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e case of Anchang Village, from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public administration made an effort to have unique power by agreement with private organizations. Continue to be linked the civil society and the residents to protect the wisdom of the village and the policies of power generation from the start of the project. Even now the results are actively demonstrated. From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private organizations to participate in future town planning projects. As a measure to that, it suggests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within the region and local universities are to be linked the village.
이 연구는 배움의 공동체를 경험한 교사들의 피드백 발화의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중등 7개 수업을 녹화하여 전사하였다. 교사의 피드백 발화는 Kim(2014)의 분석틀을 이용하여 유형을 분류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2개의 피드백 유형 중 ‘수용하기’와 ‘초점화하기’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수용하기’는 학습자와의 긍정적인 관계형성과 학습촉 진을 모두 의도하는 피드백 유형이며, ‘초점화하기’는 학습자들이 개념에 대한 의미를 구성하고 문제해결 촉진을 의도하는 피드백 유형이다. 특히 ‘초점화하기’는 일반 수업에서 피드백을 분석 한 선행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난 유형으로 배움의 공동체 수업에서 핵심으로 생각하는 ‘점프과 제’ 및 ‘연결 짓기’와 높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달리 학습 동기부여를 위한 칭 찬하기와 격려하기는 가장 낮은 빈도를 보여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quantitative standard of a marginal village. For the purpose, the study selected 43 villages with the population of 50 or less, the classification of a marginal village in accordance with advanced research and 47 villages with the population over 50 in Buyeo-gun region. The common reason of occurrence of a marginal village suggested by advanced research is a characteristic of a village or decline and extinction of a village rather than a simple index of population or aging rate. Therefore, the study assumed that decline of functions of the village would be caused by decline a function of communities consisting of the villagers. The study then assumed that the relatively low or 0 number or rate of participants would result in community functions. The study conducted t-test on basis of population and aging rate and an analysis to find the range with relatively larg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ommunities, participants and the rate of the participants, etc.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mmunity function began to decline when the population was less than 60~70 and the aging rate over 75%~85%. As the decline of functions of communities began in population of 70, the critical point was met when the population was 40 or less. With population of 40 or less, the young and the old group communities became extinct or showed rapid decrease in the number of participants. The study assumed that decline of functions of a village, a reason of occurrence of a marginal village would be decline of functions of communities, but there was no further analysis on decline or extinction of a village with population of 40 or less. There shall be further studies about whether a village of population of 40 or less is led to decline of a function or extinction of village communities.
이 연구는 초등학교 내 교사 주도로 형성된 교사학습공동체와 교장 주도로 형성된 교사학습 공동체의 특징을 비교·분석하고 교사학습공동체의 촉진 요인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교사학습공동체 모두 학생의 학습에 초점을 맞춘 목 표와 가치를 공유하고 있었다. 이러한 목표와 가치 공유는 교사학습공동체의 원동력이 되었다. 공동체의 목표와 가치는 외부에서 주어지기 보다는 공동체 구성원들이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반성적 대화를 통해 공유했을 때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협력을 이끌어냈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에서 학교장의 격려와 지원뿐만 아니라 공동체 내 촉진자의 정서적 지지 및 리 더십 공유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교사학습공동체 모두에서 구성원들 간의 반성 적 대화는 교사학습공동체가 형성되고 발전하는데 매우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그리고 교사들 의 자발적 의지로 시작된 공동체에서 실천에 대한 반성적 대화뿐만 아니라 가정 및 신념 등에 대한 반성적 대화가 보다 심도 있게 이루어졌다. 넷째, 두 교사학습공동체 모두에서 공유된 목 표를 달성하기 위한 협력적 탐구와 실천 공유가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교육실천과 연계된 교사학습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협력적 탐구의 지속성과 실천 공유 방식에 있어서는 두 사례의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교사학습공동체 촉진 요인으로는 교사의 자율성, 구성원들 간 신뢰 및 지원, 학교장의 압력 및 지원, 충분한 시간, 그리고 구성원들의 협력적 탐구 의지와 집단 책임 감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내 교사학습공동체를 형성하고 발전시키 는 데 필요한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T. S. 엘리엇이 유기적 공동체와 유럽 문화의 통일성에 대 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었는지에 대하여 문학적이며 문화적인 의미와 의의를 검토한다. 그의 유기적 공동체에 대한 모델은 17세기 이전의 농 업 또는 기독교 사회에만 기초한다기보다는, 동시대의 산업 사회, 특히 현대 유럽 사회에 기초한다. 1922년부터 1939년까지 발간된 크라이티 어리언을 통해, 엘리엇은 유럽이란 아이디어와 유럽 문화의 통일성을 동시대의 유기적 공동체가 실현될 수 있는 모델이라고 지속적이며 다양 하게 주장하였다. 그는 제1차 세계대전의 원인이었던 민족, 국민, 종교 라는 개념을 넘어서서 공통된 유럽의 전통에 근거한 유럽 문화의 통일 성을 추구해야 한다는 생각을 폴 발레리, 후고 폰 호프만스탈, 오르테가 이 가셋과 같은 당대의 유럽의 지식인들과 공유하였다. 그리고 그는 이 공통된 문화유산으로 통일된 문화를 가진 유럽 공동체를 재건하는데 많 은 노력을 기울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ffect in how urban garden is run by different operators in Korea, and consequently how it determines the level of community formation among urban garden users.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is intended to present some points as to how to better manage urban garden. The operators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public, public-private partnership and private. The study interviewed each operating entity and surveyed garden users to gauge the extent to which communities are developed. After the ANOVA analysis and Scheffe post-hoc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levels of community formation among users of public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 urban gardens were similar (so can be grouped together), whereas that of private urban garden users was higher (separated as another group). However, this study found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ommunity formation among all types of urban garden in a local community. Some key suggestions are made as a result. First, as for the public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 types of urban garden, it is necessary to foster leaders to build a community. Next, it is worth noting the potential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in realizing community revival through urban garden. The last suggestion is that, generally, the urban garden has only little influence on community formation in a local area so far, thus more practical consideration needs to be given to enhance the role of urban garden in a local community.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과 대학의 연구자가 함께 한 전문학습공동체에서 집단 탐구 과정의 특징과 교사의 학습 기회를 분석하여 수학교과에 대한 초등교사의 수학교과 전문성 신장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 활동의 바람직한 방향을 수학 및 수학교육적 탐구로 보고, 학생중심의 탐구 수학교실의 문화를 논의하는데 유용한 개념인 사회수학적 규범을 분석의 틀로 삼았다. 즉, 사회수학적 규범을 분석하여 전문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의 수학적 참여의 질과 학습의 기회를 기술하고, 이 과정에서 전문학습공동체 참여자들이 겪게 되는 성공과 어려움의 관점에서 전문성 신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전문학습공동체의 사회수학적 규범을 수학에 대한 탐구, 수학 교수법에 대한 탐구, 수학교수법 발달에 대한 탐구로 확장하여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MKT의 하위 요소인 CCK, SCK, KCS, KCT에 따라 학습 기회를 설명하고 전문학습 공동체 운영의 내용과 방법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analysis of rural village's community status and consciousnes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community leaders and members. Nine types of rural village communities were selected in Korea through a pre-survey of amenity resources data from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rvey items that could determine characteristics of rural village communities were derived from a literature survey of rural village community system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12 Eup-Myeon in Yesan Gun and responses were gathered from 66 community leaders and 1,222 community members.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data collected from the community leaders show that 50% percent of rural village communities have been operating for over 25 years, and that community works such as group purchases are carried out based on emotional sympathies between residents.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data collected from community members show that on average, community activities are carried out at places that are between 30 and 60 minutes away. Most members are satisfied with regard to the status of their rural village community. A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ural village community satisfaction depended on travel time, community fee, and activity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resident participatory education programs". This study methods was that applied this education programs to the residents of the fishing village after develop of education programs, and was surveyed to ninety five residents of these. As a result of the survey, "community attachment" and "sense of commun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consciousness before and after education. Also, difference of residents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education showed the same trend too. And, If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residents consciousness was improved after the education programs. In other words, an education programs applied to in this study can be said to effective to that raise awareness of the residents. And this can be said to contribute in empowerment too.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거주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학교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원예교육프로그램의 구안 및 아동의 자아정체감과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사용한 교육 프로그램 및 관련 수업모형과 유형은 재량활동 및 특별활동 시간과 같은 교과과정 속에서 이루어졌으며 특히 인지적 수준이 낮은 다문화 아동의 이해수준을 높이고 수업을 보다 구조화하기 위해 수업모형을 아동의 학습 단계별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프로젝트학습법, 협동학습법, 기능학습법, 창의적 문제해결학습법, 문제해결학습법으로 구성하여 아동에게 2011년 3월부터 10월까지 매주 1회 2시간씩 원예활동을 실시한 결과, 자아정체성과 공동체의식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다문화 아동을 위한 원예교육 프로그램의 구조화 및 원예활동은 다문화 아동에게 효과적인 교육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 도시텃밭 이용자의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지역 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해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방법으로는 대상지를 선정하여 설문조사와 그에 따른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설문내용은 크게 4개의 분야로 나누어 22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시행되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 도시텃밭 이용자들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도시 내에서 텃밭이라는 공간이 지역의 공동체를 활성화하고, 화합의 장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이용자들이 도시텃밭 내 편의시설의 확충과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진행에 대한 요구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서는 단순히 도시텃밭만을 조성하여 지역 공동체의 활성을 꾀하는 것이 아니라 텃밭 조성 시 휴게공간 및 교류공간에 대한 충분한 계획이 이루어 져야하며, 이용자들이 편히 찾을 수 있는 정원의 역할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도시텃밭을 활용하여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이나 수확물을 지역민이 함께 나눌 수 있는 프로그램, 그리고 사회기관과 연계하여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을 제공한다면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본 연구를 통해 제시했던 도시 내 텃밭의 도입에 따른 지역 공동체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과 함께 생물의 서식처 마련이나 녹색의 공간 제공 등을 통하여 환경적 역할 또한 감당해 낼 수 있는 좀 더 체계적인 도시텃밭 계획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And whosoever shall give to drink unto one of these little ones a cup of cold water only in the name of a disciple, verily I say unto you he shall in no wise lose his reward.”(Mt. 10:42) With this saying the local followers were ordered to submit to the authority of itinerant missionaries and to support them. However, when the local congregation formed itself and grew up, they needed the resident leaders. There arose competitions and conflicts between the resident leaders and the itinerant missionaries. Thus the missionaries transferred gradually from the itinerant life to the resident one.
Then the house community became the center of mission and meeting, which was supported materially by the patron. However, the house community with patrons disappeared gradually, because it could not overcome the problem of difference among member’s social status. Therefore the Christian congregation should solve the economic problem, without patrons, with the egalitarian spirit and the brethren love.
The early Christians who knew the Judaic custom of offerings offered the donations for the church. The donations and the immovables which the members offered formed the church property. Notwithstanding Jesus’ critics of the wealth, the early church gathered the property for the solution of the economic problem.
The early church could not furnish her preachers with the nourishment regularly. But as the Christian believers increased and the church grew up, professional ministers were needed. “For the workman is worthy of his meat”: Jesus intended this saying originally for his itinerant disciples, but the history proved that this was said for church ministers.
It is a invariable truth that the change of the life conditions brings about that of the economic life. In the situation of itinerant life Jesus criticized the wealth (to say more exactly, the dependence on the wealth). But thereafter his disciples gave up the itinerant life for the resident life. By the above research I intended to show that a new possibility of the economic life had beginned. The choice of the resident life led to a new economic life, so that the church developed in the other direction than Jesus intended originally. This is the teaching which the history gave to us.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 상황에서 교사로부터 지각된 자율성 지지, 공동체 의식, 협력학습 및 내적동기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동시에 성별과 학년급 간 잠재평균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남녀 중고등학생 605명의 자료에 대해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과 협력학습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동체 의식과 협력학습은 내적동기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내적동기에 대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 및 공동체 의식의 간접 효과를 확인하였다. 성별과 학년급 간 잠재평균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교사로부터 지각된 자율성 지지와 내적동기 수준이 높지만 공동체 의식과 협력학습 수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고등학생은 중학생에 비해 지각된 자율성 지지와 협력학습 수준이 낮지만 공동체 의식과 내적동기 수준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모형 적합도를 비교한 결과 성별과 학년급 간 차이도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대학교원의 교수능력 개발을 위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을 활용한 대학교원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습공동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우리나라 대학에서 이 프로그램을 처음으로 시도하고, 활발히 운영하고 있는 D대학교의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 인터뷰, 자료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관련자료 분석을 통해서 프로그램의 실시 배경 및 프로그램의 내용 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사용한 프로그램은 SPSS프로그램이었고,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빈도분석, 분산분석, Scheffe의 사후분석 방법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원의 학습공동체는 전반적으로 효과적이나(평균 4.30점, 5점 만점), 운영적인 면에서는 보완해야 하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 3.79점). 둘째,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수들 대부분은 자발적으로 참여하였고(평균 4.54점), 2회 이상 참여한 교수들은 전체의 43%(50명)을 차지한다. 셋째, 교수 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참여한 교수들 중 강의경력이 4-7년 된 교수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전반적으로 학습공동체를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학습공동체는 대학교원을 위한 유용한 교수능력개발 프로그램으로 정착될 가능성을 충분히 갖고 있었다. 학습공동체는 참여자들에게 동료에게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실제적인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였으며, 배운 지식을 자신의 강의에 활용하도록 하는 의지를 고취시켰다. 특히, 전공별로 적합한 교수법 연구 및 개발, 교재개발 등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교원의 교수능력 개발을 위한 학습공동체 운영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대학교원의 교수능력 개발을 위한 학습공동체를 운영할 때는 대학교원의 자율성을 보장하여 불필요한 행정절차를 간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적절한 재정지원을 통해 공동체에서 목표로 한 일을 실행하도록 돕는 것도 중요하다. 그리고 참여자의 자발성 및 동료들 간의 협력 등 비물질적 요인이 공동체 운영의 실제적인 요소임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Contemporary society gave birth to pollution environment, family collapse, estrangement human-being, and serious disequilibrium. Sustainability and community are core issue of developmental 21st developmental society. As the alternative plan came up needs of the times, community garden is able to make practical application of elevating life quality for residents as well as get various beneficial effect. Community garden was attempted to settlement, failed it in Korea, while made good use from old times in Germany, U.K., and U.S.A. Participation and conversation intrapopulation are a key factor to use, maintain, and preserve. Consequentl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leader training program that took charge of primary role in activating community garden. Organization which deduce outcome and motivate, as the core competence of leadership, was composed of horticultural information and actual experience to horti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