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6

        121.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fashion companies has become a crucial factor considering company image and awareness. Businesses have thus increased their CSR activities. However, few studies have shown clear and consistent result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CSR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evaluation of the direct effect of CSR on trust and corporate reputation including its moderation by consumer's perceived fit and motivation. A total of 284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adult consumers in the fashion market with promotional leaflets for CSR activities as stimu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mensions for CSR activitie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Social welfare responsibility, environment protection, economic responsibility, social regulation compliance, customer protection, and culture and arts support. Further social regulation compliance, and economic and social welfare responsibilities positively affected corporate trust and reputation. Second, the main effect of perceived CSR activities and fit on corporate trust and reputation was significant, and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 social welfare, environment protection, and culture and arts support of CSR activities and fit were significant. Finally, the interaction effect of perceived CSR activities and motivation on corporate trust and reputation was not significant, but the main effect was significant. Implications of how to manage an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SR activities are offered.
        5,100원
        122.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some fashion retailers have initiated sustainable actions in the form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ies to address consumers’ social concerns. This study intends to combine the concept of CSR motivation attributions with brand extension literature in order to examine how consumers’ trust of a parent brand affects their CSR motivation attributions and ultimately their attitudes towards parent-brand CSR activities and sustainable extension lines. A self-administered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scenarios describing a fast fashion retailer introducing a sustainable line. Data from 303 female U.S. consumers, aged between 18 and 34 year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1.0 for descriptiv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all hypotheses were supported. The findings show that consumers’ trust of a parent brand has an indirect impact on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parent brand’s CSR activities as well as the sustainable extension product line, mediating positive evaluations of the brand’s social CSR motiv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consumers’ prior trust of the parent brand is a variable that affects consumers’ evaluation of CSR motivation sincerity. Marketing suggestions and though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provided.
        5,100원
        123.
        2015.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비대학은 대학 신입생들로 하여금 대학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고, 학교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목적과 교육적 목적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예비대학 참여자들이 과연 어떠한 목적으로 예비대학에 참여하게 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예비대학이 대학 기획자의 입장에서 연구되는 경향성이 강하고, 수용자의 입장에서 발전방안을 모색한 연구는 일천한 상황인 것이다. 아울러 일부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예비대학 프로그램은 교육적 목적보다 학교에 대한 인식 제고 등의 효과에 치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과연 수용자의 입장에서 예비대학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은 무엇일까? 이러한 질문에 하나의 해답을 구하기 위해 이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형 예비대학 프로그램의 참여동기를 규명하고, 예비대학 프로그램의 효과를 포괄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대학 프로그램 참여동기는 ‘학습 즐거움 동기’, ‘학교 호기심 동기’, ‘학습 외적 보상 동기’ 등 3가지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프로그램 만족도 결정요인은 학습 즐거움 동기(+), 예비대학 프로그램 인식(+), 확실성(+), 학습 외적 보상 동기(+)의 순이었고, 오프라인 프로그램 만족도 결정요인은 예비대학 프로그램 인식(+), 공감성(+), 학습 즐거움 동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분야 블렌디드 러닝 강좌 수강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지된 행위통제(+). 태도(+), 확실성(-), 공감성(+)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양분야 블렌디드 러닝 강좌 수강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지된 행위통제(+), 태도(+), 학교 호기심 동기(+), 유형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블렌디드 러닝형 예비대학 온라인, 오프라인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제고하고, 대학 블렌디드 러닝 강좌 참여를 극대화하기 위한 유형(전공, 교양)별 전략을 제안하였다.
        6,700원
        12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직에서 상사에 대한 신뢰는 구성원의 내적인 동기부여는 물론이고, 지식공유, 창의성과 같은 조직경쟁력과 관련된 중요한 부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상사에 대한 구성원의 신뢰가 내재적 동기부여를 통하여 지식공유와 구성원의 창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국내 제조업 32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사에 대한 신뢰는 구성원의 내재적 동기부여를 강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내적으로 동기부여 된 구성원들은 자신의 지식을 적극적으로 공유하도록 하였고, 창의적인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동기부여는 상사신뢰와 지식공유, 상사신뢰와 구성원의 창의성 사이에서 부분적인 매개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상사신뢰는 차별적 경쟁력에서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는 지식공유, 창의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런 영향을 감안할 때 기업조직에서 리더(팀장/부서장)들의 신뢰로운 행동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과 조직관리에서 참고할 만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6,300원
        125.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안경광학과에 입학한 재학생들의 입학동기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및 학과적응도를 알아 보고자 한다. 방법: 안경광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적응과 학과적응을 인지적 차원, 정서적 차원, 환경적 차원 4항목으로 분류하여 설문조사하였으며, SPSS(Ver18.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비 교 분석하였다. 유의수준 p<0.05로 처리하였다. 결과: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의 입학동기는 36.9%의 학생이 주변인의 권유(부모님, 교사, 친지, 선후배, 친구 등)를 고려해서, 21.0%가 수능성적을 고려해서, 17.8%가 전공의 독특성(전문성) 을 고려해서, 16.4%가 취직용이성을 고려해서, 7.9%가 적성 및 흥미를 고려해서 안경광학과 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성 및 흥미를 고려해서 선택한 학생들이 대학생활 및 학과적응 중 인지적 차원과 정서적 차원의 적응도가 다른 그룹에 비해 가장 높았으며 입학동기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과 인지적 차원의 적응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입학동기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및 학과적응을 분석하여, 안경광학과에 부적응하여 힘들 어 하고 있는 학생들의 중도탈락율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126.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staurants implement menu labeling to provide nutritional information to customers in an attempt to help customers select healthy menu items. Considering the increase in food-away-from-home consum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otivators and barriers in restaurant customers regarding use of menu labeling. Data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on restaurant customers in Seoul, Ko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ustomers used menu labeling for health reasons. However, barriers to using menu labeling were identified as small font size, difficulty in locating nutritional information display, and difficulty in interpreting nutrition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y also suggested expanding the scope of menu labeling for restaurants by including chain restaurants with less than 100 uni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offer strategies for the government to improve menu labeling practices for customers.
        4,000원
        127.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opularity of online games highlights the need for research approaches that can increase our scientific understanding of online game play experience. This paper proposes a model for examining and evaluating the ways by which factors of game motivate players and shape psychological processes. Previously, Nick Yee has done one of the most extensive and influential empirical research on motivations for play in online games. His research provides the foundation to understand what motivates people to play games and how we can improve our designs based on those findings. His factor analysis revealed ten motivational sub-components that grouped into three overarching components of achievement, social, and immersion. However, there are a handful of empirical results that were unique and did not clearly fit into Yee's motivational components, such as "making a difference", "the search for self", "the search for youth", and "the nurturance motivation", as Yee acknowledged in his paper. Therefore we developed a motivational theory of "reality integration" to encompass the cases that could not be explained by Yee's theory. While his theory was implicity focused on "escapism" (escape from reality), we found that dual and integrated perspectives of "reality integration" and "escapism" of online games are very important in understanding players' behavior and improving game design. The futur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motivational design framework for educational games or serious games.
        4,000원
        128.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safety motiv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type trait in Korean Air Force. Based on the responses from 722 response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ppeared as follow; 1) role overload effects positively and role ambiguity effects negatively on intrinsic safety motivation. 2) role conflict effects negatively on extrinsic safety motivation. 3) role ambiguity effects negatively on intrinsic safety motivation in B-type than in A-type trait.
        4,000원
        129.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소년 범죄의 흉포화, 재범화, 저연령화 현상은 심각한 우려를 자아내고 있으며 범죄의 근원적 원인을 진단하여 효과적인 범죄예방 정책의 수립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그 범죄성이 상습화되었으며 죄질이 심각하여 형사처분을 통해 김천소년 교도소에 수감된 소년 수형자 144명에 대한 동기적 요인을 조사함으로서 청소년 범죄의 근원적인 원인을 진단하고자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나이, 양육자, 양육자 학력, 생활수준), 범죄경력과 범행관련 내용(보호관찰경험, 시설수용경험, 범행당시 연령, 범죄명, 형량), 동기적 요인(자아통제력, 사회유대, 비행친구여부, 비행에 우호적인 태도, 일상적 긴장, 비공식적 낙인)이 설문을 통해 조사되었으며 6가지 범죄유형별 차이, 일반청소년과의 비교분석이 이루어졌다. 이론과 달리 자아통제력은 소년 수형자가 일반청소년에 비해 높았으며, 친구긴장과 학업긴장도 소년 수형자가 일반청소년에 비해 낮았다. 그러나 사회유대감은 소년 수형자가 일반 청소년에 비해 낮았으며, 비행친구여부, 비행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 부모긴장, 목표달성긴장, 비공식적 낙인은 소년 수형자가 일반 청소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소년수형자와 일반청소년 집단 간의 자아통제력, 사회유대, 비행친구, 학업긴장, 친구긴장, 비공식적 낙인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비행에 우호적인 태도, 목표달성긴장, 부모긴장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교차분석 및 ANOVA 분석결과 소년수형자의 범죄유형별 차이는 모두 유의미하지 않았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장기적인 안점에서의 청소년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서 한 부모 가정, 조손가정에 대한 복지적 지원과 학교의 상담활동 강화, 부모의 역할을 강조하는 부모교육 강화, 저소득층 위기청소년에 대한 학습지원 및 양육지원의 강화, 소년 범죄자에 대한 낙인을 최소화하는 방안 등이 정책제언으로 제시되었다.
        6,400원
        13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mploy effective marketing methods using SNS by determining how food-related SNS usage characteristics have influence on dine-out motivation and restaurant satisfaction and how this affects people's quality of lie. Survey respondents were men and women who have had used some kinds of food-related SNS. The survey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food-related SNS usage characteristics, dine-out motivation, restaurant satisfaction, and food-related quality of life. Food-related SNS usage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convenience, effective time-spending, and informative; Dine-out motivation was sorted into entertainment motivation and social motivation by factor analysis. Analysis of the connections between the variables by AMOS showed that among food-related SNS usage characteristics, conven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either entertainment or social motivation. Informative had a positive effect on entertainment motivation (p<0.05), but not on social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effective time-spending through food-related SNS had an impact on both entertainment (p<0.001) and social (p<0.05) motivation. Moreover, the effect of dine-out motivation on restaurant satisfaction showed that entertainment motivation (p<0.05) and social motivation (p<0.01) both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restaurant satisfaction. Also, restaurant satisfaction turned out to affect quality of life (p<0.05).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usage of food-related SNS did not directly influence customers' restaurant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p<0.05).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usage of food-related SNS did not directly influence customers' restaurant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however, it had an impact on dine-out motivation and gain pleasure of dining out and help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long run; thus, it is believed that marketing strategies thorough SNS by restaurant industry are required.
        4,200원
        13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ompared evidences on the definition and variables of intrinsic motivation of French and English learners. In spite of its prevalence and importance, intrinsic motivation in learning has been underestimated and ill-defined. This study highlights the limitations of contemporary studies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In this article, studies on intrinsic motivation in learning are reviewed around two main issues: First,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motivation; then, the effects of extrinsic rewards on intrinsic motivation to learn. The findings showed that, set aside intrinsic values, all the variables for learning English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or learning French. Howev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trinsic motivation for learning Frenc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or learning English.
        7,000원
        13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자는 자신의 작업을 중심으로 수학과 미술의 연결고리, 즉 정상분배의 수행성을 탐구하는 수단으로서 수학적 모델의 원리를 고찰한다. 본 논문은 자신의 작업과 제작과정 에 대한 기술과 작업과 제작과정 모두에 작용하는 수학적 측면에 대한 분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의 부분은 작가 자신과 가상의 질의자 간의 문답 형식으로 제시되고, 작가의 동기와 수학이 작업과정에 작용하는 상이한 면들을 포괄하여 진행된다. 행위자 연결망 이론가인 미셀 칼론의 이론에 따라 제작과정은 ‘번역’의 연쇄망으로 기술될 것이며, 예술작품이 점점 수학적 공식의 대변인이 되지만 결국 전복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 분석 부분은 수학을 사용하는 작가들의 간략한 토론으로 마무리된다.
        5,500원
        13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령운전자의 이동성과 삶의 만족 사이의 정적관계는 잘 알려져 있다(e. g., Collins, 2008). 그러나 본 연구에서 는 이러한 관련성이 고령운전자의 동기, 이동성 속성 및 정서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 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고령운전자의 접근/회피동기에 따라 이동성 속성이 달라질 수 있는지, 그리고 이동성 속성 에 따른 삶의 만족 수준에서의 차이를 긍정/부정정서가 차별적으로 매개하는지 비교하였다. 132명의 만 65세 이 상 고령운전자를 대상으로 접근/회피동기 척도(BIS/BAS, Carver & White, 1994), 이동성 척도(장혜란 등, 2009), 긍정/부정정서 척도(SPANAS, Diener et al., 2009) 및 삶의 만족 척도(SWLS, Diener et al., 1985)를 사용한 면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상관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해 수집된 자료 사이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운전자의 접근동기는 사회활동을 위한 운전량 (Amount of Driving for Social Activity: 이하 ‘DSA’)에 정적으로, 반면 회피동기는 물리적 운전량(Amount of Driving Measured by Distance and Time: 이하 'AD')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접근동기는 DSA를 매개로 긍정정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회피동기는 AD를 매개로한 정서와의 관련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둘째, 긍 정정서는 DSA와 삶의 만족 사이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효과를 보였으나 AD는 정서성과 삶의 만족 사이의 관 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고령운전자의 운전 속성, 동기, 정서성 그리고 삶의 만족 사이의 상호관련성을 이해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4,300원
        134.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에 비해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과 온·오프라인 정치참여 정도가 적 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이 연구는 20대 여성 대학(원)생들의 온라인 여성 커뮤니티 이용동기와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여성의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을 촉진하고, 정치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한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여성 커뮤니티 효과는 지속적 커뮤니 티 이용의도와 페미니즘 성향(양성 평등에 대한 인식, 세부적 정치적 협약)으로 세분화하였다. 연구결과 여성 커뮤니티 이용동기는 ‘소통’, ‘자기표현’, ‘정보추구’, ‘여성 정체성’, ‘현실도피 및 긴장해소’등 5개로 나타났다. 여성 커뮤니티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정보 추구 동기, 현실도피 및 긴장해소 동기, 여성 커뮤니티 이용빈도, 태도와 인지된 행위통제 변인 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양성 평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정보추구 동기, 여성 정 체성 동기, 태도, 인지된 행위통제 변인이었다. 세부적 정치적 협약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소 통 동기, 자기표현 동기(-), 정보추구 동기, 여성 정체성 동기, 인지된 행위통제 변인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20대 여성이 지속적으로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캠페인 전략과 여성 정치인식 또는 여성 정치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한 캠페인 전략을 제안하였다.
        7,800원
        135.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의 음주행위와 조직응집력 간의 관계에 있어 음주동기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음주행위는 독립변수, 조직응집력은 종속변수로 설정하였으며, 그리고 조절변수로는 음주동기의 하위변인인 고양동기, 대처동기, 동조동기, 그리고 사교동기를 선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음주행위가 조직응집력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직응집력에 대한 음주동기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고양동기와 사교동기의 경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처동기는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동조동기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음주행위와 조직 응집력 간의 관계에 있어 음주동기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음주동기의 사교동기만이 유의한 정(+)의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양동기, 대처동기, 그리고 동조동기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음주가 조직응집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조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았으나, 음주행위와 사교동기의 상호작용 효과를 통해 나타난 바와 같이 음주동기의 차이에 따라 조직 내 구성원의 태도에 다르게 영향을 미침을 시사하고 있다. 즉,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목적의 수단으로써 음주를 하게 된다면 음주가 긍정적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조직 구성원 간의 응집력을 높이는 데 있어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5,800원
        136.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안경광학과 대학생들의 전공 관련 특성을 조사하여 전공 선택 동기 및 전공 만족도의 관계 분석 을 통해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전공 만족도를 높이고, 학생 지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 법: 충청지역 안경광학과 재학생 343명을 대상자로 전공 관련 특성을 설문 조사하여, 전공 선택 동기 와 전공 만족도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안경광학과 전공을 선택하는 동기로는 주변의 권유가 가장 많았으며, 전공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는 부모님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전공 만족도 중 교과 만족이 3.52로 가장 높았다. 본인의 적성과 흥미로 전공을 선택한 학생은 적지만, 전공 만족도의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로 나타났다. 전문대와 4년제 학생들은 일반 만족과 관계 만족, 교과만족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 출신학교 유형별로는 일반 만족에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전공 선택 동기는 전공 만족도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으며, 전공 결 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인식 만족에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결 론: 안경광학과의 전공 선택 동기와 전공 만족도의 연구를 통해 학생 지도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 용하여 안경광학과의 위기를 극복하고, 우수한 안경사 인력을 배출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4,300원
        137.
        2014.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용자들이 다양성영화를 이용하는 동기가 무엇인지를 이용과 충족 이론을 적 용하여 탐색하고 다양성영화의 지속관람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내용과 추구 가치의 차이로 인해 다양성영화와 상업영화에 대한 수용자들의 관람동기 유형과 영향력도 다 를 것이라는 논리 하에 두 영화의 관람동기의 유형과 지속관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양성영화와 상업영화 모두에 대해 유사한 문항과 설명력 수준으로 구성된 총 5개의 관람동기들을(지식추구, 영화학습, 기분전환, 감상지향, 사회규범추구) 추출 하였다. 그러나 각 영화 유형에 따라 지속관람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관람동기의 유 형 및 영향력 측면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다양성영화의 경우에는 지식추구, 감상지향, 기분전환 요인의 순서로 유의미한 반면, 상업영화의 경우에는 기분전환, 감상지향, 사회규범 추구 요인의 순서로 유의미하였다
        6,400원
        13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ports participation motives, the involvement in choosing sportswear, and the satisfaction with/perceived importance of sportswear functionality, on customers' repurchase intentions. A total of 185 surve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fter surveying 200 female undergraduates in their 20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on motives for sport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A factor analysis conducted on 13 questions yielded 4 factors. Factor 1 included consideration about socializing and pleasure, factor 2 privileged ostentation, factor 3 was concerned with enhancing health, and factor 4 was about maintaining appearance. Second, the various effects of different sports participation motives, of the satisfaction with functionality, and of the involvement in buying sportswear on customers' repurchase intentions were analyzed. The intention to repurchase sportswear was considered as a dependent variable, while the motives for participating in sports, the satisfaction with functionality, and the level of involvement were trea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se variables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with functionality and involvement in choosing sportswear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ion to repurchase sportswear. Third, looking at how different participation motives for sports affected the importance of sportswear functionality, the motives related to socializing and pleasure and ostentation, the sub-factors in sports participation motive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mportance of comfort. Motives related to enhancing health and maintaining appearance, on the other hand, were found to affect the importance of sports performance. Fourth, a MANOVA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functionality between those consumers highly involved in sportswear-buying and those less involved. Those with a high level of involvement were found to prioritize sports performance over comfort. Those with a low level of involvement were shown to place a greater emphasis on comfort.
        4,500원
        139.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understand the motivation factors for 2nd grade schoolchildren that effect on their preference for the sweet taste. The subjects included were 118 children (59 boys and 59 girls) and 118 children's guardians, from one elementary school. Children participated in sweet preference test and questionnaire survey with researcher's guidance provided in the school. Children's guardians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via home-lett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59% of the children preferred the cocoa beverage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sugar among five cocoa beverages (0%, 2.5%, 5%, 7.5%, and 10% of sucrose/milk volume). The variables consisted of affective attitude, cognitive attitude, self-efficacy, parenting style, and sweets frequency. According to the analysis, sweet preferences were correlated with children's affective attitude (r=-0.207, p<0.01), self-efficacy (r=-0.288, p<0.01), frequency of drinking carbonated beverage (r=0.272, p<0.01), preference for yogurt (r=0.184, p<0.05), and preference for sweet bread (r=0.226, p<0.05).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 can be more affected by affective attitude than cognitive attitude, and self-efficacy can be an important motivation factor to control the eating behavior related to sweets. Therefore, nutrition educators need to focus on developing various methods related to increasing self-efficacy for encouraging and motivating healthy eating behavior in children.
        4,000원
        140.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ve effects of viewing motivations on viewing preferences and viewing intentions of television food program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administering a survey to television food program viewers both on and offline. Viewing motivations were categorized as ‘information’ ‘entertainment’, ‘pass-time’, ‘companionship’, ‘relaxation’, and ‘social interaction’.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proved to be the most important motivational factors affecting viewing preferences for television food programs. ‘Information’ and ‘social interactions’ were the strongest predictors of viewing intentions of television food programs. However, ‘pass-tim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both viewing preferences and viewing intentions of television food programs. Furthermore, the results of study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s of food involvement in these relations.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