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92

        121.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paragus cochinchinensis is known to ameliorate respiratory disease. We evalu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non-fermented and fermented A. cochinchinensis using lactic acid bacteria and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ed A.cochinchinensis. Non-fermented A.cochinchinensis showed lower levels of antimicrobial activity than the fermented A.cochinchinensis. Ethyl acetate (EtOAc) extracts of the fermented A. cochinchinensi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the indicator strains at lower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The MIC of the EtOAc extract of non-fermented A. cochinchinensis against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epidermidis, and Stphylococcus aureus were 100, 75, and 100 mg/ml. In contrast, the MIC of the EtOAc extract of ACLM was 25 mg/mL against E. coli. The MIC of the EtOAc extract of ACLS was 12.5 mg/mL against S.epidermidis, and the MIC of the EtOAc extract ofACLP was 12.5 mg/mL against S.aureus. The viable cell number, pH, and acidity of A. cochinchinensis fermented by Lactobacillussakei 383 were similar to those of A. cochinchinensis fermented by Leuconostocmesenteroides 4395, but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A. cochinchinensis fermented by Lactobacillus.plantarum KCCM 11322.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fermented A. cochinchinensis by lactic acid bacteria may be a good candidate for application to ameliorate respiratory disease.
        4,000원
        128.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에 자몽종자추출물(grapefruit seed extract, GSE)과 오리가노 방향유를 혼합하여 코팅제를 개 발하였고, 개발된 코팅제를 감귤(Citrus unshiu Marc.)에 코팅하여 코팅의 Penicillium italicum (P. italicum) 발생 억제와 감귤 의 저장성 증대에 대한 효과를 연구하였다. 카나우바 왁스에 0.5, 0.8, 1.0%(w/w)의 GSE와 Tween-80 (25% w/GSE w)을 혼 합한 후 10,000 rpm에서 2분간 균질화하여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코팅액의 유화안정성과 분산안정성은 각각 입자 크기와 제타전위 그리고 후방산란으로 측정되었다. 코팅되지 않은 감귤과 GSE를 1% 혼입한 카나우바 왁스(GSE-carnauba wax) 코팅액으로 코팅된 감귤은 4°C와 25°C에서 각각 28일과 7일간 저장되었고, 저장 기간 중 이화학적 특성과 P. italicum 의 생장을 관찰하였다. GSE-carnauba wax 코팅액의 입자크기와 제타전위는 다른 코팅액에 비해 유의적으로 각각 작고 높 았으며(p>0.05), 후방산란은 저장 기간이 증대하여도 상대적으로 유지되었다. 25°C에서 저장된 GSE-carnauba wax 코팅액이 P. italicum 생장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p<0.05). 또한, GSE-carnauba wax 코팅액으로 코팅 처리하여 4°C에서 저장 된 감귤의 중량감소율, CO2 발생량, 경도 감소율은 코팅 처리하지 않은 감귤보다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다(p<0.05). GSE-carnauba wax 코팅은 저장 중의 저장온도와 관계없이 감귤 껍질의 색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5). 감귤의 당도, 적정 산도 및 pH는 코팅 여부, 코팅액 내 GSE 첨가 여부, 저장 온도 그리고 저장 일수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p<0.05). 저장 일수가 길어질수록 25°C에서 저장된 감귤의 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능은 코팅 여부와 관계없이 감소하기 시작했고 (p<0.05), 아스코브산 농도는 코팅처리 된 감귤에서 더 높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GSE-carnauba wax 코팅은 감귤의 P. italicum 생장과 저장 중 품질 저하를 억제하여 감귤의 저장 기간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129.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커피부산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커피부산물을 유기 용매인 n-hexane을 이용하여 60(±10)°C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하며 추출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B16F10 melanoma cell line과 RAW264.7 macrophage cell line에서의 커피박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water solubletetrazolium salt-1 assay로 평가하였다. 또한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기 위해 DPPH 법을 사용하여 항산화를 평가하였으며, 항균력 검색을 위해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 Candida albicans를 이용하였다. 실험결과 B16F10 murine melanoma cells에서 커피부산물 추출물을 처리한 군은 0.125 ~ 2 μl/ml 농도에서, RAW 264.7 macrophage cells 에서는 0.125부터 0.5 μl/ml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항산화 실험 결과 커피박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인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였다. 또한 커피박 추출물의 항균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Paper disc법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 Straphylococcus epidermidis, Str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Candida albicans에서 각각 11.3±0.4, 12.±0.7, 12.0±0.0, 0.0±0.0 mm의 clear zone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커피박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제안할 수 있다.
        4,000원
        130.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도내 유통중인 75품목의 페이스트 및 액상형 치약 및 구중청량제 제품에 대하여 항균 성분인 트리클로산과 에탄올 및 보존제인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프로필), 벤조 산나트륨에 대해 사용여부 및 표준제조기준 준수 여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HPLC, GC를 이용하여 정량시험을 실시하였다. 보존제 검사결과 총 37품목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파라옥시벤조산메틸은 26품목에서 0.003~0.19%,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은 11품목에서 0.002~0.02%, 벤조산 나트륨은 14품목에서 0.1~0.3%의 농도로 검출되었다. 파라옥시벤조산과 벤조산나트륨이 동시에 검출된 치약은 2품목이었다. 어린이용 치약 20품목 중 파라옥시벤조산메틸은 6품목에서 0.03~0.19%,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은 1품목에서 0.01%, 벤조산나트륨은 5품목에서 0.1~0.2%의 농도로 검출되었다. 이 중 무파라벤 문구 표시된 제품은 8품목이었으나 벤조산나트륨이 5품목에서 검출되었다. 트리클로산은 75품목 모두 불검출이었으며 에탄올은 19품목중 16품목에서 4.9~21.9%의 농도로 검출되었다. 이 중 3품목은 20.5~21.9%로 함유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거품형 치약 2품목에서도 에탄올이 각각 4.9%, 5.7%의 농도로 검출되었다. 에탄올 함량이 표시된 제품은 1품목이었으며 에 탄올무첨가 문구 표시 제품 1품목, 저알코올 문구 표시 제품 1품목이었다. 본 연구결과 유통되고 있는 치약제 및 구중청량제에서 검출된 보존제는 치약제의 허용범위 이하로 사용되고 있었다. 트리클로산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에탄올은 대부분의 구중청량제에서 사용되었으나 함량이 표시되어 있지 않았다. 의약외품인 치약제 및 구중청량제는 의약품과 달리 현행 규정상 전 성분 표시가 되지 않고 있으며, 주성분만 기재 의무화 되어있다. 보존제의 경우 75품목 중 3품목에서 주의사항에 사용여부가 표시되어 있었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알권리와 제품 선택권을 위해 제품에 전 성분 표시 기재가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에탄올 함량이 주류인 소주보다 높게 나타난 제품이 있어, 이러한 경우 함량 표시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3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lostridium perfringens (C. perfringens) induced necrotic enteritis (NE) and related subclinical disease has become economically significant problems for the broiler industr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toxinotype and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C. perfringens isolated from the intestine of NE-suspicious and clinically healthy chickens in Korea. All of the 110 isolates belong to C. perfringens type A. In addition, these strains harbored the luxS, colA, virS, cpb2, netB and tpeL genes in high percentage order. They do not harbor the cpe gene encoding enterotoxin production. Our results suggest the important roles of the several toxin genes in the pathogenesis of NE except α-toxin, previously thought to be the major virulence factor. In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of 13 antimicrobial agents, none of them is completely susceptible in this study. Remarkably NE-suspicious chickens have higher resistant value than health ones in all of antimicrobial agents. The presence of tetracycline-resistance genes were also tes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genotype and phenotype.
        4,000원
        132.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품부패미생물에 대한 감초추출물의 항균력을 확인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한 후 그 구조를 확 인 하였다. 감초추출물은 대표적인 항균제인 메타중아황산칼륨과 myconazole과 비슷한 항균 활성을 나 타내었다. 용매분획을 실시한 결과 chloroform fraction이 가장 항균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chloroform분획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해 분리하여 항균활성이 가장 큰 분획물인 KC를 분리하였다. 이 화합물은 ESI-MS 와 1H-NMR, 13C-NMR 결과로부터 활성물질의 구조를 동정 하였으며 그 결과 KC는 (R)-glabridin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4,000원
        133.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잘피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건조된 잘피 전체, 뿌리, 잎·줄기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잘피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albicans, Propionibacterium acnes 균주로 disc diffusion 방법을 통해 생육저해환(clear zone) 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잘피 뿌리 추출물처리군에서 Staphylococcus epidermidis의 clear zone이 13.00±0.50mm로 확인되었고, Staphylococcus aureus, Propionibacterium acnes, Pseudomonas aeruginosa의 clear zone은 각각 11.75±0.25mm, 12.00±0.50mm, 12.25±0.25mm로 확인되어 잘피 추 출물의 항균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34.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항균 물질인 로즈마리 오일(RO), 자몽종자 추출물(GSE), 오레가노 오일(OO)을 각각 키토산 에멀젼에 혼입하여 코 팅제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키토산 코팅제를 방울토마토에 적용하여 방울 토마토 위해 미생물의 저해 효과를 연구 하였다. 1%(v/v) 빙초산 수용액에 키토산 1%(w/v)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0.50, 0.75, 1.00%(w/v) 농도의 RO, GSE, OO와 RO, GSE, OO 대비 25%(w/w) Tween-80을 혼합하여 10,000 rpm에서 2분간 균질화 한 뒤, 진공 펌프로 에멀젼 내 가스를 제거하여 코팅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코팅제를 이용하여 방울토마토를 코팅한 후 살모넬라 혼합균주(S. Typhimurium, S. Montevideo, and S. Enteritidis)를 접종하여 살모넬라균의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농도가 각각 0.50, 0.75, 1%인 RO, GSE, OO를 혼입한 키토산 에멀젼 코팅제는 방울토마토에 접종된 살모넬라 혼합균주를 각각 0.7-1.1, 1.0-1.6, 그 리고 0.7-1.1 log CFU/cherry tomato를 저해하는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RO, GSE, 그리고 OO를 혼입한 키토산 코팅제는 방울토마토의 식중독 위해 미생물인 살모넬라균에 대한 저해 활성을 보였고 향후, 방울토마토의 미 생물학적 안전성과 저장성 향상에 기여하는 코팅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해주었다.
        135.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erine protease inhibitors play a critical role in physiological processes and immune responses by regulating serine protease activities. Here we describe the molecular cloning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 serine protease inhibitor from the mason bee, Osmia cornifrons (OcSPI). OcSPI consists of 405 amino acid residues and contains a potential reactive center loop (RCL) region in its C-terminus. Recombinant OcSPI was produced as a 64-kDa glycoprotein in baculovirus-infected insect cells and exhibit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chymotrypsin. Additionally, OcSPI demonstrat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microbial serine proteases, such as subtilisin A and proteinase K, but not against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thrombin, or plasmin. Recombinant OcSPI bound directly to Escherichia coli, Bacillus subtilis, and Beauveria bassiana and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oth bacteria and fungi. Our results demonstrated the antimicrobial functions of OcSPI and suggest a role for OcSPI in the immune response of O. cornifrons.
        136.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arlic (Allium sativum) is known to have antimicrobial effects but there are few data on its effects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possible development of natural food antimicrobials from garlic extracts, particularly allicin. The filter sterilized, aqueous extract of garlic was tested for its ability to inhibit the growth of 7 fish pathogenic bacteria (E. tarda, V. ichthyoenteri, V. harveyi, P. damselae, S. iniae, S. parauberis, L. garviae) using the disc diffusion test,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test, and minimum bacteriocidal concentration test. The garlic extract inhibited growth and killed most of the organisms tested. The disc diffusion test was performed using garlic extracts (100%, 50%, 25%, 10%, each 20㎍), and MIC test was also performed using a diluted concentration of garlic extracts (488 - 250,000 ㎍/㎖). According to the results, garlic extracts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ll of seven bacteria, a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garlic extract can be used as an antimicrobial substance against fish bacterial diseases in the fish industry.
        4,000원
        137.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세균성 각막염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퀴놀론계 항균제의 감수성 저하로 나타난 Serratia marcescens 균주에 대해 내성기전에 관여하는 주요 target인 gyrA와 parC 유전자를 분석하여 감수성 저하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방 법: 퀴놀론계 항균제 감수성 저하 Serratia marcescens 균주들을 대상으로 genomic DNA를 추출 하여 PCR를 통해 증폭한 후 gyrA와 parC 유전자 QRDR의 DNA sequencing을 분석하였다. 결 과: parC 유전자 분석에서 SM5 균주는 Tyr51→His, Thr59→Asp으로 이중 아미노산 변이가 나타났 으며, SM6 균주는 Thr59→Asp으로, SM13 균주는 Tyr51→His으로 단일 아미노산 변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3 균주 모두 gyrA와 parC 유전자에 다수의 silent mutation이 관찰되었다. 결 론: target 유전자의 변이로 인한 항균제의 감수성이 저하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parC 유전자가 퀴놀론계 항균제의 감수성 저하를 일으키는 주요 표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세균성 각막염 치료에 퀴놀론계 항균제의 사용이 계속될 것이며, 많은 내성 균주들이 발생할거라 예측된다. 따라서 항균제를 사용할 때 내성에 대한 주의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3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피도박테리아 증식인자인 1,4-dihydroxy-2-naphthoica cid 생산 유산균주 LP2가 선행연구에서 자연치즈로부터 분리되었다. LP2 균주는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균주동정에서 Lactobacillus plantarum(99% 일치율)과 가장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어 Lactobacillus plantarum LP2 균주로 명명하였다. LP2 균주의 배양 상등액은 Helicobacter pylori KCTC 12083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생산된 DHNA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3,000원
        139.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effect of the low temperature atmospheric plasma device with needle tip designed for easy approach to the oral cavity and root canal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Enterococcus faecalis and Candida albicans.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evaluated by measuring clear zone of agar plate smeared with each bacteria after plasma treatment. To quantify antibacterial effects, dilution plate method was used. In addi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was used for observation of changes in bacterial morphology. As treatment time of plasma increased, the clear zone was enlarged. The death rate was more than 99%. The SEM results showed that the globular shape of bacteria was distor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edle tip plasma could be an innovative device for prevention of dental caries, and treatment of apical infection and soft tissue diseases.
        4,000원
        140.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웰빙(well-being)으로 각광받고 있는 천연물 관련 연구에 무화과 추출물의 활용 가능 성을 확인하고자 다음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무화과를 세척 건조하여 알코올추출 방법으로 추출한 후, Column chromatography, G-Mass, IR, 1H-nmr 방법에 의하여 무화과 추출물의 이화학적 성질을 분석하 였으며, 무화과 추출물을 두피 제품에 적용하기 위하여 항균, 항진균에 대한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무화과 추출물의 이화학적 분석은 열매와 잎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두 부분 모두 비듬과 피부병 치료 효능을 가진 항균 및 항진균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화과 추출물에 대한 항균성은 액체배지 희석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고, 무화과의 산업화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무화과 추출물 함유 수제 투명 및 고형 비누를 제조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