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2

        10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grazing intensity of growing Korean native goats (Capra hircus coreanae) on mountainous pasture. It was carried out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improvement of mountainous pasture management and establishing feeding system of Korean native goats. Castrated, male goats (n=10) with average initial body weight (BW) of 23.33±2.15kg and an average age of 4 months were used in this study. Grazing goats were supplemented by concentrates with 1.0% of BW.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forage was the highest in October (22.71±0.25%) an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p<0.05) in monthly comparison. The forage productivity of pasture was the highest from May to June (1718.7±207.5~ 1672.0±422.8 kg/ha) but it was decreased in July (1356.0±103.8 kg/ha) because of drought and summer depression. Average daily gains (ADG) of goats were the highest in June (99.5±6.4 d/g). Grazing intensity was calculated by forage productivity and dry matter intake (DMI) and was the highest in May (65 head/ha).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grazing intensity was suggested to average 39 head/ha from May to October. It is desirable that adequate grazing intensity was maintained by adjusting supplemental feed.
        4,000원
        102.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공광 이용형 식물공장에서 common ice plant를 재배하였을 때 생육에 대한 적합한 배양액 조성, 배양액 산도, 급액 간격, 광도 및 재식거리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식물공장 유형은 완전제어형 식물공장형태로 인공광원은 삼파장 형광등을 사용하였으며, 광주기는 12시간 일장주기였다. 수경재배시스템은 3단으로 구성된 박막수경시스템이었다. 식물공장내 온도, 상대습도와 이산화탄소 농도는 ON/OFF 제어하였다. 배양액은 일본원예시험장액과 식물체 분석으로 개발 배양액을 가지고 비교 실험 하였다. 배양액의 산도와 급액 간격 실험은 pH 6.0과 7.0 그리고, 5분 간격과 10분 간격으로 순환할 경우 생육 차이를 알아보았다. 광도는 90과 180μmol·m-2·s-1 2처리 하였다. 재식거리는 열간 간격을 15cm로 고정한 후, 열내 간격 10cm, 15cm, 20cm와 25cm 4처리로 처리하였다. 적당한 배양액의 조성은 N 7.65, P 0.65, K 4.0, Ca 1.6과 Mg 1.0mM·L-1이었다.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pH 6과 7 그리고 5분 간격과 10분 간격 처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광도 180μmol·m-2·s-1에서 높았다. 재식 거리가 증가할수록, 단위면적당 생체중과 건물중은 감소 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common ice plant 생육에 적합한 배양액 관리(조성, pH와 급액간격) 와 재배관리(광도와 재식밀도)를 알아본 결과, 생육에 적합한 배양액 조성으로 pH 6.0-7.0로, 급액 10분 간격 으로 공급해 주는 것이 좋으며, 광도 180μmol·m-2·s-1와 재식밀도 15×15cm로 재배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 된다.
        4,000원
        103.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 of roasting intensity and extraction time of coffee bea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oasted ground coffee extract was investigated. Coffee was roasted at 185oC using a rotating fluidized bed roaster for 5.17 (medium roasting) and 6.00 (dark roasting) min, respectively. Both roasted coffees were extracted in 90oC hot water according to the increased extraction time. Until 20 min, an increase in extraction time significantly increased soluble solute, caffeine, brown color, and phenolic compound. The soluble solid and caffeine cont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medium- and dark-roasted coffee extracts. The brown color intensity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dark-roasted coffee extract were higher than those of medium-roasted coffee. On the contrary,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dark-roasted coffee extract was lower than that of medium-roasted coffee.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ffee extrac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rown color intensity, as well as total phenolic content.
        4,000원
        104.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posome-coated salt (LCS) on the salty taste intensity of noodle. Dough, dried noodle, and boiled noodle with LCS were evaluated physico-chemically for water content, water binding capacity, solubility, swelling power, color, texture, cooking properties, and sensory t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ater content, water binding capacity, lightness, yellowness, and texture of noodle between the noodles with liposome-coated salt and non-coated salt. For the sensory analysis, the panel did detect more salty taste at 1.0% and 2.0% of LCS compared to the control. From these result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liposome coated salt can enhance salty taste, maintaining the same salt concentration without the physical property changes of noodle.
        4,000원
        105.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Low intensity cardiac rehabilitation, using a treadmill, on the myocardial structure. We identified the effects by analyzing changes in the rats' weights and the results of biopsies. Twenty Sprague-Dawley male rats, 50 weeks old,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myocardial infarction( MI) was induced by ligaturing their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After the acute MI induction, two rats of each group began to fall dead, therefore, eight of each group complet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We used treadmills for animals for the exercise group. This exercise group performed 30 minutes of exercise five times per week for six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perform any exercis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were found in within group comparison and between group comparison. Furthermore, we observed histological changes in the myocardium using Hematoxylin & Eosin and Masson's trichrome staining in both groups. Low-intensity exercise inhibited myocardial fibrosis, may serve as a reference in the cardiopulmonary field, which plays a role in rehabilitating patients with cardiac disorders, including acute MI.
        4,000원
        106.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pplementary lighting intensity and duration on selected Cassulaceae species grown in a hydroponic system. Five subfamilies in Crassulaceae with corresponding species were chosen as experimental units namely Sedeveria ‘Letizia ’, Sedum ‘Sun Red’, Crassula rupestris, Echeveria ‘Momotaro’, and Graptoveria opalina. Light duration (3 and 6 hours) and intensity (4,000 lux or 60 μmol • m−2 • s−1 and 8,000 lux or 120 μmol • m−2 • s−1), and their combinations served as factors which were replicated twice. Results revealed that the use of supplementary lighting using LED fixtures had influenced selected species under Crassulaceae. The use of three hours supplementary lighting under low light intensity had statistically similar results with those of the control S. letizia, C. rupestris and G. opalina in particular parameters. Meanwhile, succulents under six-hour with high intensity condition grew well, compared to species S. letizia, C. rupestris and E. ‘Momotaro,’ demonstrating that the dat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terestingly,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pecies C. rupestris and the control regardless of change of variables (duration and intensity) in all parameters.
        4,000원
        107.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odor intensity and dilution factor using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which is suggested in the Standard Method of Odor Compounds, by measuring odor intensity and dilution factor for fatty acids and i-butyl alcohol. For the measurement, 18 panel members were selected through a panel test, and odor intensity and dilution factor by substance produced from the selected panel were estimated. The estimation showed that the correlation of odor intensity with dilution factor for a fatty acids and i-butyl alcohol can be reasonably expressed by the equation I = A·log D + 0.5 (I : odor Intensity, D : dilution factor, A : material constant). The material constant was in order of propionic acid 2.0709, n-butyric acid 1.6006, n-valeric acid 1.3369, i-valeric acid 1.182, i-butyl alcohol 1.4326. The geometric average of increased dilution factor for the 5 compounds is about 4.8 time, 3.0 time for propionic acid and 7.0 tme for i-valeric acid due to odor intensity 1 increasing. It is sugges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e data for research on measures to improve the regulation standards for complex odor concentrations at a boundary sites in operation.
        4,000원
        108.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완도수목원 내 붉가시나무 천연림에 대한 솎아베기 강도에 따라 임분의 식생구조 변화를 분석하였다. 붉가시나무림 솎아베기 대상지에서 24과 33속 36종이 출현하였다. 그 중 대조구의 교목층 에서 타 처리구에 비해 출현종수가 많았으며, 아교목층 이하에서의 출현종수는 솎아베기 강도구, 약도 구, 대조구 순으로 나타났다. 식생 층위별 중요치 분석 결과, 교목층은 붉가시나무, 아교목층은 붉가시 나무와 동백나무의 중요치가 높았으며, 관목층에서는 동백나무가 주로 우점하고, 초본층은 마삭줄이 우 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 다양도 분석 결과는 솎아베기 강도구가 가장 높았고, 약도구, 대조구 순으 로 나타나, 솎아베기가 하층 식생의 경쟁을 유도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산림관리와 생물다양성의 보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09.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의 22개 지진과, 북중국의 46개 지진자료를 활용하여 직접적으로 지진규모 평가가 어려운 우리나라 역사 지진의 규모 평가 방법을 도출코자 하였다. 한반도를 포함한 Sino-Korea craton에서 지진효과, 피해 등으로부터 구한 최 대 진도(I0)와 지역규모(ML)와의 관계식은 ML=1.7+0.57×I0이다. 감진면적만 추정이 가능한 역사지진의 경우, 한반도에 서 적용 가능한 지역규모-감진면적(FA) 식은 ML=4.29−1.34×log(FA)+0.28×log2(FA)이다. 그러나 역사지진에서 감진면 적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지진효과, 피해 기록과 감진 면적이 동시에 기록된 경우 최대진도-규모 관계식을 통해 규 모를 평가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본다.
        4,000원
        110.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on and odor intensity using the odor sensory method for 4 types of fatty acid compounds and i-butyl alcohol. For the measurement, 18 panelists were selected based on several criteria through a panel test. Panelists chosen for their closely similar sensitivities provided more reproducible values. The estimation showed that the correlation of the concentration with odor intensity for the 5 compounds, including the fatty acid compounds and i-butyl alcohol can be reasonably expressed by the Weber-Fechner equation. Notably the standards regulation fatty acid concentrations are very strict, and the butyl acetate standards are very loose. It is suggested tha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on measures to improve the regulation standards on complex odor concentrations on site boundaries in operation, as well as the correlation between concentration and odor intensity for the designated foul odor substances, and their characteristics.
        4,000원
        111.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광량에 따른 생태계 교란종인 단풍잎돼지 풀(Ambrosia trifida L.)의 생리생태학적 반응을 연구하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주대학교 학교 내 단풍잎돼지풀이 우점한 두 지역(T1, T2)을 선정하였고, 각 지역 내에서 광량 이 많은 곳(L)과 적은 곳(S)에서 서식하는 단풍잎돼지풀의 지상부 높이, 잎 수, 잎 폭, 잎 길이 등의 생육반응과 광합성 률, 증산률, 기공전도도, 수분이용효율, 엽록소함량, 엽록소 형광 등의 생리적 반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단풍잎돼지 풀의 지상부높이, 잎 수, 잎 폭, 잎 길이는 광량이 가장 많거 나 적은 곳에서 측정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생리적 반응 에서, 광합성률, 증산률 그리고 기공전도도는 광량이 많을 수록 그 값이 증가하였으나 수분이용효율과 엽록소함량은 비교적 광이 높은 T1-S에서 낮았다. 엽록소형광에서, 최소 엽록소형광값(Fo)과 최대엽록소형광(Fm)의 경우 광이 높 은 T1-L과 T1-S에서 낮았으며 광계Ⅱ의 광화학적 요율을 의미하는 Fv/Fm값은 T1-L에서 가장 낮았다. 상관분석 결 과, 생육반응은 광량에 직접적인 영향은 받지 않으나 광합 성 반응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를 종합해 보면, 단풍잎돼지풀의 잎 수와 함께 잎 폭, 잎 길이는 지상부 높이가 높을수록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수분이용효율의 증감패턴과 유사한 것으로 보아 수분 이용효율의 영향 때문으로 보이며 이는 광량에 따른 광합성 률과 증산률의 변화에 의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으 로 판단된다
        11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of supplemental lighting intensity (SLI) on the shoot growthand flower quality of Rosa hybrida ‘Pink Bell’ in winter sea-son. High pressure sodium lamps (HPS) which were set upat 1.4m height above the planting beds were adjusted forthe SLI treatments: no supplemental lighting (control),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PAR) 30, 50, 70, and 90µmol•m−2•s−1 in 20h daylength (17:00 to 22:00 and 02:00to 09:00). Shoot growth including shoot elongation, shootweight, and flowering speed was promoted quantitatively asSLI increased. But the flower quality such as petal num-bers, petal pigmentation, and biomass distribution to thepetals was declined at PAR 90, even though the proper SLIfor rose production was generally known in the range ofPAR 90 to 120. In this experiment PAR 90 treatment madethe surface of petals heated near 30oC which was about10oC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without supplementallight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petals was continu-ously rising because the distance to lamps from floral budsbecame increasingly short as the shoots grew in localgreenhouse facilities. The heat stress by HPS lampscaused petal discoloration and over-consumption of assimi-lation products due to excessive respiration and water lossin petals. Thus, it is necessary to prevent heat injury byswitching light intensity depending on shoot growth consid-ering local greenhouse structure.
        4,000원
        113.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광도가 실내녹화에 많이 사용되는 관엽식물의 생육과 엽색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했다. 접란(Chlorophytum comosum ‘Picturatum’), 디펜바키아(Dieffenbachia ‘Marrianne’), 스킨답서스(Epipremnum aureum), 스파티필럼(Spathiphyllum spp.)의 4종 관엽식물을 대상으로 120일간 광도(PPFD) 15, 30, 60, 120μmol • m−2 • s−1에서 형광등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디펜바키아는 광도에 따라 초장, 엽장, 엽폭, 엽면적, 바이오매스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 4종 관엽식물 중 광도가 생육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육의 여러 항목 중 초장이 광도에 가장 잘 반응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가 크게 나지는 않았으나 엽폭에도 다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도는 전체적으로 지하부보다는 지상부의 바이오매스에 더 많이 반영되었으나, 접란의 경우는 지상부보다는 지하부의 생육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도는 SPAD 값에는 영향을 크게 주지 않았다. 디펜바키아는 120μmol • m−2 • s−1에서 가장 낮은 Fv/Fm값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높은 광량에 대해서 스트레스 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엽색의 밝기는 광도에 비례하여 밝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14.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태풍 발생빈도에서 1999-2013년 동안의 태풍 발생빈도는 1977-1998년 동안의 태풍보다 열대 및 아열대 서태평양의 북서해역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 1977-1998년 동안의 태풍은 주로 필리핀 동쪽 먼 해상에서 필리핀 및 남중국해를 지나 인도차이나 반도를 향해 서쪽으로 이동하거나 필리핀 동쪽 먼 해상에서 일본 동쪽 먼 해상으로 북상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1999-2013년 동안에 태풍들은 주로 동아시아 중위도 지역으로 북상하는 패턴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1999-2013년 동안의 태풍들이 1977-1998년 동안의 태풍들보다 훨씬 고위도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결국 후자의 기간보다 전자의 기간에 태풍 최대강도가 고위도에서 나타날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두 기간 사이에 500 hPa 유선에 대한 차에서 30-50˚N에서는 고기압성 순환 아노말리가 강화되어 있는 반면 남중국해의 북쪽에는 몬순 기압골 아노말리가 위치해 있으며, 이 몬순 기압골 아노말리는 145˚E까지 동쪽으로 확장되어 있었다. 이고기압성 순환 아노말리와 몬순 기압골 아노말리에 의해 동아시아 중위도 지역은 남동풍 아노말리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 남동풍 아노말리는 태풍들을 동아시아 중위도 지역으로 향하게 하는 지향류 아노말리의 역할을 하게 되어 1999-2013년 동안의 태풍들이 1977-1998년 동안의 태풍들보다 최대 강도의 위도가 증가할 수 있었다.
        4,000원
        115.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edes albopicuts, known as asian tiger mosquito or forest mosquito, is characterized by its black and white strips on legs and body. Ae. albopictus is an important vector mosquito for the transmission of many viral pathogens such as dengue fever and chikungunya fever. Unlike other mosquito, Ae. albopictus attacks people mainly during the daytime in the forest. To evaluate the diel activity of Ae. albopictus, three times mosquito collecting were conducted using BG Sentinel trap with dry ice in bamboo forest in Damyang-gun, Jeoullanam-do, in South Korea from August to September, 2009. Captured mosquitoes were counted and released every one hour during 25 hours experiment time. The result showed that Ae. albopictus activity began with sun rising at approximately 09:00, with peak in the early evening between 16:00 to 19:00, and ended with sunset at 21:00. Among the several factors affecting on the mosquito activity, light intensity seems to be a main factor. Especially, if the light intensity is over some threshold, it negatively effects on the activity of Ae. albopictus.
        116.
        201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ensity interferometry, based on the Hanbury Brown–Twiss effect, is a simple and inexpensive method for optical interferometry at microarcsecond angular resolutions; its use in astronomy was abandoned in the 1970s because of low sensitivity. Motivated by recent technical developments, we argue that the sensitivity of large modern intensity interferometers can be improved by factors up to approximately 25 000, corresponding to 11 photometric magnitudes, compared to the pioneering Narrabri Stellar Interferometer. This is made possible by (i) using avalanche photodiodes (APD) as light detectors, (ii) distributing the light received from the source over multiple independent spectral channels, and (iii) use of arrays composed of multiple large light collectors. Our approach permits the construction of large (with baselines ranging from few kilometers to intercontinental distances) optical interferometers at the cost of (very) long-baseline radio interferometers. Realistic intensity interferometer designs are able to achieve limiting R-band magnitudes as good as mR ≈ 14, sufficient for spatially resolved observations of main-sequence O-type stars in the Magellanic Clouds. Multi-channel intensity interferometers can address a wide variety of science cases: (i) linear radii, effective temperatures, and luminosities of stars, via direct measurements of stellar angular sizes; (ii) mass–radius relationships of compact stellar remnants, via direct measurements of the angular sizes of white dwarfs; (iii) stellar rotation, via observations of rotation flattening and surface gravity darkening; (iv) stellar convection and the interaction of stellar photospheres and magnetic fields, via observations of dark and bright starspots; (v) the structure and evolution of multiple stars, via mapping of the companion stars and of accretion flows in interacting binaries; (vi) direct measurements of interstellar distances, derived from angular diameters of stars or via the interferometric Baade–Wesselink method; (vii) the physics of gas accretion onto supermassive black holes, via resolved observations of the central engines of luminous active galactic nuclei; and (viii) calibration of amplitude interferometers by providing a sample of calibrator stars.
        5,400원
        11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균일한 고품질의 접수 및 대목 생산을 목적으로, 인공광형 폐쇄형 육묘시스템 내에서의 접수 및 대목 육묘기 술을 개발하고자, 폐쇄형 육묘시스템 내에서의 광량 및 플러그 트레이 규격에 따른 오이 접수 및 호박 대목의 생육을 조사하였다. 광량 3수준 (photosynthetic photon flux, PPF 165, 248, 313μmol·m−2·s−1) 및 플러그 트레이 셀 규격 5가지(50, 72, 105, 128, 200공)를 조합한 15처리로 9일간 육묘하였다. 오이 접수와 호박 대목의 지상부 건물중은 광량과 플러그 트레이의 셀 크기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상대생장률은 광량과 플러그 트레이의 셀 크기에 따라 두 배 가까운 차이를 보였다. 그와 함께 광량의 증가에 따라 건물률이 증가하고 비엽면적 및 배축장이 감소하여, 묘의 품질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1본엽의 전개는 200공 플러그 트레이에 육묘 한 경우를 제외하고 오이 접수의 경우 파종 8일, 호박 대목의 경우 파종 7일경부터 이루어졌다. 200공 플러그 트레이에 육묘한 경우, 다른 플러그 트레이 규격을 이용 한 경우에 비해 생육 및 본엽 전개가 하루 정도 늦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생육 및 공간이용효율을 고려 하였을 때, 단근합접을 위한 오이 접수 및 호박 대목 생산을 위해서는 오이 접수의 경우 105공~128공 플러그 트레이를 이용하여 8일 내외, 호박 대목의 경우 72공 ~105공 플러그 트레이를 이용하여 7일 내외로 육묘하는 것이 추천된다. 아울러 광량 증가에 따라 묘의 생육 및 품질이 향상되므로, 검토된 범위 내에서 가능한 광량을 높여주는 관리가 추천된다.
        4,000원
        11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자기공명 혈관조영검사 시 사용되는 가돌리늄 함유량이 높은 조영제(1000mmol)는 T1 단축효과가 우수하여 혈관의 신호강도가 높다. 그러나 가돌리늄 함유량이 낮은 조영제(500mmol)에 비해 148%와 19% 높은 점도와 삼투압은 인체에 투여하였을 경우 다양한 부작용의 발생확률을 높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돌리늄 함유량이 높은 조영제의 특성을 파악하여 희석이라는 방법을 통해 단점인 점도와 삼투압을 낮추면서 장점인 신호강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여 부작용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영상의 질은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조영제가 인체 내 혈관에 투여되면 혈액과 희석을 통해 mol 농도가 변화되고 이로 인해 신호강도의 변화를 일으키는 원리에 기초하여, 가돌리늄 함유량이 높은 조영제의 mol 농도 변화에 따른 신호강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phantom을 자체 제작하여 실험한 후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실험을 시행하였다. 임상실험은 60명을 대상으로 조영제를 희석한 군과 희석하지 않은 군의 조영제 희석에 따른 대조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뇌혈관의 신호강도를 비교 하였으며, 영상획득 장비로는 3.0T 초전도 자기공명영상장치와 16channel SENSE NV 코일을 이용하였다. 결 과 : 연구결과, 조영제 m o l 농도 변화에 따른 p h a n t o m의 신호강도는 0.0125mmol부터 급격히 증가하다 20mmol에서 최고점을 이룬 후 완만하게 감소하여 200mmol부터 평형을 이룬다. 이는 1000mmol의 조영제 원액이 혈관에 투여 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혈액에 희석되어 신호강도가 변하는 것으로 조영제 원액의 희석률을 달리하여 20mmol에 근접 시키면 신호강도가 높은 영상을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근거하여 임상실험을 통한 뇌혈관의 신호강도를 비교한 결과, 영상화 범위의 모든 뇌혈관에서 가돌리늄 함유량이 높은 조영제를 희석하여 검사한 뇌혈관 영상의 신호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phantom실험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1000mmol 조영제를 직접 사용하는 것보다 500mmol로 희석하여 사용하면 신호강도가 최고점에 이르는 20mmol에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신호강도가 높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결 론 : 본 연구는 가돌리늄 함유량이 높은 조영제의 특성 중 부작용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점도와 삼투압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돌리늄 함유량이 높은 조영제의 특성을 분석하여 희석이란 방법을 통해 임상에 적용함으로써 영상의 질을 향상시키고, 부작용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높은 점도와 삼투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4,200원
        11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ge net in the circulating water channel. It visualized wake flows using a PIV (paricle imaging velocimetry) and analyzed the flow velocity distribution. In addition, the vorticity and turbulence intensity were analyzed from the wake flow distribution and compared changes by flow velocity.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turbulence intensity in the circulating water channel was very stable showing less than 1% in the range between 0.2 and 0.8 m/s. The drag coefficient affecting to the netting was estimated to be 1.35. The flow decreasing rate of the wake in the middle of the netting was 2.1% at the range of 0.2 m/s and it was constant at 6.6―6.9% over the range of 0.4 m/s irrespective of velocity increases. Finally, the change of turbulence intensity by netting and knot mesh could be confirmed.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the future research of flow characteristics by fishing nets and meshes.
        4,000원
        12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표고 톱밥배지 재배시 녹색LED 광량에 따른 생육특성 분석 결과 5 umol ·m -2 · s -1에서 3주기 기준 배지당 자실체 의 수량은 239 g으로 형광등 202 g 대비 18% 증수효과가 있었으며, 자실체 폴리페놀 함량은 형광등 107 ppm에 대 비 78.4 ppm으로 27% 정도 낮았지만 에르고스테롤 함량 은 형광등 145 ppm 대비 307 ppm으로 2.1배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력소모량은 형광등 대비 15.9%의 에너지 절감 율을 보였으며, 전등의 에너지 효율이 77.5%로 가장 컸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