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2

        142.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characterize phytonutrients, the seeds of 12 purple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accessions collected from Korea and Japan were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tocopherols, phytosterols, squalene and fatty acids. The average tocopherol, squalene and phytosterols contents were 12.2 mg 100g-1 , 3.99 mg 100g-1 and 77.20 mg 100g-1 , respectively. Among 4 tocopherol (T) isomers (α -T, β -T, ~gamma -T, and δ -T), ~gamma -T was present in the highest quantity (11.03 mg 100g-1 ) with the least variation (CV = 13.7%), while β -T was present in lowest quantity (0.25 mg 1100g-1 ). Compared to campesterol (4.36 mg 100g-1 ) and stigmasterol (13.32 mg 100g-1 ), β -sitosterol exhibited higher quantity (59.51 mg 100g-1 ) with 9.5% of variation. The major fatty acids were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linolenic (61.5%), linoleic (17.3%), and oleic (9.9%) acids compared to saturated ones: palmitic (7.6%) and stearic (3.7%) acids. When Korean and Japanese accession were compared, almost no difference in content could be observed, while more variation as evaluated by CV (%) could be observed in Japanese accession in most phytonutrients suggesting wider genetic variation of purple Perilla in Japan. Presence of all above-mentioned phytonutrient compounds strongly suggested health beneficial value of purple Perilla seeds.
        143.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o generate SCARs markers for identification of Perilla species. A SCAR is a genomic DNA fragment at a single genetically defined locus that is identified by PCR amplification using a pair of specific oligonucleotide primers. We derived SCARs by sequencing and cloning the both ends of the amplified products of RAPD markers. Sixteen sequence-specific primers were synthesized from eight RAPD markers, which were completely sequenced. We developed the species-specific SCAR markers which could be used successfully in detecting genetic variation in four Perilla species. These markers could be used to verify species-origins of various forms of Perilla germplasms.
        144.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자생 및 재배되고 있는 들깨와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 대하여 종자발아에 대한 변이 양상을 구명하기 위해 재배형 들깨 102계통, 잡초형 들깨 41계통 그리고 잡초형 차조기 19계통들에서 측정된 종자발아율 및 발아세는 다음과 같다. 1. 재배형 들깨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1%에서 99%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73%±24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조건에서는 0%에서 98%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45%±26를 나타내었
        145.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봄내엽1호’ 들깨 품종은 강원대학교 농장에서 2006년에서 2008년에 걸쳐 파종과 계통선발을 통해 육성하였다. 품종의 특성검정은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들깨의 적정 재배조건 아래서 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봄내엽1호’ 들깨 품종은 대조 품종보다 경장이 크고, 화방군수와 화방군당삭수가 많으며 잎색은 대조품종에 비해 진한 녹색을 띤다. 정유 성분 분석결과 ‘봄내엽1호’ 들깨잎의 주요성분으로는 Perilla ketone, Beta-caryophyl
        146.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EM and SAF appication on contents change of fatty acids and organic acid of perilla(Perilla Frutescens Britton). Contenst of squalene in perilla leaves on control and KEM/SAF treated were 3.39 mg and 4.22 mg, respectively. Therefore the squalene quantity of KEM/SAF treated leaves was 24.2% more than that of control. A total 6 fatty acids in perilla leave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Percentage of the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 in perilla leaves were 20 and 80%, respectively. Contents of phytosterols in perilla leaf such as campesterol and sitosterol were 2.0 and 20.0 mg, respectively. Therefore sitosterol content was 10 fold more than that of campesterol. The KEM/SAF application on perilla leaf was effective on the change of squalene or phytosterol contents. However effect of that was negligible on the change of fatty acid content.
        147.
        201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소는 여러 질환을 치료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는 자소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알아보았다. 자소 추출물을 이용한 DPPH, FRAP 실험 결과, 농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소자 추출물의 경우 고온/고압 추출시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우스 동물모델을 이용한 항아토피활성 결과 귀와 상피의 비후를 감소시키고, 면역세포의 침투현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자
        148.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안유’는 종실수확을 목적으로 하는 품종육성을 위하여 YCPL 1824를 모본으로 하고, SF9225-3-1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선발한 SF98024-2B-4-1-2-2 계통으로 계통명은 밀양46호이며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안유’는 잎모양은 피침형이며, 엽뒷면색이 자색이고, 화색은 자색, 종자는 진갈색의 구형이다. 2. 노지재배시 경장이 120 cm로 경장이 낮아 도복에 유리하며 화방군수가 많고 화방군장이 길다. 3
        149.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erilla [Perilla frutescens (L.)], which belongs to the family Lamiaceae, have been used as a not only important traditional source of oil but also used traditional herbal medicine for treating various disease including depression, anxiety, tumor, cough, bacterial and fungal infections, allergy, detoxication and some intestinal disorders in east asian countries. In this context, luteolin isolated from the P. frutescens inhibited the linoleic acid peroxidation catalyzed by soybean lipoxygenase-1 (EC 1.13.11.12, Type 1) with an IC50 of 5.0 μM.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 of luteolin on dioxygenase enzyme, we assayed soybean lipoxygenase-1 activity with the inhibitor. Soybean lipoxygenase-1 showed time-dependent inhibition in the presence of luteolin. Increasing luteolin concentrations led to the decrease in both the initial velocity (vi) and the steady-state rate (vs) in the progress curve. Thus luteolin showed a simple reversible noncompetitive slow-binding inhibition against soybean lipoxygenase-1 with kinetic parameter (k3 = 0.056 μM-1min-1, k4,= 0.006 μM-1min-1, Ki app = 0.106 μM).
        150.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nfluenza neuraminidase (E.C. 3.2.1.18) is an antiviral target of high pharmaceutical interest because of its essential role in cleaving sialic acid residues from surface glycoproteins and facilitating release of virions from infected cell. In this context, polyphenolic compounds including luteolin, rosmarinic acid, and apigenin from Perilla frutescens were evaluated for their inhibitory effect on recombinant virus H1N1 neuraminidase. Among the test compounds, luteolin and rosmarinic acid inhibited the rvH1N1 neuraminidase with an IC50 of 8.4 and 46.7 μM, respectively. The inhibition kinetics analyzed by Dixon plots indicates that luteolin and rosmarinic acid are noncompetitive inhibitor and inhibition constant, Ki, were established as 14.3 and 43.9 μM, respectively. Subsequently, we also analyzed the rosmarinic acid and luteolin contents of 383 accessions of perilla seed germplasm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rosmarinic acid and luteolin contents of perilla seeds were ranged from 15.7 μg/g to 2,894.9 μg/g and from 1.6 μg/g to 949.1 μg/g, respectively.
        151.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erilla is a genus as a member of the mint family Lamiaceae which is known to contain lots of volatile metabolite. Perilla has been called as ‘deulkae’ indicating ‘wild sesame’ that means it has been maintained in Korea with long history. It has been very friendly used as edible oil and as fresh leaf vegetable. Perilla oil is valued for its medicinal benefit because it contains best amounts of unsaturated fatty acids, especially for the alpha-linolenic acid, known to omega-3 fatty acid, among all of the plant oils. It also include many beneficial phytochemicals. However, little study is conducted on their genetics. Here, we announce construction of well normalized and full length enriched-perilla cDNA library from a whole plant of one cultivar ‘Youngho-deulkae’ and their sequence characterization to provide useful resources for genetics, breeding and metabolite engineering. By sequencing of 5,760 cDNA clones, we 5,438 high quality EST sequences. Sequence trimming and assembly resulted 3,995 unigenes which consists 1,004 contigs and 2,991 singletones. Unigenes that showed little homology at the DNA sequence level with known genes in other plants even though they showed similarity at the protein domain level based on BLASTN, BLASTX, and TBLASTX. This study may provide good resources for initiation of further genomics, comparative genomics, functional genomics such as metabolic engineering and molecular breeding.
        152.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total of 162 accessions of Perilla germplasm collected from diverse habitats in South Korea. The oil content of the seeds varied from 19.8 to 49.6%, the average being 33.3%. Oil content showed wide ranges of variati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seed oil showed the following overall ranges: palmitic 4.5 to 8.1%, stearic 1.6 to 7.4%, oleic 13.4 to 23.6%, linoleic 9.5 to 19.5%, and linolenic acid 48.6 to 66.4%.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oi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provide useful background information for developing new cultivars with a high oil content and different fatty acid. Several accessions could be used as parental lines in breeding programs aiming to increase perilla oil quantity and quality.
        153.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erilla frutescens, which belonging to the Labiatae family, is widely cultivated oil crop and have been used traditional herbal medicine in East Asia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Especially, the leaves and the seeds of this species are important in Korean traditional cooking, as one of the popular garnish and food colorants. Numerous studies have revealed that the beneficial health effects of perilla are due to its several phytochemicals contents, such as rosmarinic acid, caffeic acid, luteolin, and apigenin. For this reason, increasing the content of phytochemicals in perilla hasbecome a major breeding objective. The genetic diversity of the rosmarinic acid, caffeic acid, luteolin, and apigenin content in perilla seed is poorly documented. We analyzed the rosmarinic acid, caffeic acid, luteolin, and apigenin content of 203 accessions of perilla germplasm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rosmarinic acid and luteolin contents ofgermplasms were ranged from 15.7 μg/g to 2717.1 μg/g and from 1.6 μg/g to 582.4 μg/g respectively.
        154.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냉압착 들기름과 볶음 압착 들기름 및 볶음 가열 압착 들기름의 가열산화에 의한 색도 및 갈변도, 총 페놀 함량, 과산화물가, 산가, 이중공액산가, 전자공여능 및 지방산 함량 변화를 측정하여 각 들기름의 특성 및 가열산화에 의한 품질을 비교하였다. 냉압착 들기름은 Hunter L 값은 76.62로서 볶음 압착 들기름의 39.77에 비하여 2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갈색도의 경우에도 각각 0.027과 0.244을 나타내어 냉압착유의 갈색화 정도가
        155.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재배 및 이용하고 있는 들깨, 차조기 그리고 이들 잡초형 69 계통들에 대하여 종자 특성 및 종자발아 변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배형 들깨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177 g에서부터 0.402 g까지의 범위였고, 종자경도는 대부분의 계통들이 잘 부스러지는 부드러운 특성을 지니고 있었으나, 일부 계통들은 잘 부스러지지 않는 딱딱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반면에 잡초형 들깨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045 g에서부터 0.172 g까지의 범위였고, 종자경도는 모든 계통들이 잘 부스러지지 않는 딱딱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2. 재배형 차조기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054 g에서부터 0.101 g까지의 범위였고, 잡초형 차조기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059 g에서부터 0.135 g까지의 범위였으며, 그리고 이들의 종자경도는 모든 계통들이 잘 부스러지지 않는 딱딱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3. 실온 및 28℃ 항온조건의 발아율 조사에서 수확 후 1개월째에서는 들깨의 잡초형 그리고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은 대부분이 50% 이하의 낮은 발아율을 나타내었으나, 재배형 들깨의 일부 계통들이 5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2개월 및 3개월이 경과한 상태에서 들깨의 재배형 및 잡초형 그리고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은 5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내는 계통들이 많이 나타났다. 4. 들깨와 차조기 작물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서의 평균발아율 및 평균발아세는 수확 후 1개월째에서 가장 낮고 수확 후 3개월째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실온 및 28℃ 항온조건에서의 발아율과 발아세는 28℃ 항온조건 보다는 실온조건에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60.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3 토양별 조성 비교에서 식물체 종류에 관계없이 천매암 및 화강암 지역이 높은 원소가, 셰일 지역은 낮은 원소가 많았다. 각 식물체별 토양 함량 비교는 대부분 원소가 들깨 지역에서 높았다. 상관관계에서 정의 관계가 들깨 재배지는 화강암 지역이, 참깨 재배지는 셰일 지역이 우세하였다. 토양별 절대 함량 관계와 토양 내 원소 함량 사이의 상관 관계는 토양내 특정 원소를 함유하는 광물의 함유 비율 탓으로 해석된다. 식물체에 대한 3 토양별 비교에서 들깨와 참깨 모두, 셰일 지역이 높았고, 화강암 지역이 낮았다. 들깨와 참깨에 대한 토양별 비교에서, 참깨가 들깨보다 높은 원소가 많았고, 특히 참깨 재배지의 화강암 지역이 높은 원소가 많았다. 토양 차이를 무시한 각 식물체 내, 상, 하부의 절대 함량 비교에서 지역 및 식물의 종에 관계없이 대부분 비호정 원소가 하부에서 높음을, 공히 Rb, Sr은 상부가 높음을 암시한다. 상, 하부 각각의 절대 함량에 대한 종간의 비교 시 상, 하부 공히 Y, Zr, Rb는 들깨가, Ta, Nb, Th, U 에서는 참깨가 높음을 암시한다. 연구 지역 식물체들의 종간, 부분별 원소 흡수 정도는 식물체들의 선택적 흡수 정도의 차이, 뿌리 주변의 물리, 화학적 변화, 식물체내 부분별 축척되는 비율의 차이 등으로 설명이 될 수 있을 듯하다. 상관관계에서 들깨 및 참깨 모두 천매암 지역이 정의 관계가 우세하였다. 이는 토양 내 이 들 성분을 구성하거나, 교대하는 광물과, 이들의 2차 광물인 점토광물의 함량 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설명 될 수 있다. 이외에도 식물체들의 선택적 흡수 정도 차이, 뿌리 주변의 물리, 화학적 변화, 식물체 부분별 축척되는 비율의 차이 등으로 설명 될 수 있다. 각 지역별 전체 평균값에서 토양과 식물의 상, 하부 평균 함량의 비(토양/식물체)는 식물의 종 및 토양의 차이에 관계없이 모든 HFS와 LFS 중 Cs는 수 배에서 수 백 배 차이로 토양이, LFS 중 Sr은 수 배 차이로 식물체가 높음을 암시한다. 3 종류의 토양과 각각 식물체의 상, 하부 평균값의 함량 비교에서, 들깨는 천매암 지역의 Y, Zr, Hf, Ta, Nb, Rb, Sr, 셰일 지역의 Th, U, Ba, Cs, 참깨는 천매암 지역의 Y, Zr, Hf, Rb, Sr, Ba, Cs, 셰일 지역의 Ta, Nb, Th, U가 토양 조성에 가까웠다. 토양과 식물체의 상, 하부 함량 비의 비교 시, 들깨 및 참깨 공히, 3 비교 토양의 상, 하부 모두에서, 화강암 지역이 제일 커서, 화강암 지역의 토양과 식물체의 함량 차이가 제일 큼을 암시한다. 3 토양과 식물체의 부분별 함량 비교에서, 참깨, 들깨 공히 하부는 천매암 지역에서, 토양의 조성에 가까움을 암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