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8

        122.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거주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학교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원예교육프로그램의 구안 및 아동의 자아정체감과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사용한 교육 프로그램 및 관련 수업모형과 유형은 재량활동 및 특별활동 시간과 같은 교과과정 속에서 이루어졌으며 특히 인지적 수준이 낮은 다문화 아동의 이해수준을 높이고 수업을 보다 구조화하기 위해 수업모형을 아동의 학습 단계별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프로젝트학습법, 협동학습법, 기능학습법, 창의적 문제해결학습법, 문제해결학습법으로 구성하여 아동에게 2011년 3월부터 10월까지 매주 1회 2시간씩 원예활동을 실시한 결과, 자아정체성과 공동체의식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다문화 아동을 위한 원예교육 프로그램의 구조화 및 원예활동은 다문화 아동에게 효과적인 교육임을 알 수 있었다.
        124.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기존 도시텃밭 이용자의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지역 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해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방법으로는 대상지를 선정하여 설문조사와 그에 따른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설문내용은 크게 4개의 분야로 나누어 22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시행되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 도시텃밭 이용자들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도시 내에서 텃밭이라는 공간이 지역의 공동체를 활성화하고, 화합의 장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이용자들이 도시텃밭 내 편의시설의 확충과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진행에 대한 요구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서는 단순히 도시텃밭만을 조성하여 지역 공동체의 활성을 꾀하는 것이 아니라 텃밭 조성 시 휴게공간 및 교류공간에 대한 충분한 계획이 이루어 져야하며, 이용자들이 편히 찾을 수 있는 정원의 역할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도시텃밭을 활용하여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이나 수확물을 지역민이 함께 나눌 수 있는 프로그램, 그리고 사회기관과 연계하여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을 제공한다면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본 연구를 통해 제시했던 도시 내 텃밭의 도입에 따른 지역 공동체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과 함께 생물의 서식처 마련이나 녹색의 공간 제공 등을 통하여 환경적 역할 또한 감당해 낼 수 있는 좀 더 체계적인 도시텃밭 계획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125.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d whosoever shall give to drink unto one of these little ones a cup of cold water only in the name of a disciple, verily I say unto you he shall in no wise lose his reward.”(Mt. 10:42) With this saying the local followers were ordered to submit to the authority of itinerant missionaries and to support them. However, when the local congregation formed itself and grew up, they needed the resident leaders. There arose competitions and conflicts between the resident leaders and the itinerant missionaries. Thus the missionaries transferred gradually from the itinerant life to the resident one. Then the house community became the center of mission and meeting, which was supported materially by the patron. However, the house community with patrons disappeared gradually, because it could not overcome the problem of difference among member’s social status. Therefore the Christian congregation should solve the economic problem, without patrons, with the egalitarian spirit and the brethren love. The early Christians who knew the Judaic custom of offerings offered the donations for the church. The donations and the immovables which the members offered formed the church property. Notwithstanding Jesus’ critics of the wealth, the early church gathered the property for the solution of the economic problem. The early church could not furnish her preachers with the nourishment regularly. But as the Christian believers increased and the church grew up, professional ministers were needed. “For the workman is worthy of his meat”: Jesus intended this saying originally for his itinerant disciples, but the history proved that this was said for church ministers. It is a invariable truth that the change of the life conditions brings about that of the economic life. In the situation of itinerant life Jesus criticized the wealth (to say more exactly, the dependence on the wealth). But thereafter his disciples gave up the itinerant life for the resident life. By the above research I intended to show that a new possibility of the economic life had beginned. The choice of the resident life led to a new economic life, so that the church developed in the other direction than Jesus intended originally. This is the teaching which the history gave to us.
        126.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 상황에서 교사로부터 지각된 자율성 지지, 공동체 의식, 협력학습 및 내적동기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동시에 성별과 학년급 간 잠재평균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남녀 중고등학생 605명의 자료에 대해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과 협력학습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동체 의식과 협력학습은 내적동기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내적동기에 대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 및 공동체 의식의 간접 효과를 확인하였다. 성별과 학년급 간 잠재평균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교사로부터 지각된 자율성 지지와 내적동기 수준이 높지만 공동체 의식과 협력학습 수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고등학생은 중학생에 비해 지각된 자율성 지지와 협력학습 수준이 낮지만 공동체 의식과 내적동기 수준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모형 적합도를 비교한 결과 성별과 학년급 간 차이도 확인되었다.
        127.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대학교원의 교수능력 개발을 위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을 활용한 대학교원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습공동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우리나라 대학에서 이 프로그램을 처음으로 시도하고, 활발히 운영하고 있는 D대학교의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 인터뷰, 자료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관련자료 분석을 통해서 프로그램의 실시 배경 및 프로그램의 내용 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사용한 프로그램은 SPSS프로그램이었고,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빈도분석, 분산분석, Scheffe의 사후분석 방법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원의 학습공동체는 전반적으로 효과적이나(평균 4.30점, 5점 만점), 운영적인 면에서는 보완해야 하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 3.79점). 둘째,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수들 대부분은 자발적으로 참여하였고(평균 4.54점), 2회 이상 참여한 교수들은 전체의 43%(50명)을 차지한다. 셋째, 교수 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참여한 교수들 중 강의경력이 4-7년 된 교수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전반적으로 학습공동체를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학습공동체는 대학교원을 위한 유용한 교수능력개발 프로그램으로 정착될 가능성을 충분히 갖고 있었다. 학습공동체는 참여자들에게 동료에게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실제적인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였으며, 배운 지식을 자신의 강의에 활용하도록 하는 의지를 고취시켰다. 특히, 전공별로 적합한 교수법 연구 및 개발, 교재개발 등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교원의 교수능력 개발을 위한 학습공동체 운영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대학교원의 교수능력 개발을 위한 학습공동체를 운영할 때는 대학교원의 자율성을 보장하여 불필요한 행정절차를 간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적절한 재정지원을 통해 공동체에서 목표로 한 일을 실행하도록 돕는 것도 중요하다. 그리고 참여자의 자발성 및 동료들 간의 협력 등 비물질적 요인이 공동체 운영의 실제적인 요소임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130.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ntemporary society gave birth to pollution environment, family collapse, estrangement human-being, and serious disequilibrium. Sustainability and community are core issue of developmental 21st developmental society. As the alternative plan came up needs of the times, community garden is able to make practical application of elevating life quality for residents as well as get various beneficial effect. Community garden was attempted to settlement, failed it in Korea, while made good use from old times in Germany, U.K., and U.S.A. Participation and conversation intrapopulation are a key factor to use, maintain, and preserve. Consequentl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leader training program that took charge of primary role in activating community garden. Organization which deduce outcome and motivate, as the core competence of leadership, was composed of horticultural information and actual experience to horticulture.
        131.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pply practically community garden program which elevating quality of life through making, using, and keeping of it, that was helped rental housing residents improve life of oneself and environment of village independently. So far, a rental housing for a low-income group was a good way in solving lack of housing, reforming circumstance of house, but it gave rise to problems like breaking neighborship, and deprivation. Community garden program was composed to 16 session divided 1st and 2nd step program during March 29~July 26, 2005. 1st step was responsible for cultivating one's ability through observation plant culture, understanding, rule of the life, 2nd step was growing practical ability helped residents participate in community garden, effective management garden, development profitable business. This program got elevation of participant's self-esteem and life desire.
        132.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getting into the 21st century, we can say it is ecological danger if there is a particular concern. Facing onto this very ecological danger, lots of effort are being made in various way to make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is study, under the theologic thought and the ecological fundamental notions, we are willing to plan the way of making up an ecovillage by the spirituality community. We are searching the way how we solve these problems in future by setting up the ecological spirituality community in each group's assumption, according to research from the people belonged to the organisation of Korean national christians' spirituality community and announcement and discussion about the subject called 'Finding Lost Garden'
        133.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in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analyse and evaluate the demolishing walls initiative in Daegu city as the collaborative urban environment improvement initiative in South Korea using the actor network theory concept. Local authorities are unable to effectively and efficiently improve urban environment because of their limited statutory and financial powers. This inability crucially led to the formation of the demolishing walls initiative in Daegu city with building a coalition of the local people, interest groups and public and non-governmental organisations in the operational processes in order to improve the physical and social urban environments. Furthermore, co-ordination between local authorities and landscape architecture specialists not only to change the way in which they tackle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but also to make the local people aware of their potential ability in positively improving the urban environment.
        135.
        200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arm economy is getting worse because of the free trade trends in agriculture sector and unreasonable application of market economy principles to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worldwide issue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s well as want of food, water and energy make human future be anxious. In addition, consumers raise questions in argument about safety of foods produced by traditional farming or imported. So I propose the urban-rural living community movement(URLCM) as an alternative plan for sustainable domestic agriculture. URLCM based on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e and community consciousness will be able to solve many of present issues on agriculture and rural society through incessant interchanges between urban and rural community. This URLCM has to be basically founded on principles of symbiosis-coexistence and life circulation. So those that have to be driven forward are organizing producers and consumer cooperatives, making environmentally friendly rural region and products, combining with consumer cooperatives, training the participants and so forth.
        136.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의사결장지원시스템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왔으며, 그 중 수자원 및 수질 관련 분야에도 다각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미 농무성의 자연자원보전국(NRCS,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에서 개발한 유출곡선법(Curve Number Method)과 EMC(Event Mean Concentration)을 사용한 L-THIA(Long-Term Hydrologic Impact Assessment) 수문/수질 모형을 강우자료 데이터베이스, 웹기반 지리정보시스템, 웹 사용자 편의 시스템과 통합한 수문/수질 L-THIA web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개발하였다. L-THIA web은 도시계획가나 지방자치단체, 또는 지방의 공동체가 사용할 수 있도록 쉽고 단순한 사용자 편의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으며, 미국의 50개 본토의 주와 카운티(County) 이름으로 기상자료와 수문토양분류(Hydrologic Soil Group)을 인터넷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공동체의 실무자를 사용자로 수문/수질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시스템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38.
        199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nvironmental problems emerged as common global problems awaiting solution. Active collaborative efforts are required of nations and communities in order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effectively. International collaboration occurs much more commonly these days than before, and European Community(EC) mumber countries are no exceptions. EC has established and executed the five-year programs on Environmental Policy Implementation, which explicated basic principles for environmental policy development, since 1973. EC programs tend to emphasize that the direction of the policies should reflect a change from a remedial approach to a preventive approach. Those programs have brought an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to EC member countries. France installed an EIA system in 1976, which was the first among member countries. Several other member countries also established a system. EC decided that a common guideline was necessary, and therefore formulated the "European Community Guideline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1985. All member countries were required to legislate an EIA system within three years, according to the Guideline. This study will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urrent EIA systems of different EC member countr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provide helpful information on how to improve the efficacy of the Korean system.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