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9

        101.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한중 미각어 ‘쓰다’, ‘苦’ 계열 어휘를 대상으로 의미 확장 및 개념화 양상에 대해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1차적으로는 사전에 기술된 의미 항목을 대조하고 이를 바탕으로 말뭉치 자료 분석을 통하여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되는 풍성한 표현 양상을 미각, 후각, 시각, 청각, 감정 및 태도, 일·사건, 사람, 날씨 영역 등으로 분류하였다. 더 나아가 이러한 어휘의 의미 구성 과정에 대해 Fauconnier & Turner(1997)에서 제시된 인지언어학의 핵심이론인 개념적 혼성 이론을 이용하여 각 의미의 혼성공간 및 발현구조에 대해 묘사하였다. 이러한 어휘의 의미 확장 과정은 신체적 경험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데 쓴맛에 대한 우리의 부정적 느낌에 대한 경험이 의미 확장 양상에서도 대부분 부정적 가치로 나타났다. 이처럼 어휘의 의미 확장은 인간의 체험에 근거하며, 또한 개별 언어의 문화적 차이로 인하여 서로 다른 특수성이 존재함을 밝혔다.
        5,800원
        102.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Qin period in China, the monosyllable expression of death had been a stable word system. Until the mid-ancient period, the related words presented bisyllablization, and the range of the pragmatics was also enlarged. The epitaph corpora in the Sui and Tang dynasty is abundant and believable. The words reflect six ways of burial: generally buried words, words buried to the ancestral grave, temporarily buried words, reinter words, and multi-burial words. Among them, there are three words which were needed to be distinguished in the reinter words. ‘Gai Zang’ meaning the burial site has to be changed for objective reasons. ‘Gai Bin’ must be done so as well because of the canonization. Meanings of ‘Gai Bian’ range simply from the morgue to the cemetery. In addition, three of multi-burial ones, ‘He Bian’ and ‘Tong Xue’ mean buried with one’s husband or wife, but ‘He Zang’ can be used to point to bury to the ancestral grave. To sum up, investigating words related to the burial and its ways, compared with the word examples in the handed-down documents, help us observe the disyllabic development of medieval words, explain the relevant funeral vicissitudes issues, supplement Chinese dictionary, and add missing senses from early examples.
        5,700원
        103.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투사적 그림분석을 통해 이중섭 미술작품의 의미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중섭은 한국의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 사람으로 일제강점기, 해방혼란기, 그리고 한국전쟁 등 비극적인 현대사에서 정치적 격동의 중심에 있었다. 그는 외적 고통과 심리적 갈등을 겪으면서도 일관되게 따뜻한 가족애와 소망을 담고 있는 소, 어린이, 물고기, 게 등 일상에서 볼 수 있는 친근한 소재를 그렸다. 이중섭 작품의 특징은 갈등적 상황을 회피하려는 특성인 방어나 저항이 나타나지 않고 자신의 무의식적 소망, 욕구의 심리를 잘 반영한다는 것이다. 이중섭 미술작품의 의미 해석을 위한 연구방법은 투사적 그림분석을 사용하였고, 작가의 심리적 역동이 잘 반영된 인물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작품의 선정은 유일하게 그려진 자화상과 많은 작품이 남겨진 아동화 중 공통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이중섭 미술작품에 나타난 의미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상적 애착욕구. 둘째, 퇴행. 셋째, 승화이다. 미술감상은 미적체험, 의미발견, 전이 및 자기이해 등 치료적 요인을 갖고 있으며 심리치료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이중섭 작품의 의미를 이해하고 심리치료의 관점에서 미술감상이나 미술심리치료 프로그램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6,100원
        10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오래전부터 한국인이 애용해 온 기본 도형을 분석하여 의미와 상징성을 밝히고 그 유형을 분류하는 것이다. 선조들은 원, 네모, 세모 형태를 선호하였는데 한글에 ‘ㅇ, ㅁ, ㅅ’가 존재하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이를 위해 고조선부터 삼국시대에 이르기까지 복식과 유물 등에 나타난 기본 도형을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도서, 인터넷 및 사진자료 등을 분석하였으며 도자기, 청동기, 복식 등 다양한 곳에 나타난 도형의 연결고리를 찾았다. 그 연구결과 첫째, 원은 하늘, 해, 달, 별, 청동거울, 얼굴 등을 상징하는데 일찍이 천문관측이 발달했던 사실과 원형제단이나 제사장의 표징인 원형 청동거울이 이를 뒷받침한다. 둘째, 땅(地)을 상징하는 것은 네모라고 보았다. 하늘과 땅신에게 모두 제사를 지냈었고 네모는 부족 공동체의 안녕과 풍요를 담은 현실을 의미하는 형태이다. 마름모형이 더 많이 애용되었는데 이는 힘을 상징하는 세모가 두 개나 들어있는 형태이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셋째, 빗살무늬 토기에서도 나타나지만 뫼 ‘山’과 사람 ‘人’ 및 모자나 마늘의 형태 또는 나 ‘厶’ 등으로부터 세모가 파생되었다고 보는데 하늘, 땅 다음으로 사람이 중요하다는 고대인의 사고에서 발생한 것으로 본다. 아름다운 유산인 기본 도형의 연구를 통해 한국역사의 오랜 전통과 정신을 이해하고 새로운 창조문화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5,200원
        105.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안빙몽유록」(安憑夢遊錄)이 정치적이고 유교적 입장에서만 작품 해석이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도교적 성향을 지적하는 연구는 미진하다는 점에 주목했다. 본고는 신광한이 살았던 16세기를 고찰하고 그의 도교적 성격의 시에 나타난 사유를 통해 「안빙몽유록」(安憑夢遊錄)의 도가적 상상력과 구조, 인물 형상에 대해 논의를 전개하였다. 전체적인 구조는 입몽과 화원국의 잔치에 초대받은 몽중 및 각몽으로 나뉜다. 화원국에 초대된 안빙은 작중의 시비에 전혀 참여하지 않으며 인물들과 거리두기를 하고 있다. 화원국은 그가 목도한 현실적인 투쟁과 시비판단의 세계이다. 안빙은 부조리한 세계에서 최소한의 언어 사용으로 시비와 거리를 두는 도가적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각몽 부분은 안빙의 도가적 깨달음이 명료하게 드러난다. 모란으로 상징되는 권력은 언젠가는 죽음으로 마감된다는 작자의 시각을 보여주며 현세에 대한 비판이다. ‘장막을 내리고 정원을 엿보지 않았다’고 하는 마지막 장면은 자기를 비워 세상을 대하는 고요함과 무위의 자세이다. 그는 세상의 모순이 가져 온 정체성의 상실을 안빙이라는 보상 기제를 통해 도가적 사유와 지향으로 극복하려고 한 것이다.
        6,300원
        106.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641-1649년에 하르스되르퍼(Georg Philipp Harsdörffer, 1607-1658)는 8권으로 구성된 방대한 문학전집 『여성실에서의 대화놀이』(Frauenzimmergesprächspiele)를 완성하고 4번째 권에 《젤레비히》(Seelewig)를 수록하여 1644년에 출판한다. 당시 하르스되르퍼의 대본을 가진 《젤레비히》는 무대작품의 표현법들을 담아 슈타덴(Sigmund Theophil Staden, 1607-1655)의 음악과 함께 극작품으로 탄생된다. 따라서 ‘텍스트의 소통을 위해’ 《젤레비히》에서 사용된 개별 악기와 조성은 각각의 등장인물과 연계되어 상징적 의미와 정서적 표현을 가지며 텍스트의 내용과 전개처럼 음향적 내용과 전개로 소통력을 보여준다. 결국 제시된 악기와 조성의 상징적 의미와 정서적 표현은 바로크 뉘른베르크 오페라 «젤레비히»에서 소통된 당시 사회의 ‘문화적 소리’로 음악 사적 의미를 갖는다.
        7,800원
        107.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huowen Tongxun Dingsheng 說文通訓定聲, as a representative work by Zhu Junsheng who is a famous expert in study of Shuowen Jiezi 說文解字(hereafter Shuowen) in Qing Dynasty, consists of three parts: Shuowen 說文, Tongxun 通訓, and Dingsheng 定聲. This book in Shuowen the part is based on the word meaning system, and corrected the error of explaining the original meaning. It includes the following eight types: 1. corrected the error of explaining the original meaning of Shuowen because of the wrong glyph analysis; 2. corrected the error of explaining the original meaning of Shuowen because of the philosophical thoughts of yin and yang five elements; 3. corrected the error of explaining the original meaning of Shuowen because the intending meaning is wrongly regarded as original meaning; 4. corrected the error of explaining the original meaning of Shuowen because the loaning meaning is wrongly regarded as original meaning; 5. corrected the error of explaining the original meaning of Shuowen because the contextual meaning is wrongly regarded as original meaning; 6. corrected the error of explaining the original meaning of Shuowen because the meaning of continuous words is wrongly regarded as original meaning; 7. corrected the error of explaining the original meaning of Shuowen because the meaning of overlapping words is wrongly regarded as original meaning; 8. corrected the error of explaining the original meaning of Shuowen because the language source meaning is wrongly regarded as original meaning.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se researches lie in helping to use materials in Shuowen correctly and scientifically, and helping to understand the way of interpretating Shuowen.
        6,400원
        108.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word “execution 執行” is a common word used in modern Chinese. The main meanings in modern Chinese are: 1. implemented according to law. 2. do it according to the plan or resolution. Both “execution” and “going” in ancient Chinese are polysemous words of monosyllabic. Under the “implementation” position,the same meaning field is a synonym relationship. As the compound word “execution”,it is deeply influenced by the Buddhist scriptures. “Execution” was initially compounded from the ancient Chinese period. The table “has adhered to the rhythm”,but it is not popular. In the Middle Chinese period,influenced by the Chinese translation of the Buddhist scriptures,the same morphological concept was re-integrated and stabilized to form a compound phrase,mainly referring to “In the period of modern Chinese,it mainly refers to” the implementation of “legalization according to law”; in modern Chinese,it is based on the table “to do according to plans or resolutions”.
        5,200원
        109.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여 ‘저녁돌봄’으로 확보된 여유시간이 직장맘들의 삶의 질에 주는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저녁돌봄’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직장맘 5인을 만나서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저녁돌봄’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어머니들은 저녁돌봄 서비스가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안심이 된다는 심리적 안정감을, 자녀들은 충분한 놀이를 통해 스트레스가 완화됨을 경험할 수 있었다. 둘째, ‘저녁돌봄’은 어머니들에게 여유시간의 확보와 역량개발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교육을 통해 양육 관련 정보를 제공받기를 원했고,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원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자녀와 함께 부모도 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었다. 결국, 자녀를 양육하기 위한 ‘육아공동체’는 ‘부모배움공동체’로 확대 변화될 필요가 있으며, 향후 관련 주제들을 활용하여 지역의 특성과 맥락을 고려한 다양한 ‘저녁돌봄’ 서비스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5,700원
        110.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그림책 중심의 교사협력지원 부모교육에서 부모가 가지는 경험적 의미를 탐색해 보고, 그 의미를 분석하여 부모가 가정과 원의 연계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기회를 갖고 부모역할과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을 재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사들이 그림책 활동을 부모교육으로 계획하고 직접 실행한 실행연구이다. 부모교육에 참여한 학부모 9 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부모교육 프로그램, 소그룹 토의와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연구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역할의 부담감과 모호함으로 인한 부모역할의 어려움 표현, 둘째, 그림책에 대한 새로운 인식으로 자녀와의 놀이에서 그림책이 주는 다양한 놀이로서의 매체 인식, 셋째, 교사협력지원에 대한 기대와 만족으로 자녀의 발달을 가장 잘 이해하는 교사와의 만남이 다각적인 정보제공과 신뢰로운 관계 구축의 기회, 넷째, 부모교육에 대한 재인식으로 평면적이고 일회적인 지식 위주의 교육형태에서 더 나아가 참여형 부모교육의 긍정적인 효과 인식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협력지원 부모교육이 부모가 느끼는 부모역할의 어려움을 기관에서 참여형 부모교육의 실행으로 적극적으로 돕고, 공감하며 이해할 때 영유아의 긍정적 발달을 돕는다는 의미가 있다. 따라서 교사 협력지원의 부모교육은 가정과 원을 연계시키는 효과적인 부모교육의 한 형태라는 것을 제언 할 수 있다.
        6,000원
        111.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에 종교학적으로 답하기 위해 폴 리쾨르(Paul Ricoeur)의 미메시스(mimèsis) 이론을 그의 종교적 해석학에 접붙였다. 이 접붙임을 통해 드러나는 종교적 텍스트의 본유적인 기능은 개인과 공동체가 종교적 텍스트를 읽고 해석하면서 개인과 공동체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한정적인 시간성(Zeitlichkeit)을 넘어선 영원성(eternity)이나 공(空)과 같은 근원적인 시간성과 새로운 존재의 가능성을 보면서 일어나는 영혼의 변형과 서사적 정체성이다. 약한 인공지능(weak AI)의 경우, 인공지능이 지식적이고 교리적인 측면의 기능을 감당하게 되어 영혼의 변형이라는 종교적 텍스트의 본유적 기능이 강화될 것이다. 강한 인공지능(strong AI)의 경우, 인공지능이 앞으로 인간과 함께 살아가는 동반자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강한 인공지능이 등장하기 전에 지금까지 종교적 텍스트가 형성해 온 다양한 종교적인 서사적 정체성을 인공지능 프로그램 안에 적극적으로 포함하는 컴퓨터 공학과의 협업이 강력하게 요청된다.
        5,500원
        112.
        2019.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당대는 축적된 연유기술을 바탕으로 화려한 삼채도기 문화를 꽃피운 시기였다. 당대의 연유도기는 이전의 단색 연유기술과 달리 다양한 색상의 구현이 가능했으며, 세 가지 색 이상을 혼용하기도 하여 시각적인 화려함이 극대화되었다. 소위 당삼채라는 당대의 대표적 연유도기는 7세기 중반 盛唐 이후 크게 유행하였다. 주로 부장품인 明器로 활용되었으나 출토 상황에 의하면 일상생활에서도 적지 않게 사용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오늘날 고고학적 발굴 성과에 의하면 당대의 연유도기는 화북 및 화남 등 여러 窯場에서 생산되었으며, 중국 내 소비와 함 께 동아시아는 물론 동남아시아와 서아시아로까지 널리 수출되어 활발한 소비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당대의 주력 생산품이었던 당대 연유도기의 생산과 소비, 그리고 수출에 관한 그간 학계의 연구성과를 소개하고 관련 논제들을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그간 동아 시아에 비해 덜 주목되었던 동남아시아와 서아시아 지역의 출토 사례를 중심으로 해외 전파와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몇 가지의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먼저 여러 발굴 성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당대 厚葬문화 덕에 初唐부터 이미 삼채 도용이 대규모로 생산되었고, 이는 황족묘나 고관대작 분묘 출토품을 통해 어렵지 않게 추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한 편으로 섬서 서안의 中堡村이나 하남성의 張思忠夫婦墓 등의 출토 예를 통해, 無官職이거나 중상급의 평민계층 사이까지 폭넓게 향유되었음을 알 수 있어 이는 당대의 전형적 부장문 화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8세기 중엽 안녹산의 난(755~763) 이후, 화려한 당삼채의 생산이 종식되고 대 신 백유녹채의 생산이 활발해졌다. 이는 성당기의 삼채와는 성격을 달리하는 새로운 채유 도기로 성당시기 당삼채는 부장용 명기의 성격이 강했으나, 9세기 백유녹채도기는 실용기에 가깝다. 그런데 이 백유녹채도기의 제작을 촉구한 역사적 배경은 바로 8세기 후반 이후 바닷길을 통해 이루어진 서아시아, 즉 이슬람제국과의 교역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9세기 폭발 적으로 증가한 이슬람과의 도자무역은 결과적으로 이슬람 시장과 영향력에 대한 당나라의 태도에 기인한 것이라 판단된다. 이는 단순히 동방의 연유 도기가 이슬람권에 수출된 것이 아니라 이슬람권의 기호를 중국 측이 수용한 결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7,800원
        11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V+完’과 ‘V+好’ 구문의 의미특징을 간략히 살피되 궁극적으로 두 구문이 어떠한 인지과정을 거쳐 이해되는지 그 인지과정을 고찰하고 설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동작 의 완료라는 기본 의미의 전제하에 양의 소실과 출현을 근거로 의미특징을 비교하였는데, ‘V +完’은 양의 소실, ‘V+好’는 양의 획득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나아가 인지언어학의 개념적 혼성 이론을 해석의 근거로 삼아 유형별 인지과정을 분석하였는데 ‘결과보어 감지→인과관계를 매개로한 연상 작용→인과관계 추출→입력공간 구축→공간횡단 사상을 통한 입력공간 연결→투사를 통한 혼성공간 형성→인과관계의 개념적 혼성과정을 통한 발현구조 창조→‘V+完1 /完2/好1/好2’ 구문의 생성과 이해’의 인지과정을 거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혼성공간으로 투사되기 전 ‘完2’는 완성이라는 원형의미에서부터 주어진 양의 달성으로써 양의 소실의 의미가 부가되는 의미 획득의 원형확장이 진행되고, ‘好1’은 원형의미 로부터 추론기제가 작용하여 완성의 의미만을 나타내는 의미 소실의 원형확장이 이뤄지는 것으로 원형의미와의 인지적 변별이 가능함을 고찰하였다.
        5,200원
        114.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의 일상 언어 중 신체어는 단순히 신체 부위를 가리키는 개념이 아니라, 여러 가지 영역으로 의미가 확장되어 비(非)신체영역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쓰이기도 한다. 본고는 이러한 현상에 주목하여 중국어와 한국어의 신체어 ‘耳’과 ‘귀’를 대상으로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그 의미 확장 양상과 원리를 살펴본 것으로,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신체어의 의미 확장 과정은 개념적 은유와 개념적 환유가 대표적인 기제로 작용하는 데 이것은 우리의 신체적 경험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대상과 유사성이나 인접성의 관계를 맺으며 산출된다. 둘째, 양국민의 인지 차이는 서로 다른 개념 영역으로 의미 확장이 이루어 지며, 또한 같은 대상이더라도 서로 다른 언어권 화자에 따라 관찰 각도가 다르고 다른 측면을 부각시킴으로써 중국어와 한국어 각각 고유의 의미 확장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요컨대, 우리의 개념 체계는 본질적으로 비유적이며, 중국어와 한국어 각 언어권 화자의 풍부한 경험과 문화적 차이, 인지의 차이는 서로 다른 개념을 인지하고 언어화하며, 또한 서로 다른 의미 확장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5,400원
        11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hirakawa Shizuka recognizes the Chinese Character before the Warring States Period as a kind of sacred one which exists in a way of series. For example, he interpreted the meaning of ‘Kou (口)’ according to its structure prior to the Period, regarding the meaning as the symbolization of an instrument used for praying. Then, he thought all the Chinese Characters with the structure element of ‘Kou’ should belong to the sacred. But his recognition is not correct. First, the interpretation of ‘Kou’ as the prayer instrument with the prayer character is wrong. So, the interpretation of serial characters of ‘Kou’ based on his misinterpretation of ‘Kou’ also proves to be wrong. Second, except the abovementioned mistakes, Shirakawa Shizuka made some other mistakes in his research on the serial characters of ‘Kou’ as well. But in this paper, we will just take examples of the characters such as ‘Gao (告)’, ‘Yue (曰)’, and ‘Yan (言)’, to point out the mistakes.
        4,800원
        116.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1961, the Republic of Korea’s first newly-constructed government building was completed. The government building, as ROK office, was erected as a twin with the USOM office in Sejong-ro. The reason why the ROK office and the USOM office were erected as a twin building is that the two offices were part of Foreign Operation Administration’s Seoul Buildings Project in 1954. Within the project, the FOA office and the ROK office were rarely separated, and naturally, the ROK office was built according to the US standards. The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s which led by the US government were involved in the US architecture, engineering-construction companies. Because those AEC companies were familiar with the US technology and standards. In the phase of construction, Korean companies took part in the process under the supervise of Vinnell Corporation. The US expected to transfer its ‘modern’ and ‘developed’ technology through this process. The completed ROK office was widely known as the ‘modern style (hyundae-sik)’ building, which was body forth as glasses and new facilities. These factors were what the US emphasized for exporting architecture. The modifier, ‘modern style (hyundae-sik)’, given to the ROK office in the 1950s was a synonym for any new feeling that had never been seen hitherto. The newness of the ROK office, the ‘modern style (hyundae-sik)’ building, was specified as materials and facilities that indicates modern technology while in the absence of adequate knowledge.
        4,000원
        117.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discusses the social meaning of LHL% (rising-falling tone in IP final) in Seoul Korean, and shows the two kinds of LHL% contours that depend on the phonetic details of the contours. The data consist of popular “pseudo-reality” TV show called ‘we got married,’ where the female characters switch styles between a rational interview style and emotional, conversational style. What clearly characterizes the two styles is the phonetic pattern of LHL%—pitch and duration as the speakers use more phonetically extreme contours in a conversational style. The non-expressive LHL%, with the mild phonetic contour, functions as a “smoother,” while the expressive LHL%, with the extreme contour, has various emotional functions. Thus, this paper argues that while the “smoother” function can be the basis of social meanings of LHL%, the phonetic details, which make the variable more salient, are more important in shaping the social meaning and speaker stances.
        6,700원
        118.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ndscape urbanism suggests direction on the method of performing landscape through a practical strategy to deal with urban problems, by using landscape as a medium. However, even though such a practical topic has been advocated, failure to resolve the differe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has been criticized. To identify the vagueness of the concept of landscape urbanism,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fferential properties of texts that appear in discourse. It analyzes the discourse on the word “landscape” and looks at the relation between texts and contexts that form the discourse from a semantic approach. The texts have been extracted from the discourse of Corner and Waldheim where their meaning and signification are derived through the contextual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the word “landscape”. In landscape urbanism, the word “landscape” has a conceptual representation of the theory, and the textual context contained in “landscape” is complex and multi-layered. The major texts related to the word “landscape” have semantic relations that have denotative and connotative meaning. The affiliation with the subject of landscape relates to the denotative meaning, and the texts related to the properties of landscape have a connotative meaning. The lexicon of the word “landscape” is a complex system, which forms its signification through emergence and self-organization. Meanwhile, the word “landscape” has the individuality of texts in complicated relations, including inevitable vagueness and contingency, which limits the study in applying and evaluating the analysis objectively.
        4,000원
        119.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투르게네프의 『사냥꾼의 수기』에 수록된 25편의 작품 중농노들의 이야기를 다룬 여섯 작품을 선별하여 농민들의 삶 속에 형상화된 자유의 의미를 분석하는 데 있다. 투르게네프는 벨린스키의 사망과 프랑스 혁명의 실패가 있었던 1848년을 기점으로 ‘주인과 하인’의 문제에서 삶과 관련된 존재론적 문제로 사유의 폭을 확장하였다. 따라서 자유에 관한 그의 사유도 일정한 변화를 겪게 된다. 우선 투르게네프는 자연과 문명이라는 두 대비적 공간 속에서 존재를 구속하는 문명의 모든 일체에서 벗어나 자연스러운 삶을 동경하고 향유하는 것이 참된 자유라 생각했다. 그러기 위해서 투르게네프는 ‘무엇으로부터의 자유’라는 자유의 일반개념에서 ‘무엇’이라는 대상성 자체에서 벗어나 존재 내면에서 약동하는 ‘자연’과 교감할 것을 강조한다. 자유에 관한 투르게네프의 생각은 1848년 이후 죽음과 운명의 문제와 결합하면서 변화를 겪게 된다. 그것은 운명에 대한 맹목적인 수용이 아니라, 루케리아처럼 신의 섭리를 주체적으로 깨닫고 자신의 운명을 자기 긍정의 힘으로 사유하는 것을 의미했다. 이렇듯 본 논문에서는 『사냥꾼의 수기』에 형상화된 자유의 의미를 다층적으로 살펴보았다.
        6,100원
        120.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중국 ‘생태시’의 성장과정과 창작 현황을 고찰하고, 나아가 21세기에 들어 최악의 환경오염 문제를 안고 있는 중국 사회에서 ‘생태시’가 내포하고 있는 ‘환경과 개발’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인간과 자연’ 관계에 대한 새로운 지향을 살펴보고자 한 시도이다. 개혁개방 이후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하면서 중국이 보여준 기록적인 경제성장률의 이면에는 경제성장의 속도에 상응하는 수준으로 자연환경파괴와 오염이 확대되고 있었다. 이러한 현실적 배경을 바탕으로 중국의 생태시 창작은 80년대 중반 극소수 시인의 작품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이후 하나의 창작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본고는 주요 작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생태시가 내포하고 있는 사회 참여의식과 비판적 특징, 자연과 인간의 새로운 관계 모색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5,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