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8

        101.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항산화물질을 구명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생산된 약용작물 38종을 수집하여 항산화 활성물질을 탐색한 결과 가시오갈피, 구절초, 건강, 목단, 시호, 산수유, 삼백초, 산사, 유근피, 작약, 천궁, 홍화씨, 및 황금등 13종이 항산화 활성이 높은 생약재로 선발되었다. 선발된 13종의 생약재중 홍화씨에 대한 활성물질을 추적, 분리하여 NMR로 물질구조를 동정한 결과 N-feruloylserotonin이 항산화 물질이라는 것을 처음 밝혀냈다. DPPH radical소거 활성에 의한 기존 항산화제인 α-tocopherol, BHA 및 BHT를 N-feruloylserotonin과 항산화력를 비교한 결과 N-feruloylserotonin이 6.6μg/ml로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102.
        2000.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mbelliferae medicinal crops have low germination under natural condition. Special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eds and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ight and temperature on their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in Umbelliferae plants, using them as oriental medicine materials. Fruits of Umbelliferae are bi-partite type and form 2 seeds. Their oil canals and funiculus or carpaphore has apparently specific shape. Seed shape of Buplerum falcatum, Ligusticum acutilobum and Foeniculum vulgare are oblong, Ledeboutiella seseloides, Angelica dahurica, Angelica gigas elliptic, and Ostericum koreanum ovate. Color of seed coats varied from yellow to dark brown. Seed size was 3.2 to 6.9 mm in length, 1.7 to 4.9 mm in width. One thousand-seed weight of Buplerum falcatum was lowest(at 1,660 mg) and Ledebouriella seseloides and Angelica gigas were relatively highest(at 3,970 mg) having larger size than any others. Optimum temperatures for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ranged from 20 to 25℃ and especially temperature at 25℃ improved seed germinations of Ledebouriella seseloides, Angelica dahurica and Ligusticum acutilobum regardless of light condition.
        103.
        199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에서 약용식물은 서양의학과 동등한 수준으로 인간의 건강증진과 유지 및 치료를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중국에서 약용식물의 산업적 발달에 관해서 간략히 고찰하였다. 현계 중국에서 약용식물로 이용되고 있는 식물은 11, 118종에 달한다. 이들 약용식물이 가공되지 않고 천연산물로 이용되는 연간 총 생산액은 60억달러에 달하며 조제형태로 이용되는 총 생산액은 30억달러에 달한다. 지금까지 약용식물로부터 100여종 이상의 신약이 개발되었으며 천연자원에 의존하려는 세계적인 추세를 감안한다면 약용식물의 중요성은 더욱 증대할 것이며 산업적 개발이 인류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104.
        199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60종(種)의 약용식물과 식용작물을 대상으로 항종양활성등의 생리활성을 조사함으로서 약용식물과 식용작물의 유용적인 측면의 확인뿐만 아니라 나아가서 새로운 생리활성물질 탐색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실험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약용식물 및 식용작물에 대한 80% EtOH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종양효과를 보면 PKC법에서는 명아주(73.4%) 및 antibleb형성억제력검정에서는 검정콩이, PLC법에서는 검정콩(91.9%), MTT법에서 50%의 억제력을 나타내는 농도(IC50)가 검정콩과 쑥의 경우 각각 4.7μg/ml을 보였다.
        105.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60종(種)의 자생 약용식물과 식용작물을 대상으로 항산화활성의 생리활성을 조사함으로써 약용식물과 식용작물의 유용성 측면의 확인뿐만 아니라 새로운 생리활성물질 탐색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실시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생 약용식물 및 식용작물에 대한 50% EtOH 추출물을 이용하여 TBA법. DPPH법에 의하여 1차 활성검정 결과 처리방법에 따라 활성값에 차이가 있으나 TBA법에서는 검정콩의 추출액이 87.3%, DPPH법에서는 까마중 추출액이 80.6%로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두가지 방법에서 동시에 활성이 높은 것은 검정콩을 비롯하여 10종 이었다. SOD활성정도도 검정식물에 따라 큰 차이가 있으나 검정콩이 53.5%로서 가장 높은 SOD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OD종류는 Cu/ZnSOD, FeSOD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u/ZnSOD만을 함유하고 있는 잔대는 SOD활성 정도가 10.37%로서 실험 대상식물 중 가장 낮은 활성을 보였다.
        106.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50종의 약용식물 추출액을 공시하여 생체외(in vitro) 및 생체내 (in vivo)에서 몇 가지 주요 종자전염성병 억제를 위한 항균활성식물을 선발하고 선발된 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공시된 50종의 약용식물추출액을 공시병원균(벼도열병균, 참깨검은무늬병균, 고추탄저병균, 무·배추검은무늬병균)을 접종한 종자에 대한 항균활성을 습지법과 물한천법으로 정정한 결과 마늘, 주목, 대황, 무슬, 감초, 달맞이꽃 등에서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 1차 선발된 식물추출액을 종자에 희석 처리하여 감자한천법으로 검정한 결과, 마늘 추출액이 10배에서도 항균활성을 보였고 종자침적 시간에 따른 효과를 보면 긴 시간 침적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종자침적온도에 따른 항균효과를 보면 25℃ 처리가 대체적으로 우수했다. 다) 식물 추출액의 종자발아및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마늘 추출액의 경우 무처리에 비하여 종자발아에 차이가 없었고 초기생육은 오히려 양호하였다. 주목의 추출액은 무와 배추에서 약간의 영향이 있었고 우슬, 감초, 달맞이꽃 등에서는 종자 발아 및 초기 생육을 심하게 저해했다.
        108.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원도를 대표할 수 있는 설악산, 점봉산, 오대산, 화악산, 태백산 및 방태산 등 6개 지역을 중심으로 1995년 12월부터 1997년 11우러까지 각 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식물을 채집, 동정하여 식물상을 밝히고 이들 중,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분류군을 선별하여 목록을 작성하였다. 본 조사지역에 자생하는 양치식물 이상의 관속식물은 118과 529속 1,138종 7아종 223변종 43품종으로, 총 1,411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곳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우리나라 전체 4,071종류(이, 1996b)의 34.7%에 상당하며 강원도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1,913종류(강원도, 1996)의 73.8%에 해당한다. 이 중, 약용식물자원은 98과 238속 337종 63변종 16품종으로, 총 416종류가 분포하며 조사지역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의 29.5%에 상당한다. 지역별로는 종다양성이 높을수록많은 수의 약용자원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그 범위는 211종류에서 285종류까지 분포하며 조사지역 관속식물의 31.4%에서 33.3%까지의 비율로 나타났다.
        109.
        199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형과에 속하는 약용작물의 특성은 분열과로서 두 개의 종자가 형성되고 유관(油管)과 주병 혹은 동병이 현저하게 특이한 모양을 나타내고 있어서 산형과 작물분류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종자의 특성이 식물분류에 이용되고 있다. 종자의 형태는 장방형, 타원형 그리고 난형이며 종피색은 옅은 노란색에서부터 흑갈색까지 다양하다. 종자의 길이는 2∼7mm 그리고 폭이 2∼5mm이다. 이 중에서 가장 작은 종자인 시호는 그 천립중이 1.7g이고 가장 큰 종자인 당귀는 3.9g이다.
        111.
        199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 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식물중 기능성식품원료로 이용 가능성이 높은 쑥, 한삼덩굴, 돌외의 주년생산과 우량계통 선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이들에 대한 수집종간 및 재배방법간의 재배학적 특성과 성분을 분석(分析)하였던 바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쑥의 생산량(건초량)은 수원에서 수집한 뺑쑥에서 제일 많았으나 정유함양(精油含量)은 음성에서 수집한 약쑥과 음성에서 수집한 쑥은 각각 0.15%, 옹진에서 수집한 쑥은 0.12%, 뺑쑥은 0.09%이었다. 2. 돌외의 수량은 관행재배에 비해 지주(支柱)를 세워 덩굴손이 지주를 감아 신장시킨 재배에서 48% 많았고, 돌외의 지상부에서는 rutin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환삼덩굴의 수량은 계룡상에서 수집한 종이 음성에서 수집한 종에 비해 12% 많았고, 환삼덩굴의 지상부에서 phenol성(性) 성분인 isoquercitrin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정성적으로 확인되었다.
        112.
        199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evelopment of medicinal plants for cut plants and landscape plants were conducted through the literiture surve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We selected 38 species of medicinal plants including 7 medicinal woody plants for cut plant and landscape plants from 450 medicinal plants. There were 8 species of Compositae, 4 species Ranunculaceae, 3 species Rosaceae and Umbelliferae, 2 species Polygonaceae and Campanulaceae respectively. The anthesis of Cornus officinalis, Magnolia denudata, Forsythia koreana of medicinal woody plants flowering before leaf spreading come to early than the anthesis of other medicinal plants. There were 4 species(11%) over 10cm of the flower diameter, 6 species(16%) over 5cm below 10cm, 19 species(50%) over 1cm below 5cm and 9 species(24%) 1cm below. In terms of flower color, 11 species(29%) were white, 9 species(24%) yellow, 6 pecies(16%) red, 5 species(13%) violet and 3 species(8%) were blue aided violet. In terms of the flowering by month, 12 species(32%) on July, 9 species(24%) on May, 6 species(16%) on June and August respectively, and 3 species(8%) on March. The most medicinal plants were propagated by division and seeding easily, but woody medicinal plants of 7 species of this study were propagated by cutting and grafting easily. The percentage of usage of parts of medicinal plants including woody medicinal plants was that roots were 20 species(53%), flowers 6 species(16%), fruits and all part of medicinal plants were 4 species(11%), and seeds and stem including leaves 2 species(5%) respectively.
        113.
        199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서 생산되고 있는 60여종의 약용식물의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여 식물체의 부위 와 종류에 따른 지방산 조성의 특성을 관찰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얻었다. 1. 달맞이꽃종자, 컴프리잎, 지치뿌리에서 각각 총지방산함량의 9.1, 3,5, 7,2%의 GLA가 검출되었으며 달맞이 꽃종자가 컴프리잎이나 지치뿌리보다 GLA의 절대량이 많았다. 2. 들깨종자, 참깨종자, 호박종자등의 지방산이 양(量)과 불포화도면에서 좋은 자원임이 확인되었다. 3. 식물체의 잎, 줄기, 뿌리에서의 지방산조성은 종자의 경우에 비하여 18 : 3의 분포 비율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18 : 0의 비율은 비교적 같게 나타났다.
        114.
        199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용 식물의 추출액이 자가영양배양세포의 광합성전자전달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9종의 약용식물 추출액으로부터 종자발아, PA세포의 엽록소 억제정도, DCIP의 환원율, 세포 생존율, 광계 I의 전자전달활성,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식물의 추출액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10% 처리시 전 식물체에서 상추의 발아억제 현상을 나타내었고, 특히 백두옹과 초오 추출물 10% 처리시는 100% 억제를 나타내었다. 2. 백두옹의 증류수 및 MeOH 추출액을 PA세포에 처리한 경우 엽록소의 생성을 100% 억제 하 였다. 이는 광합성 전자전달 저해제로 알려진 DCMU 10-3M 처리와 동일한 억제 효과였다. 3. PA세포에 추출물 처리시 백두옹이 힐반응 억제가 가장 컸으며, 세포 생존력은 가장 낮았다. 4. 광합성 산소발생은 반하, 독활, 백두옹, 만형자 추출액 처리시 14-77% 억제되었고, 특히 PA 세포 2ml 반응액에 백두옹 추출물 60rl 처리시 50% 산소발생 억제를 나타내었다. 5. 추출액을 PA 세포에 처리한 후 단백질을 추출하여 SDS-PAGE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백두옹 추출물 10% 처리에서 14KD, 31KD, 41KD, 53KD, 73KD의 밴드가 나타나지 않았다.
        115.
        199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edicinal plants used traditional medicines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is formulary medicine which have been recorded on authorized books, for example, kampo drug in Japan. The second group is the fork medicines. These medicinal plants production is 165 billion yen(about 1.5 billion dollar) and which rate to to total pharmaceutical production is about 3% in 1990. The number of important medicinal plants treated in the market is 124 herbs from the total 364 herbs for kampo durgs(210 preparations kampo durgs) and other propritetary drugs (agents for common cold, laxatives, gastrointestional and so on). The production of the Ginseng and Bupleurum Root are increased about ten times in last twelve years(1976 or 1988). The 80% of these medicinal plants are imported from China, Korea and Southern Asian countries. Then the Pharmaceutical Affairs Bureau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ublished "The Guideline of Medicinal Plant for Cultivation" for a quality control and a stabilization supply of 80 herbs. The first part(1992) of the guideline reported 5 herbs; Coptis Rhizome, Rehmannia Root, Bupleur, Root, Japanese Angelica Root and Rhubarb, The next part will be published following 5herbs; Cnidium Rhizome, Safflower, Coix seed and Fruiet, Platicodon Root and Zedoary.
        116.
        199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ny types of compounds have been isolated from higher plants till now, that is, alkaloids, terpenes, lignans, steroids and so on. One of them, named as RA series Cyclic hexapeptides isolated from Rubia akane and R. cordijofia also have strong antineoplastic activity against various types of tumors. Till now 10 kinds ofRA series compounds were isolated and named as RA - I, II, III, IV, V, VI, VII, VIII, IX and X. Moreover,monogl-ucoside of RA - V newly Isolated from same plant. Many kinds of derivatives including natural RAcompounds were tested for QSAR, and one of them, RA - VII was screened up as a most suitable substance asan antitumor agent. RA - VII(=RA-700) has strong cytotoxic activity against KB cells, P388 Iymphocyticleukemia and MM2 mammary carcinoma cells. RA - VII has been under investigation for Phase I clinical trials.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