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2

        102.
        202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 S. 엘리엇의 대표작인 『황무지』는 그 주제의 방대함과 구성의 복 합성으로 인해 작품을 이루고 있는 부분을 독립적으로 살펴보아도 문학적으로 분석할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황무지』 전체를 관통하는 관점에서 작품을 평가해 왔는데, 본 논문은 『황무지』의 두 번째 파트인, 체스게임 (“A Game of Chess”)에 대해서 보다 집중적인 분석을 도모해 보고자 한다. 『황무지』는 전체가 하나의 작품임에도 개별적인 파트에 대한 분석 역시 어느 정도의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2부 체스게임 은 그것이 포함하고 있는 회화적 이미지의 상징성, 그리고 후반부 등장인물들의 파편적인 대화와 몽타주 기법 같은 장면의 병치는 2부를 독립적으로 떼어 살펴볼 수 있을 만큼 매우 상징성이 깊다고 할 수 있겠다. 엘리엇은 긴즈부르그의 관점에서 본 것처럼, 가장 자신이 드러나지 않는 방식으로 자신의 지문 을 확실하게 드러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치 몰개성의 시학이, 바로 그 몰개성성으로 인해 다른 어떤 시학과도 차별되는 역설을 구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부르조아의 실내라는 매우 독특한 소재를 마치 회화처럼 제시하는 2부 도입 부분과, 당시 영화의 기법으로 사용되었던 몽타쥬 기법이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의 특성이 가장 덜 드러나는 방식으로 자신을 가장 확고하고 분명하게 드러낸 작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103.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최근 방영되었던 TV 드라마 ‘SKY 캐슬’의 극중 등장인물의 성격유형을 시각적으로 강조할 수 있는 의상색채를 통해 살펴보고 그 연관성과 상징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은, 첫째, MBTI 방식 관점에서 드라마의 극중 역할에 따른 등장인물의 캐릭터를 성격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드라마 의상 색채의 상징성을 정의한다. 둘째, ‘SKY 캐슬’ 드라마의 시놉시스에 따른 배역 캐릭터를 MBTI 방식의 성격유형으로 드라마 의상색채가 가지는 상징성을 이해한다. 셋째, ‘SKY 캐슬’ 드라마 등장인물의 성격유형에 따른 드라마 의상의 색채 상징성 특성을 도출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드라마 ‘SKY 캐슬’의 스토리 이해를 위한 등장인물 한서진, 이수임, 노승혜, 진진희, 김주영의 성격유형은 MBTI 방식으로 분류가 가능하였으며, 드라마 의상에 사용된 색채의 의미와 상징성을 유형화 할 수 있었다. 둘째, MBTI 방식으로 분류된 등장인물의 성격유형은 INTJ, ISFJ, INFP, ENFP, ENTJ/INTJ으로 분류되었으며 의상색채의 관점에서 그 상징성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셋째, 등장인물 한서진, 이수임, 노승혜, 진진희, 김주영의 성격유형 INTJ, ISFJ, INFP, ENFP, ENTJ/INTJ의 관점에서 의상색채 검정, 하양, 빨강, 노랑, 초록, 파랑의 상징성을 결과로 도출하였다.
        104.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순국 109주년, 의거 110주년을 맞이하는 민족의 영웅 안중근 의사의 애국정신을 기리고 민족에 대한 자긍심 고취 및 작품을 통한 소통과 공감을 불러일으키기에 안중근 포스터 전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안중근이라는 주제로 그 의미를 각자의 표현방식으로 제작한 포스터에 내포된 함의를 도출하고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안중근과 아시아의 평화라는 주제로 진행된 전국 디자인 공모전이 올해로 4회째를 맞이하여 지난 3년간 수상작 포스터 495 편에 나타난 상징적 표현유형(메인/서브 비주얼 상징요소 및 표현유형, 메인/서브 카피 상징요소 및 표현유형, 컬러유형)을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연도별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비주얼 상징요소 및 표현유형에서는 손과 안중근 이미지 즉 인물로서의 상징성을 강조한 작품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상징요소를 포토그래피적 표현으로 사용한 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일러스트레이션 표현도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카피 상징요소 및 표현유형에서 카피 없이 비주얼 표현으로만 완성된 작품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평화, 안중근(安重根) 순으로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카피는 명조형의 가로방향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점차적으로 세로방향의 포스터가 증가하는 변화양상이었다. 마지막으로 컬러유형은 검정색, 흰색의 무채색 계열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에는 연구결과의 요약 및 논의 그리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105.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는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지만 반면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신재생에너지, 녹색시장, 녹색산업을 새로운 국가 성장동력으로 활용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 가장 큰 환경 오염 요인인 배기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하여 우리나라 지자체에서는 자전거 정책을 통해 도시 브랜드를 제고시켜 녹색 교통 문화를 정착시키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지자체의 정체성을 고려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자전거 도로를 시공하여 도시환경과 도시경관의 이미지 창출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도시 마케팅 요소로서 도시만의 차별화된 브랜드임을 인식하지 못 하고 개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진천군 또한 자전거 도로가 도시경관 요소로서 중요함을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정체성을 고 려한 디자인적 접근이 전혀 이루어져 있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자체중 진천군을 대상으로 자전거 도로를 재정비하여 관광문화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천년 역사의 명소인 종박물관에서부터 농다리까지 잇는 자전거길을 활용하여 역사문화 및 여가관광문화 활성화 방안 및 농다리 주변 광장을 클린 생태문화관광지로 재조성할 계획 이며, 이를 바탕으로 3가지 컨셉의 자전거 도로를 제안하였다. 이로 인해 군민에게는 자부심을 주고 방문객에게는 호기심을 불러 일으켜 대한민국 대표 자전거길로 자리매김하고 진천군의 밝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알리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106.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방자치제도 이후 지자체의 모습은 빠른 속도로 현대화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IT, 인터넷, 교통의 발달로 사회적 변화가 급속하게 생기고 있으며, 지역 간의 경계도 모호해져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자체의 고유한 가치를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상징물에 대해 고찰하고, 지역의 진정한 상징물에 대한 방향성을 디자인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상징물은 지역을 나타내는 가치가 뛰어나야 하며, 가치성 있는 상징물을 지정해서 타 지역과의 차별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둘째, 지자체 및 주민이 상징물에 대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하며, 주민들과 관광객이 상징물에 대해 공감대 형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상징물이 있는 장소가 지자체와 연관성이 있거나 상징물의 노출이 홈페이지와 지역의 공간 속에서 자연스럽게 조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1990년대부터 만들어진 국내 지자체의 상징물들이 변화되는 시간 속에서도 지속가능한 상징가치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지자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상징물 현황을 고찰하고 비교분석을 통해 상징물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의 기회를 얻고, 다양한 상징물이 지정되는 계기가 될 길 바란다.
        107.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세계 각 도시들은 도시에 내재된 유·무형의 자원에 기초하여 도시의 내재적 정체성과 상징을 확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도시는 경제적 성장을 넘어 그 도시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문화와 가치를 차별화하기 위해 도시브랜드의 전략을 도입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도 대다수 도시들은 다양하고 풍부한 자연조건과 지역문화 사상을 기반으로 도시 브랜드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노력을 도모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의 도시브랜드 개발 사례 중 대표적 3개 도시 -항저우(杭州), 쑤저우(苏州), 시안(西安)- 의 사례연구를 통해 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브랜드와 관련된 선행연구, 문헌을 통하여 기초적인 개념을 정리하였으며, 지리 위치적 요소, 문화유산 요소, 정책 요소, CI·홍보 요소 등 4가지의 요소를 선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도시가 가지고 있는 자원들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분석하여 중국의 도시브랜드에 나 타난 상징과 의미를 파악해보았다. 중국 다른 기타 도시들도 본 연구에서 제시된 지역문화의 발굴, 과거와 현대적 문화의 융합, 사람중심, 도시이미지의 구상화에 기초하여 도시에 함축된 의의와 특유성을 찾아내어 도시의 정체성에 적합한 도시 브랜드 전략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108.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입체조형예술의 흐름은 이전의 세분화된 장르나 전공별 제작기법 등의 전문화된 개념 보다는 대중적이며 종합적이 고 보편화된 예술적 가치에 큰 무게를 두고 있다. 이는 현대사회가 가지는 융합과 협업이라는 새로운 문화상이 깊이 자리 잡으면서 생긴 현상으로 미래의 입체조형예술의 흐름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척도로 인식하기에도 부족함이 없어 보인다. 하지만 한국에서의 예술에 대한 의식은 매우 보수적이며 전공의 구분이 분명하고 작품제작 방식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재료 와 제작기법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현재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작가를 지칭함에 있어서도 조각가, 제품디자이너, 시각디자이너 등의 구분된 직업군으로 나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예술의 각 분야는 상호간에 영향을 끊임없이 주고받고 있 으며 제작된 작품에서는 분야의 구분이 불가능한 결과물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한국사회에서 제작, 설치되고 있는 입체조형작품들 중에서 상징조형물(미술장식품)에 관하여 각기 다른 전공의 작가들이 가지는 예술에 관한 개념과 작품에 관한 인식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대상을 순수미술(조각)과 디자인분야의 전공자들로 구 분하여 Q방법론적 설문방식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심층적으로 분석,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그 인식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양 분야의 조형물 제작을 위한 상호 보완의 기회를 모색해 보고자 한다.
        109.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올림픽 포스터는 올림픽 역사발전과 함께 한 시각이미지이며, 역사상 유일하게 동일 주제로 120년 지속되어 온 디자인이다. 또한 대회마다 각각의 다른 국가적 상징성과 의미를 담고 있는 동시에 세계 평화의 제전이라는 동일 주제를 담는 이중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따라서 하계 올림픽 포스터에 나타난 민족문화상징 요소를 찾아 시대별, 국가별로 어떤 상징 요소가 표현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시대별 특성은 하계 올림픽 포스터는 총 28개이며, 그 중 도입기 포스터 12개, 확립기 포스터 9개, 변화 확장기 포스터 7개이다. 도입기에는 생활상징이 가장 많이 표현되었으며, 확립기와 변화 확장기에는 각각 민족상징이 가장 많이 표현되었다. 국가별 특성은 첫째, 2번의 올림픽이 개최된 그리스와 오스트레일리아는 2번 모두 민족상징의 포스터가 표현되었다. 둘째, 오스트레일리아는 1개의 포스터에서 5개의 상징이 모두 표현되었다. 셋째, 2번 이상 개최한 프랑스와 영국, 독일은 개최 할 때마다 상징이 다르게 표현되었다. 넷째, 스웨덴과 대한민국, 스페인은 2개의 상징인 민족상징과 생활상징이 포스터에 표현되었다. 따라서 하계 올림픽 포스터는 개최국의 국가별 특색을 지니며, 시대의 흐름과 국가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였다.
        110.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 』에서 화자 프루프록은 상징계의 주체 이자 욕망의 결핍을 느끼는 현대인의 전형, 탈주를 꿈꾸는 자이다. 그는 타인/대타자의 욕망에 의해 소외되어 있는 한, 진정한 자신, 진정한 주 체로 태어나지 못했을 것이다. 주체가 상징계에 들어갈 때 존재는 타자 적 이미지와 언어에 의해 소외된다. 그리고 주체탄생이란 소외를 댓가 로 지불하여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미켈란젤로, 여인, 인어는 프루프록의 주체에 대응되는 대타자로서 시니피앙의 연쇄를 일으키는 원인이다. 엘리엇은 억압된 인간의 욕망이 끊임없이 무의식의 구멍/환상 으로 출몰하여 미끄러지는 상징계의 전형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이때 되돌아오는 것은 대상 a와 실재계로서, 이들은 환상적 형태로 상징계에 침투하였다.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 는 값싼 식당과 호텔, 여인 들의 방, 바닷가, 바다 소녀의 방의 배경을 따라, 노란 안개, 향기, 베개, 복숭아, 인어의 노래 등으로 재현되는 대상 a등을 소개한다. 무엇보다도 이 시는 시적화자/주체가 대상 a를 통하여 상징계의 틈을 발견하고, 자 신의 쾌락을 추구하여, 시니피앙에 의하여 자신을 역설적으로 드러내는 언술행위의 주체/진정한 주체의 해방을 이루는 상징계의 연쇄작용을 효 율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111.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 S. 엘리엇은 「드라이 샐베이지즈」 작업을 통해 내면 여행을 떠난 다. 갈색 신인 강을 타고 개인 무의식을 지나 바다로 상징되는 집단 무 의식에 이른다. 집단 무의식에는 태고 적부터 초시간적으로 존재하는 수많은 원형들이 이미지를 입고자 의식의 자아를 기다리고 있다. 엘리 엇은 집단 무의식의 바다에서 수많은 사람들의 고통과 죽음의 이미지들 을 목격하면서 실의에 빠진다. 그러나 모성원형인 마리아를 대면하면서 치유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현자원형인 크리쉬나로부터 포기하지 말고 계속 전진하라는 충고를 통해 힘을 얻는다. 성자의 사명이 시간과 초시 간의 교차점을 포착하는 것이라는 삶의 목적을 제시받은 엘리엇은 만다 라 모양의 장미를 대면하고 자기원형을 상징하는 그리스도를 통해 대극 의 합일을 이룬다. 융이 주장한 개성화 과정은 의식과 무의식의 통합과 정으로서 엘리엇은 「드라이 샐베이지즈」 시작(詩作)과정을 통해 그의 무의식에 있는 강력한 누미노스의 에너지를 지니고 있는 원형들을 강, 바다, 성모 마리아, 크리쉬나, 장미, 그리스도 등으로 이미지화 하여 신 비롭고 난해한 창의적 작품으로 탄생시킨다. 이 개성화 과정이 상징화 과정이기도 하다.
        112.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liot was impressed with Charles Baudelaire’s technical mastery and particularly with his employment of symbolic imagery as a means of representing a spiritual or emotional state of modern man. This paper makes it clear that Baudelaire’s decadent metropolitan settings appear in Eliot’s early poetry including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This paper argues that Eliot not merely presents the imagery of the sordid common life of a metropolis but attempts to transform such imagery to disclose the symbolic landscape in the protagonist’s mind. Eliot recalls from his past life memory and daily observations concrete physical equivalents for intangible feelings of modern humans. This paper shows how all the scenery of the poem, indoor and outdoor, is transferred to the psychological landscape of Prufrock himself. And this paper also argues that the symbolist device of objective correlative, then, in Eliot’s hands, renders the complexity of modern human experience as well.
        113.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proper spot to create a symbolic place for the International Jazz Festival and to improve the connections among the place assets of Gapyeong as a place marketing strategies. To this end,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spatial structure was conducted using space syntax.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entire structure of the space formed in the axis of a total of 200. The value of total integration was 0.833, which is relatively low, and the local integration degree was 1.588 degrees. Gahwa Street has the highest value of full integration (1.264) among the major points related with the Festival, followed by the former Gapeyong Station area (1.189). As a result, the former Gapeyong station area was identified as a recommendable place for symbolic place because it is highly accessible to the surrounding areas and spacious enough to function as a plaza. Developing a cultural street occupied by jazz cafes, concerts, shops and restaurants, and transforming the old railroad into a linear park will enhance the image of jazz city and help place marketing.
        114.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래동요의 리듬과 스토리의 체험은 유아뿐만 아니라 어린 시절을 겪은 성인들에게도 정말 중요한 것이다. 동요는 유아에게 아름다움을 깨닫게 해주는 심미적인 경험을 주기도 하고, 즐거움과 감동을 느끼면서 내면의 정신세계를 변화시켜 나가는데 영향력을 미치기 때문이다. 전래동요는 표현 양상 속에서 언어유희를 즐기는 것과 동작유희를 즐기는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융의 사물의 상징성과 공간의 상징성을 바탕으로 이러한 다양성이 전래동요를 살아있는 놀이하는 아동의 정체성을 알아갈 수 있다. 또한 사물의 특성을 깨닫게 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전래동요는 언어와 동작의 활동이다. 그러한 활동을 표상활동으로 보고 표상활동의 한축인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으로 나타내는 것을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시사점이 있다. 그림책에서의 일러스트레이션으로 나타낸 그림책은 한정적이다. 전래동요 안의 유희와 상징을 찾아가는 과정은 어린이가 커서 훗날 어른으로 성장하였을 때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전래동요를 분석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때이다.
        115.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수처리장은 인간의 생활에 있어서 중요한 공공시설이다. 하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 질소, 인 등의 오염물질이 함유되어 아무런 처리없이 수계로 방류 될 경우 수계에 심각한 오염을 야기 할 수 있다. 특히 질소(Nitrogen)와 인(Phosphorus) 경우 수계에 부영양화(Eutrophication)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질소를 제거하는데에는 생물학적 방법이 대부분의 하수처리에 쓰이는데 이는 물리적 및 화학적 방법에 비하여 경제적, 환경적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질소 제거방법에는 아질산화-탈질 공정이 사용 되는데, 기존에 쓰이는 질산화-탈질 공정에 비하여 25%의 산소량과 40%의 탄소원 절감이 가능하여 탈질의 고효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아질산화를 혐기 소화 상징액을 이용하여 SRT가 암모니아 제거율과 아질산화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서울 H 하수처리장의 혐기 소화액을 대상으로 실험실 규모의 아질산화 반응조 운전결과 SRT 6일 이상에서 대부분 60%이상의 효율을 보였다. 또한 아질산화율의 경우 SRT 4일에서 고효율의 아질산화율을 보였다. SRT 16일에 낮은 아질산화율이 나타났는데, 이는 아질산성 질소가 질산성 질소로 완전한 질산화가 이루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SRT가 아질산화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판단된다.
        116.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체는 기본적인 의사소통의 수단인 언어와 함께 인간의 감정과 행동을 표현하는 보조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으며 특히 신체의 일부인 손은 상징성과 중요성에 큰 의미를 부여해 왔다. 손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은 비유적인 표현과 관용적인 표현 전달이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은유와 환유는 대상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기의를 나타내는 기표의 표현 방법 중 하나로 다른 대상을 통해 의미가 전달되어지는 기호의 가장 기본적인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보편적 기호생산에 의해 확장된 손의 기의에 대한 선행 연구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손은 인간의 물리적 노력과 기술력, 솜씨와 같은 수완 등을 대변하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둘째, 손은 위생적 의미작용으로 위생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셋째, 손의 감성적 의미작용으로 이성과는 대조되는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다. 넷째, 손의 폭력적 의미작용으로 상대를 억누르거나 거칠게 제압하는 상대적 힘을 상징할 때 기표로 사용하고 있다. 다섯째, 제품의 특성이나 공익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광고의 목적에 따라 표현된 기표의 의미작용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다양한 매체와 목적에 따라 표현되는 대상의 기호작용과 확장에 관한 향후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117.
        201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목적은 달라피콜라의 ≪괴테 가곡≫을 음렬주의, 상징주의, 순환주의의 관점에 서 논의하는 것이다. 달라피콜라는 음렬을 작품 표현의 수단으로 생각하였으며 그 자체가 목 적은 아니었다. ≪괴테 가곡≫에서는 작품의 미학과 음렬 작법 사이에서 작곡자만의 독창적 스타일이 형성되는 과정을 엿볼 수 있으며 자유로운 음렬 작법 내에서도 ‘집성’을 통해 성립 된 일관성과 이를 체계적으로 발전시켜 성립된 순환주의를 목격할 수 있다. 상징적 가사, 이에 상응하는 음악적 구조와 기본 음렬을 다루는 방식은 각 악장에서 일관 성 있게 나타나며 이는 12음렬 연가곡에서 유기적 구조를 확립하는 달라피콜라 고유의 작곡 어법이라 할 수 있다. 순환동기로서 (012)의 중요성은 결코 간과할 수 없다. ‘질문’ 동기로 정 의되기도 하는 (012)는 12음렬을 대체하여 가사의 상징적 의미를 표현하며 악장의 도입부에 유기적으로 소개되어 악장간의 응집성을 강화시킨다. (012)가 반복되어 형성하는 ‘집성’ 또 한 중요하다. 이는 작곡자가 자신만의 어법으로 음렬을 대체한 것으로 선적, 수직적으로 완 성된 집성은 음렬 진술과 유사한 효과를 준다.
        118.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수에는 유기물, 질소, 인, 중금속 등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수계로 미처리하여 방류되게 되면 수계 수질을 악화시키게 된다. 그 중 질소(Nitrogen)와 인(Phosphorus)은 영양염류(Nutrient)로 분류되며 수계 부영양화(Eutrophication)의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생물학적 영양소 제거 방법은 화학적 처리 방법에 비해 경제적, 환경적 및 운영적 장점을 가지고 있어 대부분의 하수처리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적용되는 기술에서는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산성 질소 상태로 산화시킨 후 탈질 반응을 거치는 완전질산화(Nitrification)반응이 적용되고 있다. 만약 아질산성 질소 상태에서 탈질을 유도하는 아질산화 반응(Nitritation)을 적용하게 된다면, 완전질산화에 비해 이론적으로 약 25%의 산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에서 슬러지 처리 공정 중 혐기 소화단계에서 발생하는 고농도 질소를 함유한 혐기 소화 상징액을 대상으로 하여, SRT가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율(Ammonium nitrogen removal rate)와 아질산화율(NItrite conversion rate)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서울 A 하수처리장의 혐기 소화 상징액을 대상으로 한 실험실 규모 아질산화 반응조 운전 결과 안정적인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율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SRT 0.5d 이상, 고효율의 아질산화율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SRT 1d를 유지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율의 경우 일정한 SRT 이상 유지시켜 주면, 안정적인 효율을 기대 할 수 있는 반면, 아질산화율의 경우에는 일정한 SRT를 유지시켜 주어야만 안정적인 효율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따라서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및 아질산화 반응에 서 SRT는 그 효율 및 유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119.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과거 10년간 국내에 재배된 옥수수에서 가장 민감하게 발생한 병이 보통옥수수 녹병(common corn rust, Puccinia sorghi)이다. 10여 년 전부터 미세한 발생은 경북군위, 강원도 홍천, 경기도 일산과 북한의 통천등지의 시험지에서 발견되었다. 가장 심각한 병 발생은 2008년 제주도 중산간지에 제동목장에 심겨진 옥수수에서 관찰되었고, 2009년에는 경북대 군위 시험장이었다. 놀라운 사실은 농가포장에 인기리에 심겨지고 있던 국내 및 외국 육종 품종들 거의 모두가 이병성을 뛰었다는 것이다. 옥수수에서 녹병은 기후변화에 매우 민감한 생물학적 사인 일 수 있다. 아마도 비슷한 사례가 다른 농작물에서도 일어 날 수 있다. 우리의 시험포는 완전 무농약 상태에서 재배되었다. 이러한 중에도 양적유전자를 이용한 공생저항성 원리(co-survive tolerance principle)에 근거한 KNU silage 하이브리드만이 안전저항성을 보였다. 또 다른 병들은 제주도에서 이삭썩음병 (ear rot complex)이고, 군위와 북한에서 회색반점병(gray leaf spot)이었다. 양적유전자를 이용한 품종 육종이 가장 안전한 대안이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