 목표, 현재 추진 중인 영어교육 정책에 대한 인식을 묻는 질문이 제시되었다. 각 설문 응답에 대한 결과는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 경향성을 제시한 후 추론 통계를 실시하여 세 집단 간의 인식 차이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교사, 학부모들은 유사한 인식을 갖고 있었으나 학생은 다른 두 집단과 상이한 인식을 보였다. 특히 영어 수업 시수에 있어서 대다수의 학생들은 현재 영어 수업시수가 적절하다고 응답하였으나 교사와 학부모는 학생에 비해 영어 수업시수가 충분하지 않아 확대해야 한다는 비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생, 교사, 학부모의 희망 대 예상 영어능력 목표 간 차이가 컸으며, 교사와 학부모는 학교 영어교육만을 통해서도 중급 이상의 영어능력 수준에 도달하게 될 것으로 기대했으나 학생들은 이보다 비교적 낮은 기대수준을 갖고 있었다. 셋째, 학교 영어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로 세 집단은 각각 다른 응답 양태를 보였지만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실용영어 능력 신장을 위한 영어교육을 우선순위에 두어야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한 의견을 나타냈다. 넷째, 영어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응답으로는 ‘흥미와 자신감을 키워주는 수업 자료 보급’이나 ‘교과서 이외의 실제적 교수·학습 자료의 활용’와 같은 교수학습 자료개발 및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평가 관련 정책과 관련하여 ‘수업과 연계된 평가’ 또는 ‘과정중심 평가도구 개발’에 대한 높은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초·중등학교의 영어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104.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09년 시범사업으로 시작된 대체교사 지원사업 제도를 진단하고 향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3개시 어린이집 원장 221명, 교사 590명, 총 811명을 대상으로 원장과 교사의 배경별 대체교사 지원사업 이용여부, 대체교사 지원사업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대체교사 지원사업 이용 경험이 있는 원장과 교사의 인식, 대체교사 지원사업을 이용해보지 않은 원장과 교사의 대체교사 지원사업 이용 실태와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원장과 특히 교사를 대상으로 대체교사 지원사업에 대한 적극적 안내가 필요하며, 대체교사 지원 수요에 비하여 대체교사 지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대체교사 인력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보육교사의 자유로운 연차사용 환경조성과 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와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105.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부모-교사 간 동반자 관계 형성을 장기적 목적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유아교육기관에서 경험하는 유아교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어머니 11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육기관 참여도, 신뢰도, 소속감, 소통의 네 가지 면담준거로 반구조적인 질문의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들의 교사에 대한 인식은 ‘어머니 입장을 배려하는 친절한 선생님’, ‘적극적 관심과 돌봄을 주는 고마운 선생님’, ‘우리 아이들이 좋아하는 선생님’, ‘교육에 절대적인 신뢰감을 주는 선생님’, ‘특별함이나 편견을 갖지 않는 평등한 선생님’이라는 긍정적 인식이 도출되었다. 반면, ‘봉사나 도울 기회를 적 극적으로 요청하지 않는 선생님’, ‘부모공동체 형성에는 소극적인 선생님’의 다소 부정적 인식이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교사와의 동반자적 관계를 통한 유아교육공동체 실현 과 정착을 위하여 부모, 교사와 기관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106.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장기적 목적으로 유아교사가 인식한 다문화가정 부모의 유아교육기관과의 관계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농촌과 도시 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18명을 대상으로, 담임학급의 다문화가정 부모의 유아교육기관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개별 또는 2인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을 위한 질문은 부모 참여도, 신뢰도, 소속감 및 교류, 소통 등의 네 가지 면담준거에 대해 개방식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들은 교육기관 행사와 활동에 참여하는 강한 실천 의지와 소극적 태도를 동반, 교사와 기관에 대한 신뢰에는 양면성을 그리고 교육기관 자랑에 앞장 서는 소속감을 가지고 있지만 끼리끼리의 부모 간 교류의 특징, 마지막으로 반복적인 “네 네, 알겠습니다.”의 모호한 소통이 있음을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유아 교육공동체 실현과 정착을 위한 교사와 기관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107.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변화를 알아 보고, 이를 기초로 추후 장애유아통합교육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한 교사양성방안을 모색 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대상은 D지역 유아교육과 2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 교사 22명이며, 교육 전후 예비유아교사들이 작성한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질문지와 반성적 저널, 그림책 분석자료 및 교육계획안을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혼합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양적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 질적분석은 Nvivo 1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저널 중심으로 분석하였 다. 본 연구 결과, 그림책 활용 장애아이해교육을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지적장애와 자폐 성장애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성적 저널 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은 타자화 된 장애에 대한 경계를 허물고, 장애통합교육이 장애아와 비장애아 모두를 위한 교육이며, 장애유아통합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로서의 소명감 을 인식하게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108.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다양한 전공의 예비교사 63명이 지구 환경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을 빅 히스토리의 관점에서 조사하는 것이다. 빅 히스토리는 지구를 하나의 공동체로 보고 하나의 역사로 다루며 인간과 자연 그리고 우주의 소통과 공존을 강조하는 시각이다. 과거로부터 현재로 지구 환경의 변화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예비교사가 60%에 달했으나 현재에서 미래로의 변화에 대해서는 40%가 부정적 인식을 표출하였다. 환경 변화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예비교사는 21%에서 31%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중립적 인식을 나타낸 예비교사들 역시 19%에서 29%로 늘어나는 추세였다. 예비교사들이 과거에서 현재로 지구 환경의 변화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현재에서 미래로의 변화는 지구의 환경이 인간에 의해서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사범대학의 교사 양성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의 환경 소양을 신장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부정적인 환경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미래 세대에게 요구되는 글로벌 세계관을 가진 지구 시민을 양성하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빅 히스토리는 유용한 교육 방안이 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한다.
        109.
        2018.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IPA를 활용하여 학교현장 실습 전· 후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역량 중요도와 실행역량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D시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 4학년 106명(A대학 40명, B 대학 66명)이다. 이를 위해 교사역량 질문지를 사용하여 중요도와 실행역량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빈도분석과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유아와 직접적인 상호작용, 교육과정과 수업계획, 일과운영, 교사로서의 열정은 학교현장실습 전과 후, 중요도와 실행역량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 후에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근거한 계획, 교직윤리관 형성이 중요도와 실행역량을 높게 인식하였다. 유아관찰과 평가, 건강과 영양지도, 실습 후 교육활동 목표 내용 평가와 문서양식에 적합한 내용 기술, 지역사회 기관, 전문가와의 협력 역량은 개선과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방법, 평가결과 기록, 평가의 활용,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관계에 대한 역량은 중요도와 실행역량 인식이 모두 낮게 나타났다. 실습전과 후에 모두 실행역량에 대한 인식이 높고 상대적인 중요도는 낮게 인식한 역량은 다양한 흥미영역 구성이었으며,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근거한 계획과 목표 유아흥미 개선이 포함된 마무리와 평가는 유지 또는 개선이 필요한 역량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원 양성 교육과정에서 학교현장실습 전 교육과 실습 후 어떠한 교육과 지원방안이 필요한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110.
        2018.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음악교육에 대한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72명이었다. 유아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실태와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분석 및 전문가 협의 등을 통해 ‘유아음악교육 실태’, 유아음아교육 인식‘의 2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총 23문항의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설문지를 연구대상에게 배부하고 회수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χ²-검증, t-검증, 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집단 간 차이 분석을 위해 Scheffe검증을 통해 추후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유아 음악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실태와 인식은 교사의 변인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111.
        2018.10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업상황에서 유치원 교사들은 어떤 수업대화를 중요하게 인식하는지와 그 수업대화에 대한 자신들의 실행수준은 어느 정도인지를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유치원 교사의 수업대화 측면에서 향후 개선 노력해야 할 항목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96명의 유치원 교사였고, 연구도구는 김호(2015)가 개발한 유아교사의 수업화법 능력 평가 도구 설문을 활용하였다. 유치원 수업대화에서 나타난 항목들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평정한 자료를 수집하고, 대응표본 t검증과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경청하기, 격려와 칭찬하기, 동기유발하기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피드백하기와 질문하기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행도 측면에서는 유치원 교사들은 설명하기에서 가장 높은 실행도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는 격려와 칭찬하기, 경청하기, 동기유발하기, 피드백하기, 질문하기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효율적인 수업대화에 대한 IPA 분석 결과, 향후 개선노력을 집중해야 할 항목으로는 유아의 대답에 따뜻하게 반응하기, 개방적인 질문 자주 사용하기, 자료나 매체 적절하게 사용하기, 유아의 내적 동기 유발하기 항목이었다.
        112.
        2018.10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여 추후 유아영어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시에 근무하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250명, 학부모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카이제곱검증(x2)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와 학부모 모두 유아영어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학부모의 인식이 교사의 인식보다 더욱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영어교육의 목표로 교사와 학부모 모두 영어에 대한 친밀감 갖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영어교육의 적합한 교육방법으로 교사와 학부모는 만3~5세의 유아들에게 유아교육기관에서 주 2~3회 20분 이내 모든 유아들에게 일시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유아영어교육의 적합한 교수법으로는 데일리루틴 교수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유아영어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은 교사와 학부모 유아의 실제 영어 활용기회 부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유아영어교육의 효과에 대해서는 영어에 대한 유아의 흥미와 동기유발이 증진된다는 것에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3.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rapid economic growth, the urban environment has created a problem of human physical and mental illnes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urban forests have emerged as a way to mitigate the environmental risks through improving the polluted environment of the city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s the urban forests have expanded, the school forests movement has also been taking an important place recently. The study focused on the performance of school forests by comparing the perceptions among teachers and students about their function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 questions concerning human matters, 10 questions for space recognition, 4 questions for thermal environment, 2 questions for health promotion, and 20 total questions for composition of survey items. The reliability of the school forest function, number of tree planting areas and quantities, the harmony of the planting, and the satisfaction of the school forest were analyzed in the questionnaire conducted by the school members. Although it does not recognize school forests, it has a positive response to the green space that is built outdoors. It is considered that outdoor education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re sufficient in school forests and green spa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utdoor green space was more satisfactory when compared with the general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references were similar to 'seasonal changes' and' trees of various colors and shapes'. The reliability analysis between each item shows that the coefficient for cronbach ' s α was . 700 to . 83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forest function among school forest members and to utilize them as a basic data in the future.
        114.
        2018.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이와 관련된 교사 배경 변인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은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 교수기술, 교수지식, 내재적 교직지속 동기, 외재적 교직지속 동기, 자기조절능력의 6가지 하위범주가 있으며, 교사 배경변인으로는 교직경력, 근무기관유형, 담당학급연령, 근무기관 소재지이다. 영유아교사 41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한 결과 먼저,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은 높은 편이었으며, 하위 범주의 교수지식, 내재적 교직지속 동기, 교수기술,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 자기조절능력, 외재적 동기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 관련 교사 배경 변인에서 교직경력은 내재적 교직지속 동기 외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근무기관유형에서는 교수지식과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 근무지역 소재지에서는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 그리고 담당학급연령에서는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와 외재적 교직지속 동기의 하위범주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영유아교사들의 보다 긍정적인 전문적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하여 교사 배경에 따라 차별성을 둔 현직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구성, 실행하는 것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15.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문화교육이 정책적으로 강조되면서 교사의 다문화교육 역량을 어떻게 신장시킬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관련 논의 중 본 연구는 교사들이 다문화가정 학생을 어려움 없이 지도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긍정적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교사효능감의 이론 틀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교사효능감을 형성하는 주요 요인 중 교사의 성취 및 대리 경험, 학교 환경 등을 고려하여 다문화가정 학생 지도에 대한 교사의 긍정적 인식이 어떤 요인들에 의해 제고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2016 다문화사회 관련 의식 조사 중 교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179개교의 3,97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다층모형을 통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성취 경험이라고 할 수 있는 다문화가정 학생 담임 경험은 정적인 효과가 있었지만 다문화교육 관련 강의 수강이나 현직연수 프로그램 이수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의 대리 경험으로서 가정한 동료 교사들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긍정적 인식 수준은 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학교 간 효과의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학교의 다문화교육 관련 정책 수행과 학교 문화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 화 관련 교사교육과 학교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116.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이 교사의 개인내적 특성인 교수몰입과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유치원 교사 303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치원 교사는 자신의 교직 전문성, 교수몰입, 교직헌신에 대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과 교수몰입 그리고 교직헌신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교직 전문성 인식과 교직헌신보다 교직 전문성 인식과 교수몰입 간에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직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인 운영관리능력과 교육과 보호능력은 교수몰입에 의미 있는 영향력을 미쳤으며, 의사소통능력과 전문성 신장능력은 교직헌신에 의미 있는 영향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을 높이는 지원은 곧 교수몰입과 교직헌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유아교육의 질적 성장과 교사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게 될 것을 시사한다.
        117.
        2018.04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을 살펴보아 누리과정의 효율적인 적용과 유치원교사의 누리과정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공·사립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현직 교사 1469명을 대상으로 2017년 2월 10일부터 15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21.0v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누리과정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교사들은 누리과정의 도입으로 인해 교사의 교수학습 편성·운영 및 교육활동 계획이 긍정적으로 개선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누리과정 연수가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누리과정을 통해 교사의 교육과정 구성 능력과 교수-학습 능력이 긍정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유아교육기관의 재정 운영이 안정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형식적인 수준의 연수에는 아쉬움을 나타냈으며, 교사의 근무여건 개선 및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연계는 아직 미흡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교사의 근무 여건 개선에 대한 방안 및 교사연수에 대한 보완이 요구되며 유아교육과 초등교육과의 연계방안에 대한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118.
        2018.01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어 교육은 국내와 국외, 한국어 원어민 교사와 한국어 비원어민 교사에 의해 발전하고 있다. 국외 한국어 교육이 발전하고 한국어 비원어민 교사가 증가하면서 이들에 대한 전문성 강화와 양성 및 활용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국내에서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는 2005년 시행된 이래 한국어 원어민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양성 하는 기준이 되었다. 한국어 비원어민 교사의 교육 및 양성에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를 활용한다면 국외 한국어 교육과 한국어 비원어민 교사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119.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등 예비교사의 교사역량이 학교현장실습을 통해 향상되는지를 살펴보고, 학교현장 실습과정에서 예비교사를 지도한 현직교사들은 예비교사의 교사역량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 는 지를 분석하여 예비교사에 대한 교육요구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원양성과정의 예 비교사 216명을 대상으로 학교현장실습 이전과 이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들의 학교현장 실습을 지도한 현직교사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예비교사 본인 이 인식하는 수행도 변화는 ‘윤리의식 및 열정’, ‘교과전문성’, ‘수업설계 및 자료개발’, ‘수업실행’, ‘평가 및 결과활용’, ‘상담 및 생활지도’, ‘학급경영 및 행정’의 7개 역량 모두에서 증가하였으며, 역 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 변화는 ‘윤리의식 및 열정’, ‘수업실행’을 제외한 5개 역량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예비교사 본인이 인식하는 수행도와 지도교사가 평가한 예비교사의 수행도 차 이를 비교한 결과, ‘학급경영 및 행정’ 역량을 제외한 6개 역량에서 예비교사 본인이 인식하는 수행 도 보다 지도교사의 평가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수행도와 중요도에 따른 교육요구도와 지도교사의 평가에 따른 교육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평가 및 결과 활용’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가 동일하게 상위권에 위치하였으나, ‘교과전문성’ 역량은 예비교사의 교육요구가 지도교 사의 평가에 비해 높았고, ‘수업실행’ 역량은 지도교사의 교육요구가 예비교사에 비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각 역량에 대한 예비교사와 지도교사의 인식차이를 확인함으로써 교원양성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120.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교육의 의사소통학적 접근이 교사들의 수학적 신념에 대한 인식에 어떠 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의사소통학적 접근 방식을 적용한 [수학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법] 수업을 교육대학원생 49명에게 적용한 후 <수학적 신념 검사지>를 통해 신념에 대한 인식 변화를 조사하고, 인터뷰 희망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신념 변화의 이유를 분석하였다. 또한 신념에 대한 인식 변화와 개발한 교육과정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업에 대한 반영적 설문(강의에서 가장 좋았던 부분과 그 이유)과 그룹 발표의 대표적인 사례를(내용 요약⋅발표 및 실제 현장 적용)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의사소통학적 접근의 교사교육과정을 통해 교사의 신념에 대한 인식은 연속적인 상호작용성, 맥락 의존성, 양방향성, 교사 역량 의존성을 포함하는 의사소통 학적 특징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그리고 개발한 교육과정의 활동들이(의사소통학적 관 점의 학술 논문에 대한 비평적 사고, 그룹 토의와 전체 토의) 신념에 대한 인식 변화에 도움을 주 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교사의 수학적 신념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해 교사교육기관에서 의사소통학적 접근 방식을 활용하는 교육과정을 실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