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7

        121.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analyse the mesh selectivity for the trawl net, the fish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the training ship Saebada belonging to th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in the Southern Korea Sea and the East China Sea from June 1991 to August 1992. The trawl net used in the experiment has the trouser type of cod-end with cover net and the mesh selectivity in the cod-end part. In this report, the species of fishes caught and the catch rate for them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mesh sizes were analysed, and the result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145 species of aquatic animals were caught in totally 138 times of trawl operations. 2) The number of species mostly not to escape are 28, 22, 19, 16 and 11 respectively, in each opening mesh size, 51.2mm, 70.2mm, 77.6mm, 88.0mm and 111.3mm of cod-end. 3) In view that the use of the opening mesh size above 54mm in cod-end of trawl net in Korea, it is necessary to device a counterplan against the overfishing, for the 22 species of aquatic animals mostly not to escape in the cod-end of the large mesh sizes more than 70.2mm.
        4,200원
        122.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어획되고 있는 저서어종들의 트롤 어구에 대한 어획선택성을 파악하여, 연근해 어업자원의 합리적인 이용.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부산수산대학교의 실습선 부산 402호에서 1986~1987년의 기간중 어획실험을 하여 얻은 총 43회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어획실험에서는 트롤 어구의 자루그물 각 부위에 포켓 그물을 달아서 조업을 하였으며, 자루그물과 포켓 그물에 각각 어획된 어종들에 대하여 체장조성과 망목과의 관계 등으로부터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어획 어종은 총 58종이었으며, 그 중 33종은 자루그물에 어획이 된 후 그물벽을 통한 탈출이 전연 나타나지 않았다. 2. 정어리 Sardinops melanosticta, 밴댕이 Harengula zunasi, 청멸 Thrisa kamalensis, 멸치 englausis japonicus, 꼬치고기 Sphyraena pinguis, 소형 전갱이 Tracurus japonicus, 갈치 Trichirus lepturus, 샛돔 Psenopsis anomala는 일단 어획된 후 끝자루의 그물벽을 통하여 상당량이 탈출을 한다. 특히 멸치는 천정망과 등판에서도 많은 탈출을 한다. 3. 끝자루의 망목 60mm의 경우, 병어 Pampus argentus, 눈볼대 Doderleinia bercoides, 전갱이는 체장 10cm 미만에서 전부 어획이 되고, 참조기 Pseudosiaena manchurica, 보구치 Nibia argentatus, 참돔 Chrysophrys major등 주요 저서어종의 대부분은 소형어가 난획될 소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현행 어업자원 보호법상에서는 대형 기선저인망, 트롤의 끝자루 망목을 내경 54mm이상으로 제한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볼 때 치어난획의 문제가 있고, 이의 개선을 위하여 보다 구체적인 망목선택성의 시험.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본다.
        4,000원
        123.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지나해의 어업자원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시도로서, 부산수산대학교와 일본 북해도대학이 공동으로 실시한 제1차 동지나해의 저서어족자원조사중에서 계량어군탐지기를 이용하여 수집한 각종의 기초자료를 분석,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동지나해의 24회 조사 Line에서 저층 Trawl에 의해 어획된 어종수는 총 96어종이고, 1시간 예망당 평균어획량은 58.8kg/hour이었다. 2. 저층 Trawl을 행한 수탐층(약 4.5m)에 분포하는 어군의 평균체적산란강도는 25KHz와 100KHz에서 각각 -63.9dB, -67.3dB로서 저주파수의 경우가 고주파수보다 약 3.4dB 더 높았다. 3. 전수탐층(송수파기과 해저간)에 분포하는 어군의 평균체적산란강도는 25KHz와 100KHz에서 각각 -61.9dB, -67.0dB로서 역시 저주파수의 경우가 고주파수보다 약 1.5dB 더 높았다. 4. 저층 Trawl을 행한 수탐층에 분포하는 어군의 평균체적산란강도(SV, dB)와 이 때 어획된 전위제적당의 평균어획량(kg)으로부터 추정한 kg당의 평균반사강도는 25KHz와 100KHz에서 각각 -23.6dB/kg, -26.3dB/kg로서 저주파수의 경우가 고주파수보다 약 2.7dB/kg 더 컸다.
        4,000원
        124.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지나해의 저서 어업자원에 대한 어획시험 조사연구가 일본의 북해도대학과 부산수산대학교의 공동으로 1989년 11월 5일~11월 12일의 기간 중에 실시되었다. 이 공동 연구는 앞으로 1992년도까지 연 4년간의 조사기간은 설정하고 있으며, 어획시험은 매년 같은 시기 같은 해역의 동일 지점에서 실시할 예정으로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업자원의 현황과 동태, 지리적인 분포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일본 북해도대학의 연습선 OSHORU-MARU를 이용하여, 한일 공동규제수역 밖의 동지나해 북부 해역에서 1일 3회 총 24회의 트로올 조업을 행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1. 조업해역의 수심은 51~132m, 예망수층의 수온은 8~21℃의 범위에 있었고, 예망 중의 망고는 4.5m, 오터 보오드의 간격은 80m 정도였다. 2. 총 24회의 조업에서 어류 76종, 오징어 문어류 6종, 게, 새우류 7종을 어획하였으며, 이들중 홍어류, 달고기, 민어, 민강달이, 황돔, 전갱이류, 병치매가리, 갈치, 삼치, 병어, 덕대, 샛돔, 꼼치, 말쥐치, 살오징어, 칼오징어, 꽃게는 어획량이나 개체수가 비교적 많았다. 3. 주요 어종들에 대하여 어획 해역별로 체장 계급별로 미수분포를 보면, 갈치, 병어, 말쥐치는 해역에 따라 체장의 모드가 다른 어군이 별개로 어획이 되고 있으며, 살오징어, 칼오징어, 꽃게로는 같은 해역에서 성장단계가 상이한 2개 이상의 군이 혼획되는 것으로 보인다. 4. 특히, 갈치, 병어는 대.소형어가 분리 어획되고 있으나, 살오징어, 칼오징어, 꽃게 등은 같은 어장에서 대.소형어가 혼획되고 있으므로 소형어의 난획 방지를 위한 방책이 필요한 것으로 본다.
        4,000원
        125.
        198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근해의 중층 트로올선에서 전개판의 수중중량을 경감시켜서 끌줄을 길게 주므로서 전개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티로폴뜸을 전개판의 천정판에 고정시키고 끌줄 길이와 예망속력을 변화시켰을 때의 전개판의 깊이와 전개간격을 실측한 것을 분석.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개판 깊이는 끌줄 길이가 100m이고 예망속력이 101~108m/sec인 범위에서 뜸이 있을 경우 41~25m, 뜸이 없을 경우 45~26m이고, 뜸줄 길이가 150m일 경우는 뜸이 있을 경우 68~44m, 뜸이 없을 경우 74~46m로서 뜸이 있을 경우가 없을 경우보다도 9~4% 정도 얕았다. 또 실측치는 어느 경우나 계산치보다도 15% 작았다. 2. 전개판의 전개간격은 끌줄 길이가 100m이고, 예망속력이 1.1~1.8m/sec인 범위에서는 뜸이 있을 경우 34~41m, 뜸이 없을 경우 30~38m이고, 끌줄 길이가 150m일 때는 뜸이 있을 경우 44~50m, 뜸이 없을 경우 37~46로서 있을 경우가 없을 경우보다도 끌줄 길이 100m에서 10%, 150m에서 15%정도 더 컸다. 또, 실측치는 계산치보다 항상 컸으며 계산치에 대한 실측치의 비는 끌줄 길이가 100m일 때 1.17~1.14, 150m일 때 1.17~1.09이었다. 3. 날개 끝 간격은 끌줄 길이 100m인 때 뜸이 있을 경우가 없을 경우보다 1m 정도 크고 유효망구면적으로는 10% 정도 크며, 끌줄 길이가 150m인 때는 그 차이가 2m로서 유효망구면적으로는 20% 정도 크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전개판에 뜸을 달아서 전개판의 수중중량을 일시적으로 가볍게 해 주는 것은 유효망구면적을 크게 하므로 어획성능향상에 상당히 도움이 될 것이 기대된다
        4,000원
        126.
        198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근해에서 조업하는 트로올선에 알맞은 중층 트로올어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부산수산대학 실습선 부산 404호(160 GT, 750Ps)로서 조업하기에 알맞게 설계된 어구로서 어구의 유체저항을 측정하고, 그것으로부터 어구의 유체저항을 추산할 수 있는 식을 유도하고, 또한 전개판의 전개력계수와 항력계수를 구한 것을 요약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1. 어구의 전항력 T=2.15 v 상(1.12), 그물의 항력 R 하(N)=1.96 v 상(1.01)으로서 v의 지수는 1에 가까워서 그물이 물을 잘 여과시켜줌을 시사한다. 2. 소산의 저항의 식에 따라 구한 그물의 유체저항의 추산식은 R 하(N)=4.3×d/l×abv 라고 표현할 수 있다. 3. 전개판의 전개력은 그물의 항력의 19~22%이고, 전개력계수는 1.5정도이며, 항력은 그물의 항력의 5~7%이고, 항력계수는 0.42정도이다
        4,000원
        127.
        198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근해에서 종업하고 있는 트로올선에 알맞은 중층 트로올어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부산수산대학 실습선 부산 404호(160 GT, 750 PS)로서 조업하기에 알맞게 설계된 어구로써 어구의 수직전개도를 측정.조사한 것을 요약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1. 전개판의 깊이의 끌줄 길이에 대한 비는 0.44~0.25의 범위에 있고, 속력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변하며, 속력이 약 0.1m/sec, 기관의 회전수로서는 약 20 증가할 때마다 약 5m씩 얕아진다. 또, 전개판 깊이의 실측치는 계산치보다 항상 작으며, 그 비는 0.92~0.80의 범위에 있고, 예망속력이 빨라질수록 작아진다. 2. 뜸줄의 깊이는 전개판의 깊이보다 2~3m 더 깊으며, 망구의 수직전개도는 22~19m의 범위에 있고, 속력이 빨라질수록 작아진다. 3. 추의 깊이와 전개판의 깊이의 차는 예망속력에 관계없이 끌줄 100m 인 때 약 20m, 150m인 때 약 22m이며 추의 깊이는 발줄 중앙부는 해저에 닿되, 추는 닿지 않게 할 수 있다. 4. RPM을 20씩 변화시킬 때의 뜸줄 깊이의 변화폭 4m 전후이며, 변화속도는 0.017~0.019m/sec정도이다
        4,000원
        128.
        198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uthors carried out an experiment to determine the horizontal opening of the mid water trawl gear, which is the same as was used in the foreward experiment concerned to the attitude and opening efficiency of otter board. The trawl net .used in the experiment was designed to have a square sectional four-seamed body with two three-sepenlted wings. Each wing tip was rigged with a net pendant of 70 m long and the fore ends of the pendants were directly jointed to the otter pendant without inserting hand rope, and a front weight of 200 kg weigh was rigged with in front of the lowest wing tip. To determine the opening between otter boards ani between wing tips, two 50 KHz fish finders were set sideways on the otter board and on the port middle wing tip so as to detect the distance froa the finders to the starboard otter board and to the wing tip respectively, and the informations were transmitted to the indicators onboard the ship through water-tight cables.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openings between otter borads were 43-45 m in case of the warp 100 m, 53-55 m in the war;> 150 m and 54-59 m in the warp 200 m. It was increased in linear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owin; speed in the range of 1. 1-1. 8 mlscc. 2. The determined values of the openings between otter boards were greater than the estimated values. which were calculated by the opening between warps at the gallows of the ship and the length of tt~ warp, assuming that the warps from the top rollers to the otter boards were straight. The rates of the determined values to the estimated values were 1. 23-11. 0 in case of the warp 100 m, 1. 23-1. 12 in the warp 150 m and 1. 23-1. 15 in the warp 200 m respectively. The rates were almost the same at the slow towing speed of 1. 3 mlscc or so, then the higher the speed, the less the rate, and the longer the warp, the greater the rate. 3. The rates of the openings between otter boards to the total length of net pendant and the net (excluded cod end) showed 43-43% in case of the warp 150-200 m. It was a little smaller than th~ standard. which is 50%. in the common bottom trawl. 4. The determined openings between wing tips were 18-19 m in case of the warp 100m, 21-22 m in the warp 150 rn, They showed that the higher the speed, the greater the openings even though its range was no more than 1 m or so. 5. The rates of openings between otter boards to th~ openings betwee:l wing tips were almost invariably 38%. 6. The rates of openigs b2tween otter boards to the lenth of h~ad rope were 60-65% in cas': of th~ warp lOa-150m. It were much larg2r than th~ standard. which is 50%. in the common botto:n trawl.
        4,000원
        129.
        198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midwater trawl gear available for the Korean near sea trawlers, the authors carried out a field experiment on the attitude and the opening efficiency of the otter board with the Pusan 404 (160GT, 750ps), a training ship of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The experimental trawl gear was designed to be operable by the ship and the otter board was made of single iron plate with 12% camber ratio. The special-prepared potentiometric angle detector was used for determining the attitude, and the 50 KHz fish finder for the opening between the otter boards.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ngle of attack varied by moving the towing point on the towing plate of the otter board. It showed 33 to 36 degrees when the point was set at the outmost position, 25 to 31 degrees at the middle position and 19 to 30 degrees at the inmost position, with a decreasing tendenc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owing speed in each cases. 2. The heel of the otter board always occured inwards, increasing slightl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owing speed. 3. The tilt of the otter board always occured outwards, increasing slightly according to the move of the towing point inwards, and decreasing slightl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owing speed. 4. The opening between otter boards showed the largest value when the towing point was set at the outmost position.
        4,000원
        130.
        198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토로올어선들이 아프리카 사하라 연안어장에 출어하여, 1975년 5월부터 1976년 4월까지, 이 해역의 중심어장으로 알려진 22˚00'~25˚30'N의 연안에서, 연 16,725척이 252,609회 예망하여, 살오징어 3,754,786kg, 대형갑오징어(체중 300g 이상) 7,540,532kg 소형갑오징어(체중 300g 미만) 9,539,570kg, 문어 11,130,462kg, 서대 2,010,540kg, 돔류 2,360,970kg, 기타 어종 15,951,250kg을 어획하였다. 이들이 어획된 해역을 경위도 30분간의 소해구로 분할하고, 이 소해구별 월평균 예망당 어획량을 구하고 그로부터 어종별 어획량 분포를 고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어종별 예망당 어획량을 비교하면, 살오징어 14.9kg,, 소형갑오징어 대형갑오징어 37.8kg, 문어 44.1kg, 서대 8kg, 돔류 9.3kg 기타어종 63.1kg의 비율로 혼획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 살오징어는 23˚00'N 이남과 24˚30'N 이북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8~11월이었다. 3) 갑오징어는 대형은 23˚00'~25˚00'N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12~5월이었으며, 소형은 23˚30'~25˚00'N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4~6월과 11~1월이었다. 4) 문어는 23˚00~25˚00'N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3~4월과 9~1월이었다. 5) 서대는 23˚00'N 이남과 25˚00'N 이북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6~11월이었다. 6) 돔류는 23˚30'N 이남과 25˚00'N 이북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5~11월이었다. 7) 기타어종은 23˚30'N 이남과 25˚00'N 이북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5~10월이었다
        4,200원
        131.
        197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트로올선 No.85 Ptaro가 1975년 9월부터 1976년 8월까지 대서양 아프리카 연안 어장에서 조업한 어획상황을 분석한 결과 예망당 어획량의 일주기변동은 대략 다음과 같다. 1. 오징어는 일출후에 월등하게 많고 일몰후에 현저하게 적으며 주야간의 어획량비는 54:17로 획간에 많았다. 2. 갑오징어는 개체중량 300g이상의 대형어는 일출후에 다소 많고 일몰후에 적으며 주야간의 어획비는 45:28로서 획간에 많고, 개체중량 300g 미만의 소형어는 주야간의 어획량비가 40 : 32로서 큰 차이가 없다. 3. 문어는 개체중량 700g 이상의 대형어는 일출후에 적고 일몰후에 적으며, 오전보다 오후에 많은 경향이 있고, 주야간의 어획량비는 43 : 31로서 획간이 많으나, 개체중량 700g 미만의 소형어는 일출후에 적고 일몰후에 많은 경향이 있고, 주야간의 어획량비는 32 : 44로서 야간에 많았다. 4. 서대류는 일출후에 현저하게 적고 일몰후에 월등하게 많으며, 주야간의 어획량비는 16 : 41로서 획간에 많았다. 5. 돔류, 기타 A, B 잡어는 일출후에 월등하게 많고 일몰후에 현저하게 적으며, 주야간의 어획량비는 돔류 51 : 19, A 잡어류 50 : 19, B잡어류 42 : 25로서 획간에 많았다.
        4,000원
        132.
        197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aper deals the fishing condition of the stern trawlers operated in the Atlantic coast of Africa. The datas are gathered from the Korean stern trawlers operated in the area from June, 1975 to May, 1976. The obtain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catch per haul are calculated as, cuttle fish 14.5kg, large size squid(more than :lOOg of body weight) 28.2kg, small size squid(less than 300g) 36.4kg, octopus 47.0kg. 2. Small size cuttle fish(less than5OOg of body weight) are caught much during after spring tide in July to September, yet, large size ClIttle fish(more than 500g) are caught much during neap tide in October to January. 3. Small size squid(less than 300g of body weight) are cBught much during after spring tide in October to December, yet, large size squid(more than 3OOg) are caught much during before spring tide in October to March. 4. Octopus are caught during neap tide in July to August.
        4,000원
        133.
        197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atch per unit effort and the migration of Alaska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were deduced from the catch data of 1, 208 hauls of a stern trawler operated on and around the continental shelf east of the Kamchatka Peninsula and Kurile Islands from October 1974 to December 1975. Alaska pollack occupied more than ninety per cent of the total catch of approximately 17, 760 metric tons, while the cuttle and flat fishes occupied less than five percent. Beside those fishes, approximately 131 metric tons of Alaska pollack roe were produced during the voyage from February to April 1975. The mean catch per unit effort in each sub-area of fishing ground was approximately 15.5 metric tons and the peak of the CPUE occured in January and August. The CPUE in the continental shelf east of Kamchatka Peninsula (50˚- 52˚ N Lat) showed the maximum of 25-34 metric tons in August. The main fish school is thought to migrate southward speedily in August-September along the continental shelf from the Kamchatka Peninsula to the east of Kurile Islands. The CPUE on the continental shelf east of Kamchatka Peninsula was higher than that on the steeper continental slope. However, the CPUE on the steeper flank of the bank east of Paramushiru Island and Onekotan Island was remarkably higher than that on the relatively flat top of the bank. The small-sized fishes of less than thirty centimeter in fork length began to recruit in the fishing ground since August 1965.
        4,000원
        134.
        197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층트를 어구(漁具)의 소해심도(掃海深度)를 일정(一定)한 적정어획속도(適正漁獲速度)에서 기동성(機動性)있게 변화(變化)시키기 위하여 기초적인 모형어구(模型漁具)의 수조실험(水槽實驗)과 특별(特別)히 고안한 깊이바꿈틀을 이용(利用)한 이차(二次)에 걸친 해상시험(海上試驗)을 통(通)하여 연구한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중층(中層)트롤의 그물어구의 깊이 y는 끌줄의 길이 L과 단위(單位) 길이의 끌줄, 깊이바꿈틀 및 그물의 각(各) 수중중량(水中重量) $W_r,\;W_o,\;W_n$과 각(各) 항력(抗力) $R_r,\;R_o,\;R_n$ 사이의 관계(關係)는 차원해석법(次元解析法)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y=kLf(\frac{W_r}{R_r},\;\frac{W_o}{R_o},\;\frac{W_n}{R_n})$$ 단(但), k는 상수(常數)이고 f는 함수이다. 2. 단위 길이당(當)의 수중중량(水中重量) $W_r$, 길이 L인 끌줄 끝에 항력(抗力) $D_n$, 수중중량(水中重量) $W_n$d인 수중저항분를 매달고 끌줄의 다른 한 끝을 수면(水面)에서 예인(曳引)할 때,. 끌줄의 형상(形狀)을 현수곡선이라고 보면, 수중저항분의 깊이 y는 다음과 같다. $$y=\frac{1}{W_r}\{\sqrt{{D_n^2}+{(W_n+W_rL)^2}}-\sqrt{{D_n^2+W_n}^2\}$$ 3. 중층(中層)트롤의 그물어구(漁具)깊이의 변화(變化) ${\Delta}y$는 예강(曳綱)의 길이 L을 바꾸거나 추(錘) ${\Delta}W_n$를 부가(附加)하면 다음과 같다. $${\Delta}y{\approx}\frac{W_n+W_{r}L}{\sqrt{D_n^2+(W_n+W_{r}L)^2}}{\Delta}L$$ $${\Delta}y{\approx}\frac{1}{W_r}\{\frac{W_n+W_rL}{\sqrt{D_n^2+(W_n+W_{r}L)^2}}-{\frac{W_n}{\sqrt{D_n^2+W_n^2}}\}{\Delta}W_n$$ 단(但), $D_n$은 그물어구의 항력(抗力)이다. 4. 끌줄 상(上)의 중간점(中間点)에 추(錘) $W_s$를 부가(附加)할 때 중층(中層)트롤 그물어구의 깊이바꿈 ${\Delta}y$는 $${\Delta}y=\frac{1}{W_r}\{(T_{ur}'-T_{ur})-T_u'-T_u)\}$$ 단(但) $$T_{ur}^l=\sqrt{T_u^2+(W_s+W_{r}L)^2+2T_u(W_s+W_{r}L)sin{\theta}_u$$ $$T_{ur}=\sqrt{T_u^2+(W_{r}L)^2+2T_uW_{r}L\;sin{\theta}_u$$ $$T_{u}'=\sqrt{T_u^2+W_s^2+2T_uW_{s}\;sin{\theta}_u$$ $T_u$ 추(錘)를 부가(附加)하지 않았을 때 끌줄 상(上)의 중간점(中間点)에 있어서의 예인어선(曳引漁船) 쪽을 향하는 장력(張力)이고, ${\theta}_u$는 장력(張力) $T_u$와 수평방향(水平方向)과 이루는 각도(角度)이다. 5. 어떠한 형태(形態)의 저예강용(底曳綱用) 전개판(展開板)도 성능(性能)에 있서어 차이는 있으나 전중량(全重量)을 가볍게 하고 저변(底邊)에 무게를 달아 안정(安定)시키면 중층예강용(中層曳綱用)으로 사용(使用)할 수 있다는 것이 모형(模型) 실험(實驗)결과 밝혀졌다. 6. 모형(模型) 그물(Fig.6)의 수조실험(水槽實驗)에서는 예강속도(曳綱速度) v m/sec, 강고(綱高) H cm 및 수유저항(水流抵抗) R kg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간단(簡單)한 관계식(關係式)이 성립(成立)한다. $$H=8+\frac{10}{0.4+v}$$$R=3+9v^2$$ 7. 특별(特別)히 고안한 십자(十字)날개형(型) 깊이바꿈틀과 H날개형(型) 깊이 바꿈틀을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전자(前者)보다 안정성(安定性)이 우월하였다. 8. 그물어구(漁具)의 유수저항(流水抵抗)이 매우 크며 또 거의가 항력(抗力)으로 볼 수 있으므로 깊이바꿈틀의 종류에 관계없이 그물어구의 소해심도(掃海深度)는 대단히 안정(安定)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9. H날개형(型) 깊이바꿈틀의 수평(水平)날개 면적율 $1.2{\times}2.4m^2$로 하였을 때 유수저항(流水抵抗) 2 ton의 그물 어구를 2.3kts로 예인(曳引)하면서 영각(迎角)을 $0^{\circ}{\sim}30^{\circ}$로 변화(變化)시킨 결과(結果), 끌줄의 길이에 관계없이 약(約) 20m의 깊이바꿈을 얻을 수 있었다.
        5,200원
        135.
        197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ns have been interested in the North Pacific fisheries since the exploratory fishing was carried out by R/V Baek-Kyung of Pusan Fisheries College in 1966. Although the salmon fishing was interrupted by some countries, Korean trawlers are venturing in the North Pacific Ocean for catching demersal fishes. The trawl fishery in the region raises some problems. i. e. the conflict with the coastal or nearshore fishery, low fish price, etc. This paper concerns with the plan for the settlement of these problems..
        4,000원
        136.
        197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600원
        137.
        196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①Connecting Spread를 일정하게 하고 Towing Line의 길이를 변화시킬 때 각 속도에 따른 망고 및 망폭 Towing line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망고는 높아지고 망폭은 좁아진다. ② Towing line의 길이를 일정하게 하고 Connecting Spread를 변화시킬 때 망고 및 망폭은 Connecting Spread가 넓어질 수록 망폭은 넓어지나 망고는 거의 변화가 없다.
        4,000원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