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79

        121.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 부모의 놀이에 대한 인식과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을 알아보고,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에 따라 놀이 인식이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 부모 600명을 대상으로 놀이 인식 질문지, 양육 효능감 척도, 양육행동 척도,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최종 회수된 설문지 490부로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결과는 첫째, 부모의 아동 및 놀이 관련 직업 여부에 따른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놀이 시 태도에 따른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놀이 즐거움과 중요도 는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놀이 어려움 여부에 따른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결론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부모의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에 따른 놀이인식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학령전기 아동부모의 놀이 인식을 위한 교육 등을 포함한 연구들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4,000원
        122.
        2019.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아유르베다 컬러프로그램이 유치원을 이용하는 유아들의 주의력 결핍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유아들의 체질을 먼저 구분하고 과잉행동과 주위산만을 알아보기 위해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 장애 측정지로 검사를 실시하였고 컬러호흡과 컬러 명상을 실시한 후 사전 사후검사간의 대응표본 검정을 측정하였다 체질에 맞는 색깔 옷이나 먹는 것 주위 환경의 색깔을 달리 했다. 그리고 수면시간을 이용하여 파랑색 등을 켠 방 체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주위산만 사전검사 결과는 (M=20.9333, SD=2.491)으로 나타났으며 사후검사 결과는 (M=17.200, SD=2.007), (t=9.427, P<0.000)으로 나타났다. 주의력 결핍에 대한 사전 사후 간에 검정을 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아유르베다 컬러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산만에 미치는 영향으로 주의 산만이 낮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유아의 과잉행동은 사전검사에서 (M=21.400, SD=1.638)와 사후검사(M=17.667, SD=1.759) 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t=12.43, P<0.001)으로 나타냈다. 이는 아유르베다 컬러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주의력 결핍 향상에 효과과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4,000원
        123.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국내 학습장애를 대상으로 한 중재와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 학습장애 중재에 대한 근거를 마련 하고, 작업치료 분야에서의 학습장애 중재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문헌 검색은 2014년 5월부터 2019년 5월까지 5년간의 연구를 포함하였다. 데이터베이스는 KISS, RISS를 사 용하였고, hand searching을 통해 추가로 문헌을 찾았다. 검색어는 “학습장애” AND “중재 OR 교수 OR 전략 OR 학습 OR 교육”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7편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결과 : 총 7편의 문헌에서 적은 수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단일대상연구들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사용된 중재의 종류는 쓰기 3편, 읽기 2편, 과학 2편으로 쓰기 중재가 가장 많았다. 각각의 중재는 철자의 정확도, 문장의 이해도, 과학 성취도에 효과적이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작업치료의 중재, 대상자, 평가도구 및 효과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임상과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24.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모의 기질과 양육방식, 아동의 기질 조화 및 부조화가 영유아의 이후 문제행동이나 보육시설 적응,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기에 부모가 어떠한 양육태도를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유아의 적응과 사회성 발달에 큰 변화가 있다. 영유아의 사회적 정서적 경험이 주 양유자인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이루어지므로 어머니와 유아의 관계는 영유아의 사회적 적응, 유능성, 자기확신, 사회성 발달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갈수록 영아의 어린이집 입소율이 높아지고 있고 입소 시작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볼 때, 부모의 기질, 양육방식에 의한 영유아의 문제행동, 사회성 발달 등으로 이어지는 좀 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8,000원
        125.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사회는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하여 사회문화적 교류가 많아지고 급속한 경제발전과 세계화는 우리나라의 인구 사회학적 변화를 불어오게 되었으며, 다문화 가정의 비율도 높아가고 있다. 다문화 가정 부모의 민주적 양육참여는 자녀의 사회정서발달에 좋은 영향을 미치며 성공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하도록 도움을 준다. 그리고, 다문화 가정 어머니에 관한 아버지의 지원은 영·유아자녀에게는 바른 인성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 정서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의 자녀의 올바른 성장과 다문화 가정 부모의 올바른 양육태도에 양육방법에 도움을 주고자 이 연구를 하게 되었다.
        6,300원
        127.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eral information, unbalanced diet, and dietary habits of 86 children in Daegu. The research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diet and dietary habits of childre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nutrition education. The results reveal that younger children have a more unbalanced diet. Children dislike side-dishes the most. Furthermore, due to the longer time taken to consume food, parents persuade children to eat quickly. Children were also determined to have a high intake of foods and drinks containing sugar; beverages containing sugar are consumed 1-2 times a week by 5-year-olds, and once daily by 6- and 7-year-o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provide basic data for nutritional education, and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dietary programs for young children.
        4,000원
        128.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ietary education program,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 total of 242 children (122 education groups and 120 control groups) were run six times a dietary education program from April to December 2018, and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to evaluate effectiveness.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the most prevalent in the education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education group, the body height and weigh were 137.27 cm and 33.69 kg, respectively, and in the control group the body height and weight were 143.48 cm and 40.64 kg, respectively. The education group showed positive change in dietary self-efficacy and dietary knowledg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I can have meals regularly’ (Education Group: 4.00 points from 3.71 points) and 'I can choose fruits instead of cookies candies as snacks (Education Group: 4.01 points from 3.70 points) The score increased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In the change of nutritional and hygiene knowledge of children, the education group scored 3.63 of 10 points before education, but the score significantly increased to 5.70 points after education(p<0.001).
        4,000원
        129.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생태계는 기존 자연생태계와 달리 야생생물 및 인간이 함께 공존하는 상호복합적 환경을 제공한다. 그러나 도시 녹지 및 공원에 출현하는 말벌속(genus Vespa)은 도시생태계에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도시민에게 물리적·심리적 피해를 초래하는 불균형을 야기하기도 한다. 특히 어린이공원은 접근성이 높아 도시민 및 어린이가 쉽게 이용하는 도시 녹지이며 말벌속이 거점 및 서식지로 활용하는 공간임에도 아직까지 어린이공원에 출현하는 말벌속에 대한 서식환경 및 출현 특성을 공간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말벌속의 생활사 기간을 고려해 2018년 4월부터 11월까지 32주간 천안시 어린이공원 27개소 내 말벌트랩을 설치해 말벌(Vespa crabro flavofasciata), 좀말벌(Vespa analis parallela), 장수말벌(Vespa mandarinina), 꼬마장수말벌(Vespa ducalis), 등검은말벌(Vespa velutina nigrithorax)을 포획하고 출현 종 구성 및 어린이공원의 입지 특성 및 환경공간정보를 고려한 말벌속의 출현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기간 말벌속은 총 818개체가 포획되었으며, 종별로는 좀말벌 290개체(35.4%), 말벌 260개체(31.8%), 꼬마장수말벌 100개체 (12.1%), 장수말벌 87개체(10.6%), 등검은말벌 81개체(9.9%) 순으로 포획되었다. 대부분의 말벌속은 계칩(啓蟄) 이후 5~6 월에 여왕벌 위주로 포획이 이루어지다가 분업기인 6월 중순부터 포획 개체 수가 급감한 공통적인 특징이 있으나, 등검은말벌 은 타 말벌속의 쇠퇴기가 이미 시작된 10월 3주차부터 80% 이상 포획되어 계절적 차이를 보여주었다. 어린이공원 입지별 말벌속 포획 개체 수를 분석한 결과 포획량 상위 6개소에서 363개체(44.3%), 하위 6개소에서 35개체(4%)가 포획되어 확연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상위 6개소의 평균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는 0.79로 하위 6개소의 평균 NDVI인 0.38과 유의한 평균간 차이를 보였으며(t=2.67*, *=p<0.05), 주변 토지이용이 초지 혹은 나지일 경우 말벌속 포획 빈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 내 녹지 및 공원에 출현하는 말벌속의 생태적 기본 특성을 확인한 기초 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효율적인 도시 녹지 관리를 위한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30.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아의 성별, 기질 및 놀이성이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서울과 경기 인천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유아 341명을 대상으로 기질검사와 놀이성 검사, 사회적 유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독립 표본 t-검정, 피어슨의 상관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사회적 유능감은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기질 및 놀이성과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는 기질 중 활동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감이 낮아지고 놀이성 중 주도적 참여가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즉, 유아 기질의 각 하위요인들은 사회적 유능감의 정서조절 요인과 전체적인 상관관계가 있었고 기질의 나머지 하위 요인과 부분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성별, 기질, 놀이성이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성별, 활동성, 주도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설명하는데 성별, 기질과 놀이성은 중요한 예측요인이며 놀이성이 기질보다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900원
        131.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소아의 굴절이상을 타각적 굴절검사인 탁상용 자동굴절검사기, 검영기와 휴대용 사진굴절검사기로 측정 하여 비교하였으며 휴대용 자동굴절검사기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03명의 소아(206안)에게 탁상용 자동굴절검사기, 검영기, 휴대용 사진굴절검사기를 이용하여 굴절이상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기기에서 구면 굴절력, 난시 굴절력, 난시 축을 paired t-test로 분석하여 평균 차와 95% LoA를 구하였다. 측정된 굴절이상의 일치도를 분석하기 위해 Bland-Altman plot을 이용하였으며 기기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Spearman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Bland-Altman plot에서 구면 굴절력과 난시 굴절력에서는 휴대용 사진굴절검사기와 검영기에서 높은 일치도를 보였으며 난시 축은 탁상용 자동굴절검사기와 검영기에서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탁상용 자동굴절검사기에서 근시쪽으로 측정되었으며 근시와 원시에서는 검영기보다 휴대용 사진굴절검사기가 근시 쪽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구면 굴절력, 난시 굴절력과 난시 축에서 휴대용 사진굴절검사기와 검영기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면 굴절력과 난시 굴절력은 휴대용 사진굴절검사기와 검영기가 유사한 굴절 값으로 나타났다. 난시 축은 검영기와 탁상용 자동굴절검사기가 유사한 측정치를 보이긴 했으나 측정기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협조가 부족한 소아에서 휴대용 사진굴절검사기는 빠르게 굴절이상을 측정할 수 있으며 정확한 자세에서 검사하게 되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4,000원
        132.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the amendment of Child Welfare Law in 2003, the regional centers for children have been a part of the child welfare system, providing child-care services for families in poverty. In Korea, the regional centers for children were established during the poverty movement in the 1970s and have been developed as childcare providers for poor children since the financial crisis. However, the identity of regional centers for children is being threatened as the universal perspective on caring and the public values of caring services are being strengthened. There has raised a controversy around the role of regional centers for children that provide child-care services for vulnerable families. In addition, the survival of the regional centers for children is being threatened due to some issues regarding the content of their program as it is similar to those of other child-care agencies, the lack of cooperation among the ministries of government addressing public needs for child-care services, the poor working conditions of center employees, and the poor quality of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regional centers for children. After that, we discuss the current issues of the regional centers for children and seek alternatives that can settle the problems and respond properly to social changes.
        4,300원
        133.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co-friendly design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children’s collections. Photos from FirstviewKorea were utilized for analysis; 29 brands were selected that included children’s clothing collections featuring eco-friendly characteristics from 2007 to 2018.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aturalness was the most frequent characteristic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hildren’s collections. It was not conveyed in an eccentric way in any season, showed a relatively uniform distribution, and was seen in various ways, including printed on the fabric and expressed in appliqués and embroidery. Second, handcrafted features frequently changed according to seasonal trends. Various methods such as beading, embroidery, applique, sewing techniques, and handbags were used, which enhanced manual workability, discrimination from other designs. Third, traditionality is divid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ethnicity and revivalism. National traditions were expressed in the clothing and reflected the current generation while connecting to the past. Fourth, simplicity appeared in classic designs such as simple silhouettes, sparse decoration, natural colors, and comfortable dress length that is not tight on the body. Simplicity was not a frequent featur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s clothing collections. Fifth, playfulness functioned to enhance the children’s clothing’s wear frequency. Although it was the least frequent of all the characteristics, it seemed to increase the design fun and the clothing’s value by fusing with other characteristics such as handcraftedness and naturalness.
        4,600원
        134.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spite the declining birth rate and consequent lower children population in Korea in recent years, there has nevertheless been found to be a positive trend in relation to the purchase of toddler and children’s wear. This has led toddler and children’s wear to pursue sales and marketing strategies. There is especially a growing number of experiential marketing that provide an empirical element, which stimulate consumers’ emotions, and also create a relationship with a brand.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serve as practical data for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ies through the analysis of experiential marketing cases conducted by brands of toddler and children’s wear. The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the Korean toddler and children’s fashion market between 2009 and 2018. The domestic brands of toddler and children’s wear were analyzed with the application of Bernd H. Schmitt’s five experiential modules. The analysis results first showed that of the five modules, ‘feel’ held the highest proportion, followed by ‘think’ and ‘act’, and lastly ‘sense’ and ‘relate’. Second, the experiential marketing stimulated more than three of the five senses. Third, experiential marketing that provided educational experiences to children was conducted. Fourth, an experience was provided for parents and children to enjoy together. Finally, product promotion and purchase were naturally linked. The study’s results have confirmed that toddler and children’s wear brands implement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ies, which convey the emotional and cultural experiences shared by parents and children in various ways.
        4,900원
        135.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nutritional quality of breakfast among Korea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depending on eating together as a family, based on the 2013-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ne day 24-hour recall data of 1,831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from 6 to 17 years were collected. The nutritional quality of breakfast was analyzed and compared between Family Breakfast Group (FBG, n=1,410) and Eating-alone Breakfast Group (EBG, n=421). The results showed that age, family structure,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frequency of breakfast were associated with eating breakfast as a family. The calorie intake from breakfast explained 19% and 16% of the daily intake for FBG and EBG, respectively. The percentag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consuming Vitamin A, Vitamin B1, Vitamin B2, Vitamin C, Niacin, and Iron less than 1/4 of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FBG than in EBG. The average numbers of serving for “Grains” and “Vegetables” food groups and the average Dietary Diversity Scor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BG than in EBG. Overall, the results indicated that eating breakfast as a famil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nutritional quality of breakfast among Korea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4,200원
        136.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방 소도시인 경북 예천군의 100인 미만 어린이 급식시설 32개소를 규모별(50인 이상, 21인 이상 50인 미만, 20인 이하)로 나누어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위생·안전 순회방문지도에 따른 개선효과를 조사·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방 소도시에 위치한 소규모 어린이 급식시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다 효과적인 위생관리 지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규모별 분석대상은 집단급식소 25.0%, 소규모 급식소 34.4%, 비집단급식소 40.6%의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전체 조사대상 급식시설에 고용된 조리사 면허 소지자는 40.6%에 불과했다. 위생·안전관리 지도점검 결과 총 25가지 항목 중 18가지 항목에서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으며, 집단급식소는 총 5가지 항목(시설 등 환경 1문항, 개인위생 2문항, 원료사용 1문항, 보관관리 1문항), 비집단급식소는 총 13가지 항목 (시설 등 환경 1문항, 개인위생 2문항, 원료사용 1문항, 공 정관리 7문항, 보관관리 2문항), 그리고 소규모급식소는 총 7가지 항목(시설 등 환경 1문항, 개인위생 2문항, 원료사용 1문항, 공정관리 1문항, 보관관리 2문항)에서 유의미한 개선효과가 확인되었다. 총점의 경우, 전체 순회지원 전 55.89점에서 지원 후 75.11점으로 상향되었고, 규모별로는 집단급식소, 비집단급식소, 소규모급식소 각각 순회지원 전 63.5점, 52.1점, 50.5점에서 지원 후 79.8점, 76.7점, 65.4점으로 세 그룹 모두 상향된 점수의 개선효과가 확인되었다 (data not shown). 집단급식소의 경우 전문 인력에 의한 조리업무 수행 및 지자체로 부터의 지속적인 위생 점검으로 순회지원 이전부터 수행되고 있는 항목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위생·안전 순회지원을 통한 개선효과는 비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비집단급식소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개인위생, 공정관리, 보관관리 항목에서 뚜렷한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 소도시의 어린이 급식시설에 대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위생순회방문지도가 위생 및 안전관리에 있어서 긍정적인 개선효과를 제공한 것으로 판단되며, 제한적인 지원 횟수로 인한 다소 아쉬운 평점의 상승폭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교육지원을 통한 개선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식생활의 안전문제는 어린이 급식시설 즉 비영리급식 뿐만 아니라 어린이 식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는 가공식품 및 외식 등 식품 산업 전반에서 함께 풀어야할 과제이다. 이는 지속적인 교육지원 등과 더불어 식품산업체와의 협력 및 상호보완을 통해 균형 있고 지속가능한 정책이 이루어지기 위한 구체적인 기반이 마련 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
        137.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한국 초등학생의 안축장 분포를 조사하고, 오전과 오후 측정시간에 따른 안축장의 차이를 관찰하였다. 방법 : 단면연구로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12~13세(평균 연령: 12.4±0.3세, 여: 17명)의 34명 34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분결합간섭 측정계를 이용하여 안축장을 측정하였고, 굴절이상도는 개방형 자동굴절력계를 이용하였다. 일일 동안 4시간 간격으로 오전 9시와 오후 1시에 두 번 안축장을 측정하였다. 결과 : 성별에 따른 안축장의 차이는 없었다(AM: 남, 24.24±1.19 mm; 여, 24.04±0.94 mm, p=0.578, PM: 남, 24.29±1.13 mm, 여, 24.18±0.85 mm, p=0.750). 오전과 오후에 측정된 안축장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r2=0.949, p<0.001). 안축장은 오전 9시(24.18±1.08 mm)와 오후 1시(24.25±1.00 mm)에 관찰되었다(p=0.709). 그러나 안축장의 차이는 0.07±0.34 m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안축장은 전반적으로 오전 보다 오후에 길게 측정 되었지만 측정시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000원
        138.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영유아기 부모의 코칭역량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부모코칭역량의 구성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척도문항을 구성하여 타당화 검증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고찰 및 부모코칭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조사를 통해 구성요인을 도출 하여 180문항을 구성하였고, 2차례에 걸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구성된 65문항을 영유아기 부모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계수를 구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역량, 의사표현 역량, 의사존중 역량, 자기성장 역량, 성장촉진 역량, 관계 형성 역량의 6개 하위 구성요인, 32문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기 부모의 코칭역량 척도 타당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것이며, 이는 자녀를 양육하는 보호자들의 부모코칭역량을 측정하여 코칭역량의 효과성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부모들의 코칭역량을 점검하여 부모역할지원과 부모교육 자료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의의가 있다.
        5,500원
        139.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놀이를 활용한 자존감 프로그램이 ADHD 성향 아동의 자존감과 또래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통놀이를 활용한 12회기의 자존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C시와 D시의 ADHD 성향을 보이는 아동, 실험집단 28명, 비교집단 28명 중 실험집단의 4명이 중도 탈락하여 총 52명(실험집단 24명, 비교집단 2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연구도구는 자존감 척도, 또래관계 기술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우선 전통놀이를 활용한 자존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에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에 전체 자존감 평균과 하위요인 중 일반적 자존감 과 사회적 자존감 평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학업적 자존감과 가정적 자존감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또래관계에서도 전체 또래관계 평균과 하위요인 중 주도성과 협동· 공감 영역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개발된 전통놀이를 활용한 자존감 프로그램이 ADHD 성향 아동의 자존감 및 또래관계를 증진하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하였으며, 추후연구의 제언점도 함께 제시하였다.
        5,500원
        140.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the severity of children’s traffic accidents using the ordered probit model, and to contribute to a safer road environment for children. METHODS: This study used children’s traffic accident data during the last four years in the Incheon Metropolitan area. At this point, to analyze only the direct damage caused to children, the analysis was made of accidents where the victim was under 13 years old. Data from a total of 1,110 accidents was collected. When the model was constructed, as it was judged that there could be a difference in factors affecting accident occurrence depending on the zone characteristics, the model was divided into school and non-school zones. RESULTS: The accident content (severity) is divided into four stages (fatal injury, serious injury, minor injury and injury report) to construct the order-typed probit model. For the analysis, 65 variables of 17 categories were included in the model. The statistical package STATA 13.1 was used to analyz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accident severity with a confidence level of 90% (α·=0.1). Consequently, a total of 15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ccident severity in a school zone. In contrast, a total of 22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ccident severity in non-school zones. Four variables (daytime, weekday, victim age, intersection) were significant in both models. CONCLUSIONS: Among the significant variables found in school zones, signal violation and type of vehicle (line bus, rent car, bus, business other vehicles) had a relatively greater effect on the accident severity than the other variables. In non-school zones, eight variables comprising daytime, head-on collision, crossing, over-speed, gender of victim (male), victim age, type of vehicle (construction machinery), driver age (50-59)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In conclusion, as well as eliminating factors that can lead to accident reduction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zone characteristics to reduce the severity of children’s accidents and promote children’s traffic safety.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