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3

        102.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tended to collect data for evaluating the meteorological value of Upo Wetland which is the largest wetland in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The observations were conducted in summer at the Upo Wetland and its surrounding paddy field that is the converted areas from a wetland to a paddy field.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1) The temperature of Upo Wetland area was 1˚C lower than the surrounding area during the day while it was a little higher during the night.; 2) The maximum wind speed in the Upo Wetland area was 3.5 m/s which is stronger than 1.6 m/s of its surrounding area. The south wind was observed in the farmland for most of the day while north winds and south winds alternated between day and night in Upo Wetland.; 3) In heat budget analysis, Upo Wetland was wasted in the form of latent heat rather than sensible heat in daytime.
        4,000원
        103.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Upo wetland, physico-chemical factors were observed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2005 to December 2007 on a monthly basis. In the Upo wetland, water temperatures ranged 3.4~34.5℃. Conductivities were in the range of 133~806 μS
        4,000원
        104.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5년 3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매월 우포늪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8강 35과 86속 213종의 식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출현종수는 14~50의 범위였으며, 평균 출현종수는 34±10종으로 조사되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2005년 8월에 161 cells mL-1로 가장 낮았으며, 2006년 8월에 159.283 cells mL-1로 가장 높았다. 특히 2006년 하계에는 남조류에 의한 수화 발생으로 극단적으로 높은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나타내었다. 총 34회에 걸친 조사에서 우점종은 총 13종으로 나타났으며, 녹조류와 남조류의 종들이 각각 4회씩 우점하였다. 우포늪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동을 살펴보면, 동계에는 은편모조강과 와편모조강, 규조강의 종들이 높은 구성비를 나타내었으며, 비동계 기간에는 녹조류와 규조강의 종들이 주요 출현종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2006년 하계에는 남조강의 종들이 높은 구성비를 나타내었다. 종다양도지수는 0.50~2.86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매년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107.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st of the extensive areas in the lower parts of the Nakdonggang River are characterized as zones of the diversely geomorphological features: the riparian wetland and floodplains, the riverine sand island on the river channel and riverine wetlands along the river. It aims to introduce the floodplains of the Nakdonggang River and its tributary (Hwapocheon Stream), and to evaluate their utilities in the process of the watershed management and the stream restoration in future. The lowland floodplains are developed over the 1,000 ha area beyond the riverbank in the middle and lower parts of the river. Furthermore, the 19 sand islands distribute on the river channel and the riverine wetlands are situated over 11 locations along the riverside. The most floodplains along the river had been converted to agricultural and other land uses, especially paddy fields, and two wetlands - the Hwaponeup Wetland in the Hwapocheon Stream and the Wooponeup Wetland in the Topyeongcheon Stream - barely keep in existence of the natural type one. In the Hwapocheon Watershed, the lowland below the 50 m elevation covers 61% of the basin area and the wetland interiorly spread along the stream bank. The area of the Hwaponeup Wetland is 250 ha to rank second level next to Wooponeup Wetland in sizes or scopes of inland ones. The Hwaponeup Wetland displays a unique landscape with the various willowtree population and waterside plants to have the high biological diversity. The 448 ha floodplain area in the lower zone and the 259 ha area in the mid-zone of the stream had been already reclaimed in the past, and in the present, the lowland floodplains around the stream-type wetland had been exclusively occupied with the paddy farms. In recent year, as the wetland and floodplain restoration have emerged as a key component in local watershed management programs over the world, these lands should have the greatest potential for future ecosystem recovery and restoration because the ecological values of the Hwapocheon Stream could increase more than those of the other areas. The restoration, creation and enhancement of the wetland provides opportunities for solving existing flood control or erosion, ecological habitat or biological diversity, other water resource problem. In these context, the network systems to connect the stream channels and riparian floodplains are a basic concept in the watershed management. In view of the natural resources, the Hwapocheon Stream will have the better advantage to control the flooding and water quality in the process of the stream restoration or watershed management in the local area.
        4,000원
        108.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습지의 서식지 특성 및 환경 지표종을 찾기 위해 부산과 경남에 위치한 습지 유형이 다른 하천습지, 산지습지, 하구습지에서 딱정벌레류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딱정벌레과, 먼지벌레과, 폭탄먼지벌레과에 속한 22속 28종이 채집되었고, 종 다양성은 하천습지(우포늪, 화포늪), 산지늪(재약산늪), 하구습지(낙동강하구) 순으로 나타났다. 딱정벌레류의 종조성은 각 습지에서 독립적으로 나타났는데(χ2=1716.8, P〈0.01), 하천습지와 산지늪이 가장 다른 종조성을 보였다. 지표종 분석을 통해 각 유형의 습지를 대표하는 2~6종의 딱정벌레류를 지표종으로 선출하였는데, 지표종들은 토성과 토양습도, 인위적 환경변화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여 습지환경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추후 생활사나 먹이특성 등딱정벌레류의 각종별로 자세한생태적 특성이 연구되면 지표종으로 딱정벌레류를 일반화하여 여러 서식지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4,000원
        109.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lot of relics were unearthed in the Shinchang-dong wetland site, which can help restore prehistoric life style, including construction tools such as wood doors, wood hammers, ax handgrips, sickle handgrips, wedges, awls, wood pillars and connection members, food vessels made of earth or wood and fish, shell fish, seeds and remains of weapons. In particular, a door was found in the site, which was measured at 110cm long and 37cm wide. If restored it will be 75cm wide. The door seems to date back as far as the 1st century B. C., which would be the oldest one ever discovered in Korea. This paper is intende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door by investigating the environment of the Shinchang-dong wetland site bearing the relics intact,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times of manufacturing of the door as well as attributes of doors presented in the literature related to old time architecture such as Goguryeo tomb paintings and house-shaped vessels. It also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for study of residential architecture in prehistoric times.
        4,300원
        110.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안군 장도 산지습지의 식생과 토양 및 ordination을 분석하였다. 장도 산지습지에서 특기할만한 식물은 바늘꽃, 개쉽사리이고, 한국 특산식물로는 흑산도 비비추와 소사나무 2종이며, 관속식물은 40과 62속 57종 9변종 1품종 총 67분류군이다. 식생군락은 버드나무-기장대풀군락, 기장대풀군락, 억새군락이다. 토양 분석 결과, 유기물함량 20.6-72.4%, 전질소함량 0.74-2.13%,유효인산함량 33.3-114.6ppm, 양이온치환용량(CEC) 25.5-94.3이고, 토양pH는 5.10-5.42이며, 토성은 주로 식양토로 나타났다. 군락의 분포와 환경 인자들과의 상관을 보면, pH가 군락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버드나무-기장대풀군락은 3군락 중 pH가 가장 높으며, 전질소, 유기물함량, 양이 온치환용량, 치환성 Na, Ca, Mg등의 양료가 가장 많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억새군락은 버드나무-기장대풀군락과는 반대로 3군락 중 pH가 가장 낮으며, 전질소, 유기물함량, 양이온치환용량, 치환성 Na, Ca, Mg등의 양료가 가장 적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다.
        4,000원
        111.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대장도에 부존하는 장도습지는 선캠브리아기로 추정되는 매우 심하게 규화된 변성퇴적암층을 관입한 화강암이 풍화되어 형성된 와지로 사료되며, 습지주변으로 비교적 다양한 화강암 풍화지형들이 관찰된다. 그리고, 장도습지의 형성은 화강암이 차별침식작용에 의하여 잘게 부스러지고 암편들이 홍수성 강우나 혹은 표토의 사면이동으로 낮은 경사지형이 되었고, 그 결과로 습지가 형성될 수 있는 지형특성을 보인 것으로 잠정적으로 해석된다. 또한, 습지주변의 사면토양과 습지퇴적물을 분석해 본 결과, 장도습지는 주변 사면토양의 영향하에 있는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습지로의 수분공급은 오랜 기간동안 지속되어 지형적으로 오목한 곳에 수분과 유기물을 끊임없이 공급하여 유기물의 분해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습지환경을 만들어 냈으며, 습지에 적합한 식생들이 정착하여 지속적으로 습지의 두께를 높여 현재의 습지를 형성해 낸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15.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시의 대표적인 습지유형인 저수지형습지(송파구 방이동 습지)와 묵은논형습지(은평구 북한산성 입구 습지)에 대한 현장조사(현존식생, 식물상, 야생조류)를 실시하여 각각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현존식생에 있어 저수지형습지는 개방수면이 넓고 추수(抽水)식물인 갈대의 분포가 넓은데 반해 묵은논형습지는 수심이 전반적으로 낮고 일정하기 때문에 개방수면이 협소하고 습생(濕生)식물인 고마리의 분포면적이 넓었다. 식물상에 있어서는 저수지형습지에서 42과 80속 86종 8변종 1품종 95종류가 조사되는데 이중 나도겨풀, 마름, 수련과 같은 부엽식물과 좀개구리밥과 같은 부유식물이 조사되었으나 묵은논형습지에서는 부엽식물과 부유식물이 조사되지 않았다. 그리고 묵은논형 습지에서는 35과 53속 57종 7변종 1품종 65종류가 조사되었다. 야생조류는 저수지형습지인 송파구 방이동 습지에서 28종 433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이중 서울시 보호종 6종 모두를 포함하여 산새와 물새가 고르게 관찰되었다. 묵은논형습지인 은평구 북한산성습지에서는 32종 365개체가 조사되었는데 이중 천연기념물 1종, 환경부 보호종 1종, 서울시 보호종 4종이 관찰되었다. 저수지형습지에서 대상지 전반에 걸쳐 관찰되었으나 묵은논형습지에서는 경계부 산림지역에서 주로 출현하였다 전체적으로 저수지형습지가 현존식생, 식물상, 야생조류가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저수지형습지의 지형구조가 다양함에 따라 식생유형과 동물상이 다양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300원
        120.
        200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기물이 함유된 공업용 폐수(2차처리수)의 수질을 정화하기 위해 2000년 7~10월에 친환경적인 방법인 식물정화조를 조성하여 하천의 수질 및 지하수를 보전하고 공업단지내에서 생물서식공간과 휴게공간을 제공하고자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식물정화조의 크기는 10m×6m(상부면)로 1일 처리용량은 2.5㎥였다. 폐수는 1일 4회, 6시간 간격으로 0.625㎥씩 나누어 처리하였다. 처리효율을 높이기 위해 수직흐름방식을 채택하였고, 배수층은 모래와 자갈을 2:1의 비율로 혼합하여 깊이 1.0m로 조성하였다. 식물정화조 내에는 갈대, 부들, 골풀, 노랑꽃창포 등의 다년생 정수식물을 20본/㎥ 식재하였다. 처리수 재활용 차원에서 생물종다양성을 증진시키는 자연형 연못을 조성하였으며, 이를 환경교육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관찰데크, 안내해설판 등을 도입하였다. 실험결과 BOD5, COD, T-N, T-P 등의 제거에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태계 모니터링 결과, 생물서식공간(비오톱)으로서의 기능이 점진적으로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