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4

        101.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June 25th 1950, the beginning of the cold war (Korean war), Korean peninsula is still in a state of war. Officially South and North Korean government call a truceafter three years from the beginning day, however both countries are still having several combats in these days. So every Korean citizen male has duty for serving military duty and this lasts even after the serving regular military force, as reserved military. Although South Korea is very small country, the size of military is very large so informing all reserved military takes some time. Since this nation is confronting the enemy and considering the global potential threat, South Korean military needs expedite informing system to call up the reserved military to active duty. In this project, the current informing system has been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new method which i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such as Twitter. However mobilization order is very critical. So in our new model there are two ways combined. Using twitter to inform and then use traditional ways to finish the order. This method will provide more efficient and accurate way to cover the call ups.
        4,000원
        102.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 January 21, 2011, the Korean navy commandos rescued the twenty-one crewmen abducted and detained by Somali pirates in the Indian Ocean. The pirates captured alive were brought to Korea for trial and the prosecutor’s office of Pusan sentenced the leader of the Somali pirate group to life-imprisonment. The other four pirates received imprisonment terms from 12 to 15 years. Regardless of these domestic legal punishments, this rescue operation has raised a few critical international legal question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research analyzes the international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Navy’s rescue operation. Then, a few case-studies of military rescue operation are carried out in order to justify the Korean Navy’s rescue operation. The Korean Navy’s rescue operation may be regarded as an act of forcible self-help and realization of existing international legal right.
        6,100원
        103.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preferences regarding the mess provisions in the three military bases in Daegu, Korea. A total of 325 military personnel was surveyed for this study. The content of examinations consisted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the mess. Furthermore, I investigated the general menu on a daily basis with the most or the least-preferred food. As a result, I found that fried dishes are most preferred by military personnel, and they second and third in their preferences are boiled, and mixed with dressing. I also found that military personnel like meat, sweets like ice-cream, fried pork chops or chicken, and fatty and processed food like hamburgers. On the other hand, they do not like dishes made with bean sprouts, squid, fish or kimchi.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 balanced diet is needed for military personnel through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recipes using some of the least favorite ingredients such as fish, squid, and vegetables.
        4,800원
        104.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는 한국군에서의 시력관리 전담 보직 및 제도의 필요성에 대한 장병들의 인식과 의견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 법: 안경을 착용하는 94명의 현역 한국군 장병들을 대상으로 총 9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 대한 답변결과를 분석하여, 군의 안경 및 시력 관리 실태, 시력관리 체계의 도입에 대한 장병들의 의견, 장병들이 선호하는 시력관리 방식 등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 과: 현역장병의 절반에 가까운 비율이 복무중 안경의 파손을 경험한 바 있으나 이에 대한 군의 관리나 대책은 미흡한 실정이었으며, 장병들은 높은 비율로 안경에 대한 군의 지원과 시력관리 전담 보직의 도입을 희망하였다. 군에 의한 직접 관리보다는 민간에 의한 간접적인 시력관리 방식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장병 복지와 전투력 향상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해 볼 때, 한국군에 안경보급과 전담보직의 설치를 포함하는 시력관리 체계의 도입이 요청된다.
        4,000원
        105.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ven though Joseon Dynasty strictly identified between military and civil officials, the dress and its ornament have been studied only based on embroidery emblems that are correctly identified between military and civil officials. Thus,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the features of the only military officials uniform, Cheollik, different from the civil officials’s identifying them with other features shown from the records, unearthed relics, stone statue, Joseon-tongsinsa-haengnyeoldo(Illustration of Joseon Delegation to Japan), etc., and i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wearing examples of the military officials, from the facts that they had worn mainly ordinary clothes, etc. on announcement of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ilitary and civil officials's clothes by Daejeonhusokrok and the other documents, and there was an assertion that the form of the military and civil officials’s clothes should be different by the document, Hongjejeonseo, in the latter term of the Joseon Dynasty. It is presumed that length, width and shape of sleeves might have been different. Second, unearthed Cheollik of the military officials are mostly from the 16th~17th centuries and most of them have removable sleeves according to statistics. The skirt had an opening and one or two slits. Various textiles were used. Third, military official statues of high governor wear small caps and helmets. They wear Cheollik with the collars same as the collar of Bangryeong and Jikryeong, which is also called Dopji Cheollik. It would be considered as they wear the Bangryeong on top of the Cheollik. Fourth, militarly officials described on the Joseon-tongsinsa-haengnyeoldo(Illustration of Joseon Delegation to Japan) wear Cheollik, Rip, Donggae, Okro, Hongsadae, Hwando, Deungchae.
        5,100원
        106.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군교도소는 2005년전 까지만 해도 일반교도소에 비해 거의 알려지지 않아 군 교도소가 교정사회복지의 사각지대라고 오해하고 있는듯하다. 그러나 군교도소가 2005년 사회와 언론에 그 내부모습을 공개한 이후 오늘날 군교정 사회복지는 일반교도소의 그것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잘 되고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최근 5년간의 군수형자의 다양한 특성들에 대한 통계분석을 한 다음에 광의의 군교정사회복지의 내용에 포함되는 급여복지, 가족복지, 인권복지 기타 등등의 복지실태를 탐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논의내용에 추가하여 경로의존적인 군교정사회복지의 탈피, 군교도관의 전문화, 회복적 군 교정제도 및 복지적 사법론적 군교정제도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좀 더 이상적인 군교정 사회 복지의 방향에 대해서 운론하였다. 앞선 논의에 의하면 교정사회복지이념은 일반교도소는 말 할 것도 없이 군교도소에서도 아주 필수적인 것이며 그것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오랫동안 역사적 제도주의 이론에서 말하는 경로의존성과 거부점 이론으로 한국교도소를 지배해온 행 정적 이념으로서의 교정주의 대신에 사회복지이념으로서의 교정패러다임의 채택이 교도소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교도소라는 오랜 상징구속에서 벗어나는 유연한 교정의 필요성을 운론하였다.
        8,300원
        107.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ogistic support activities for weapon systems play an important role at maintenance activities in modern warfares. These activities are essential for keeping weapon systems ready at all time. However, maintenance supplies can be delayed without a proper
        4,000원
        108.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optometric aspects of advanced health service system of the American Forces, considering necessity of sirnilar system for the Korean Armed Forces. The U. S. military optometric service system was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open materials given by the American Army, Navy and Air Force, focusing on military optometrist and optical laboratory specialist positions. We compared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with present status of optometric servicets of the Korean Armed Forces. The American Forces have an advanced optometric service system managed by the military optometrists. who are similar with the military medical officers. and optical laboratory specialists, who are considered as expert groups. The U. S. military offers soldiers eye test and optometric services of very high quality, while the optometric service of the Korean Armed Forces is very limited and much improvement is required for better eye health and visual care. We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 optometric specialist position to the Korean military organization for better cornbat capability.
        4,000원
        109.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군 조직에 있어서 다면평가시스템의 특성이 개인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반응변수로서 다면평가시스템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그리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엄격한 상·하관계를 이루고 있는 군 조직에서 다면평가시스템에 대한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장교근무평정제도에 대한 발전방안을 도출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론적 연구를 통해 주요 변수는 다면평가시스템의 특성, 개인의 수용도, 효과성, 유용성 인식도로 구분했다. 다면평가시스템
        6,900원
        111.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level of military personnels dispatched to Iraq with foodservices in a bid to help establish an efficient overseas military foodservice system. A total of 300 soldiers who served in an army division dispatched to Iraq was surveyed for this study. Regarding connections between the type of management and satisfaction level with foodservices, the contracted cafeterias were more satisfactory in terms of service than the military selfoperated ones, which indicated that it’s urgently needed to improve the service of the military-run cafeterias. The present work force of the Ministry of Defence makes it hard to provide military personnels with specialized foodservices. The military foodservice should provide meals to soldiers with quality. More branded concepts should be improved in the view of cost and effect. Or it’s advisable to take advantage of private resources as part of efforts for civil-military collaboration.
        4,000원
        112.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내열재료들은 고밀도를 이용하여 비행하는 물체의 운동에너지를 극대화 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군사적으로 각종 무기체계의 성능 향상에 매우 중요하다. 또한 유도 무기 및 항공기의 경우 고온, 고압 등의 환경에서 운용되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에서 견딜 수 있는 소재 개발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무기 선진국에서는 고밀도 재료인 텅스텐, 몰리브덴, 탄탈륨, 텅스텐-구리 감손우라늄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이중, 텅스
        4,000원
        113.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군은 국가의 안전보장과 국토방위의 신성한 의무를 수행함을 사명으로 한다.”고 우리헌법 제5조 2항은 명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군에서 발생하는 범죄행위는 곧 인적요소인 전투력을 손실시키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므로 군내 범죄예방에 노력하고, 발생된 범죄행위에 대해서는 철저한 수사활동을 통해 해결하여 범죄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낙오된 수용자에 대하여도 보다 적극적이고 합리적인 교정교화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무위의 전투력 손실을 방지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하겠다. 따라서 현재 진행 중에 있는 군행형법 전부개정안에 관한 검토와 연구는 이러한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할 수 있겠다. 특히 군행형법 개정안은 2005년도부터 사법제도 개혁추진위원회에서 군사법제도 개혁일환으로 추진하여 온 군형법 개정안 등 총7개 법안 중1) 하나로서 그동안 국방부에서는 군사법제도 개혁 건의문을 존중하면서 군의 특수성 보장을 위한 군내외의 다양한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군행형법 개정안을 사법제도 개혁위원회에 제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최종 입법안을 의결(현재 국회계류 중) 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군행형법 개정방안 중 일부사항은 다른 군사법 개선방안과 같이 관련부서간의 이해관계로 인해 충분한 논의가 아직도 미흡한 감이 없지 않은 실정으로 군의 특수성과 장병 인권보장이 구현되는 측면에서 개정이 이루어지도록 좀 더 신중하게 접근해 나가는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6,300원
        114.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bout the cultural policy related to fine art under the U. 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USAMGIK), from September 8, 1945, to August 15, 1948. Drawing on the previous studies of Korean art history in the ‘Liberation Period’, this study especially concentrates on intention, attitude and activities of the USAMGIK. Particularly the historical documents, stored at the National Archives at the College Park, Maryland, U.S.A., were valuable to do research on the cultural policy of USAMGIK. The cultural policy was subordinated to the political objectives of occupation that can be summarized to building a stronghold of anti-communism in South Korea. Und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control, cultural matters were assigned to the Cultural Section, the Bureau of Education, which later turns into the Bureau of Culutre, the Department of Education. The Bureau of Culture dealt with matters of the ancient Korean art treasures and of the Korean contemporary art. USAMGIK reopened the Korean National Museum which had been closed by the Japanese since the World War Ⅱ period. After that, U.S. Department of State sent arts & monuments specialists to South Korea for investigating ancient Korean art and culture. Although some of the destructed art treasures were restored during the occupation, there were many negative cases including intentional destruction of historic sites or loot of art treasures by U.S. army. In contrast to their interest in the Korean antiquities, USAMGIK payed little attention to promoting the Korean contemporary artists and their arts. USAMGIK distrusted and suppressed the artists of leftism, while they kept good relations with the pro-American artists and the right-wing artists. In conclusion, the visual-cultural policy of USAMGK was mainly planned and carried out in order to preserve the national interest of the United States. This period produced long-term effects on the fine art and visual culture of South Korea, in terms of institution, policy, and reorganization of art community based on anti-cummunism.
        6,400원
        115.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600원
        116.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reference and perception of seafood among soldiers on cook's duty in military meal service. 58.9%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liked seafood and the major eating place were in their home(48.0%) and in the restaurant(40.4%). The favorite seafood cooking methods turned out to eat as raw fish, to grill, to stew, to fry in order. In comparison with the meat dishes, seafoods were considered superior to meat in nutritional value but evaluated inferior to meat in the aspects of sanitation and tasteless problem. 32.9%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y liked seafood dishes in military meal service and they disliked them because of taste or cooking method of the seafood. They liked fried or grilled seafood in military meal service. The plate waste amounts of the seafood menu were more than half in almost every surveyed menu and reasons for plate waste were fish smell and taste problems. The difficulties of cooking seafood in military meal service were breaking down of seafood during cooking and complexity of cooking. They scored seafood higher than average in nutrition, taste, diversity of cooking method and aspect of health.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bove, introducing diverse cooking methods and menu are suggested and education of cooking skills and development of cooking facilities are needed in military meal service.
        4,000원
        117.
        2005.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the beginning of our military history, we are continuously interested in supplying apartment for military officers. So we possessed 72,361 households and used in 2002. however, 18% of those are over 20years and need to be remodeled. Department of Military has taken this fact seriously to solve the problems, they built more new buildings, rent public buildings and remodeled the old one. But, The procedure of present military apartment remodeling has many problems at the stage of evaluating the priorities in various remodeling projects which have been caused from lots of corps. I’ve reviewed the study of military apartment business and applied the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which is effective to evaluate the priorities in various groups’ decision.
        4,000원
        118.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어떤 사회에 있어서나 범죄인은 가장 어둡고 함께할 수 없는 타자(他者)로서 평가된다. 특히 감옥에 수감되어 격리된 수용자에 대하여 ‘밖’의 사람들이 가지는 혐오와 경멸, 그리고 범죄인으로서 받아들이는 ‘낙인과 배제’에 대한 주목은 수용자를 범죄의 유혹과 구렁텅이에서 영원히 헤어나지 못하게 하기도 한다. 따라서 행형의 본질적 목적은 무엇인가에 대해 우리는 다시한번 반문하게 한다. 즉 처벌과 사회로부터의 격리인가 아니면 사회복귀를 위한 교육인가 하는 사항이다. 만약 수용자를 교화의 가능성이 전혀 불가능한 인간 쓰레기로만 취급한다면 우리사회의 화합과 일치는 영원히 이루어 질 수 없을 것이다. 이런 견지에서 군내 수용자에 대한 교정교화 업무도 민간 수용시설의 수용자 못지 않게 중요하다 할 수 있겠다. 더구나 우리군의 경우 군인 개개인은 바로 전투력으로서 전투력의 유지 관리라는 차원에서 볼 때도 어느 한 사람의 군인이라도 소중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군 수용자에 대한 효율적인 교정교화 활동 전개로 수용자들이 석방되면 건전한 차원으로 재복무 및 재사회화하도록 도움을 주어야 할 필요가 절실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군내 수용자에 대한 교정교화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바람직한 개선대책을 제시함으로써, 군의 전력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7,700원
        120.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군내 수용자문제는 군사법제도 개혁논의와 함께 군내 수용자의 인권보호측면에서 국가인권위원회의 군영창내에서의 장병 인권상황 실태파악 등, 군내 수용자에 대한 제도적 개선방안마련이 검토되고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그동안 군내수용자의 인권보장을 위한 군의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군대라는 폐쇄성으로 인해 군내 수용자의 인권보장에 대한 평가는 아직도 신뢰받지 못하고 있다할 수 있다. 특히, 군영창에는 대부분 미결수들이 수용되어있어 이로 인해 인권침해 문제가 야기될 수 있는 것이다. 현행법상 미결수용자는 아직 판결이 확정된 자가 아니기 때문에 무죄추정의 원칙이 적용되고, 변호사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는 법적지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결구금자체를 징벌의 일부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으며, 영창구금자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징계범과 똑같이 취급당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군내 미결수용자에 대한 법적지위를 검토하고 처우개선 등 정책적 방안 모색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 이런점에서 지금까지 민간 구금시설에 비해 폐쇄적이고 인권이 무시되었다는 불신을 벗고 군내 미결수용자의 인권보장과 교정교육 활성방안 모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6,600원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