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의 안전한 해체 관리를 위해 원전 해체 비용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가장 많은 원전 해체 경험을 갖고 있는 미국의 경우 1970년대부터 원자력시설의 해체를 위하여 비용평가 연구를 진행하였다. 미국 NRC는 다양한 로형 및 원자력시설에 대한 해체 기술, 안전성 및 비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체 해체 비용에서 운영허가종료비용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는 사용후핵연료 관리, 부지복원순으로 평가되었다. 해체비용은 전체비용에 있어 운영허가종료가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하며 사용후핵연료관리, 부지복원 순으로 평가되었다. 즉시해체의 경우 지연해체에 비해 사용후핵연료관리 비용이 증가하였으며 지연 해체의 경우 운영허가종료의 비용이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즉시해체에 비해 지연해체의 경우가 뚜렷하게 이득이 보이지 않고 있다. 국내 원전 해체 비용 평가시 부지 조건에 따른 평가를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국내의 경우 IAEA의 권고사항을 적용하여 방사성폐기물 분류체계를 재정비하였다. 이에 따라 해체시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 물량 산정시, 선행 미국 원전해체 자료를 신분류체계에 적합하게 활용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해야할 필요가 있다. 특히 자체처분 대상폐기물 평가 방법론 설정은 해체비용의 정확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국내 원전해체 비용 평가를 위하여 시설 특성과 작업 특성에 적용할 수 있는 정보자료 구축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housing type of North Korea and the current status of standard housing 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trategy for securing the safety of North Korean standard houses with relatively low structural performance compared to South Korea. In addition, we will use this data as basic data for planning a low-cost emergency reinforcement method to prepare against the natural disasters that are taking place frequently.
계획적이고 안정적인 영농을 위해 영농작업 인력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농가인구의 감소로 인한 농업인력 확보의 어려움과 농업노동 임금의 지속적인 증가는 경영주에게 이중의 고통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가처분가능소득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강원도를 지역 표집으로 선정하여 Bivariate Probit 모형을 이용해 내국인과 외국인 고용의 상호 관계를 고려한 고용인력 수요 결정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3개월 이상 노동력을 고용하는 농가들의 경우 내국인 고용수요와 외국인 고용수요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형적인 도시근교 농업의 특징을 나타내는 춘천시에 비해 강원도내 타 지역 농가들은 다른 변수들이 일정할 경우 내국인과 외국인의 고용 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젊은 경영주일수록 내국인 상시 고용에 대한 수요가 높고, 농가조직에 참여하고 있는 농가일수록 자가노동 확률은 0.13% 감소하고, 상시 농업 노동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종합한 농업 노동력 확보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상시고용된 농업인력들을 대상으로 국내외 문화 차이를 인지하고, 내국인 노동자와 외국인 노동자간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영농교육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각 지역별로 내국인 또는 외국인 노동자의 상시고용 수요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 강원도내 지역별 농산업 현황을 기반으로 「(가칭)강원도 농업 인력 수급 플랫폼」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청년창업농과 농가조직 참여 농가들을 대상으로 농작업 상시고용 인력을 우선적으로 매칭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Waste lead-acid batteries accounted for 83% (470,000 tons) of the licensed waste imported into the country in 2015, which was the largest percentage of imported waste in Korea. In addition, there is the problem of negligent management or waste circulation related to international conven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recycling management and the management of waste batteries.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management of waste lead-acid batteries, which is the largest component of imported waste,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we examined the import/export regulations, inadequate management or distribution of waste related to international treaties such as the Basel Convention and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regulations, and the problem of appropriate treatment management, especially considering waste lead-acid batteries. We studied the prop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waste lead-acid batteries treatment in Korea, and investigated and compared domestic and foreign laws and treatment guidelines for domestic waste, including those for imported and exported waste. We established a safe resource waste-recycling management system to help the utilization of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waste management law and business support in relation to international treati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s of farms in South Korea which provide care farming activities in order to develop and settle care farms. A questionnaire that includes 60 questions about resources, clients, management, background of establishment, budget, manpower, organization, etc.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email and phone interview in the period of July to August, 2016. Five farm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the results, each farm had a different size of land, about 744 – 39,670 m2. The farms were classified by different types of farming activities such as cultivating horticultural crops or cultivating horticultural crops and raising animals. The background of farmers was health, special education, social welfare or professional farmer. The income sources were from care farming programs, educational program, and crop production. The participants in the care farm were children with or without disability, adolescents, adolescents with behavior problem, adults, adults with mental disability or developmental disability, mental illness, dementia, addict, etc. The major activities in care farms were plant cultivating, harvesting, garden maintenance, cooking by using harvest, crop processing, waling in the farm, caring for animals, dealing with farm work equipment, and farming activity with local residents, etc. The participation duration was 25% for one-day experience, less than two weeks in a week, and more than six months, respectively. To settle and develop care farming of South Korea, the concept, clients, operation, professional manpower, policy, support, etc. should be established.
Purpose – The domestic liquor market is steadily increasing, but locally made liquor markets remain stagnant. The market opening due to the FTA and westernized eating habits are expanding the consumption of imported liquor by Koreans and the demand for beer and soju is still high. Therefore, we analyzed the scale efficiency of Korean locally made liquor compan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Based on a translog-cost function, a scale efficienc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government’s information survey on the liquor industry. Data from 541 liquor companies analyzed from 2013 to 2014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 As a result of the scale efficiency analysis, the average sales of the mid-sized locally made liquor companies is 171 million won, but the appropriate sales amount is 1 million won. It is estimated that there is a need to increase sales. Conclusions – The gap between the actual sales and the appropriate sales of mid-sized locally made liquor companies with 3~10 employees is larger, so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average cost by increasing the sales of locally made liquor companies. In order to do so, it is necessary to acquire customer strategies such as product differentiation, advertising and publicity.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marine bridge disaster prevention system, the trend of disaster accidents due to the extension of maritime bridges was analyzed and the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was examined.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was aimed at presenting the disaster prevention facility grade and installation items considering the size of the bridge and traffic volume.
Waste generation has been increased worldwide. Waste is generally recycled, incinerated, or landfilled. Currently, waste is also used as an energy resource because of a lack of energy resources and landfill sites. In South Korea, landfill of waste has been prohibited and the “Switching Promotion Act of the Resource Recycling Society” has been established. Landfill of municipal solid waste in the European Union was 210.18 million tons in 2012. The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ed was 22.8%, and the amount of landfill was 416 kg/cap·year. The landfill rates in the Netherlands, Belgium, Denmark, Luxembourg, Austria, Sweden, and Germany have been found to be more than 10% because of different landfill criteria and fees established by these countries.
최근 축산업은 육류 소비량 증가 및 정부의 장려 축산정책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소규모 축산농가에서 집단화 및 대형화되어 고소득 향상 사업으로 변해가고 있다. 하지만 소득향상이라는 이점 외에 가축사육과정에서 배출되는 분뇨에 의해 각종 민원뿐만 아니라 인근 수계로의 노출로 인한 수질오염과 2차 토양오염, 가축전염병, 해충번식, 폐기물 등 가시적인 환경오염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가축분뇨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가축분뇨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군 지역의 가축분뇨관리세부계획을 수립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괴산군의 가축분뇨관리세부계획 수립을 위한 것으로 괴산군 지역의 가축사육 및 분뇨발생량 현황을 분석하였고 축종 및 사육두수 분포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ArcMap ver. 9.3을 사용하여 가축사육 주소지를 좌표 변환하였으며, 축종별 사육두수 범위별 분포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최소자승법과 로그함수법으로 축종별 사육두수 및 가축분뇨 발생량을 예측하여 괴산군 가축분뇨관리세부계획 수립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The ceiling finishes and concrete structure, rather than problems with the performance of the acrylic panel to crack and leak, and poor adhesion between the acrylic panels has occurred. This is a cause that is generated based on different designs and structures, such as construction and finishing materials mainframe sealing materials, construction, coordination of the three principles of design appeared to be urgently necessary.
Currently, major SOC structures of Korea are necessary to multilateral inspection as aging very fast. In this study, SOC facilities' status of Korea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for calculating Korean representative rating. Also, after evaluation methods for rating of international facilities were researched, they were used as a base data for Korean representative rating.
The cut slope distributed in domestic, which have single horizontal extension over 200m and 50m of vertical height are classified into 2nd class facility by <Special Act On The Safety Management Of Structures>. Collapse of these cut slope occurs by thaw, rainfall, soil characteristics. Recently, frequency of small size cut slope collapse is increasing.
Accordingly, central government partially revised <Special Act On The Safety Management Of Structures> with the contents of expansion of 2nd class facility's scope and standard and it is expected to be an effective maintenance and management measures of cut slop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distribution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highway cut slope within the scope of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based on the status data of 2nd class facility (cut slope) to examine the maintenance status.
Steel structure such as steel bridges are severely affected by the corrosion, and thus has to be maintained by periodic inspection and repetitive painting. In this study, existing empirical models for the degradation of coating are reviewed which is used for evaluation of corrosion, and in addition applied to definition of the state inspection criteria and condition rating by further research.
Recently, a safety of the building has been issued. In this study,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licensing status of the building construction has been performed to check the trend of building construction. Finally,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would be helpful to improve of the building safety.
Durability and structural safety of steel structure are severely affected by corrosion caused by deicer material as well as by airborne chlorides in the marine environment. In this study, based on analysis of current status it is suggested that deterioration and durability reduction by the environmental factor such as chlorides should be more reasonably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the accurate inspection and condition evaluation of steel structures.
매화나무는 사군자 중의 하나로 절개와 지조를 상징해 선조들의 정신문화가 깃들어 있는 자연유산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매화나무는 아름다운 꽃을 감상하기 위한 관상용 화목이 아닌 과실을 수확하여 활용하고 이익을 창출하는 과수작물로의 특징이 부각되어, 무관심 속에서 상징성이나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 또한 유실수로서 다른 노거수들에 비하여 수령이 짧고, 상대적 규모가 작아 보존 ·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고사하거나 멸실 위기에 처해있는 노거수가 많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지정 매화나무노거수의 실태조사를 통해 현재 열악한 환경 속에서 고사 및 훼손되고 있는 상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그 중 우수한 자원에 대해서 는 천연기념물 · 시도 기념물 · 보호수 지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노거수의 생육상태, 관리실태, 수령, 자원가치 평가를 위한 정량화된 객관적인 기준의 부재로 보다 구체적인 평가기준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전국 매화나무 노거수 자원의 현황에 관한 기초자료의 부족으로 향후 다른 우수자원들에 대한 정밀한 연구는 추후 과제로 남겨 두기로 한다.
Disasters like mountain landslides and collapse in cutting areas claim many a life and cause economic losses, involving much effort and expenses for their recovery. This study has surveyed and analyzed incident of disasters that had occurred on the sloping sides in Korea for the past 13 years in an effort to relieve damage caused by disasters on the sloping sides. The analysis confirms that while the major cause of disasters on the sloping side was storms in the past, frequency of disasters on sloping sides caused by local downpour is steadily on the rise. In addition, while disasters were concentrated in Gangwon Province, a mountainous region of the country, frequency of disasters occurring on the sloping sides is steadily increasing recently on the sloping sides in downtown areas in Seoul, Gyeonggi-do and so forth, attributing a large percentage of disasters to sloping sides. Data survey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are thought to be applicable as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measures for the prevention of disasters occurring on the sloping sides in the days to come.
With the increase of visitors to rural tourism villages, the direct selling at sites is getting vitalized. Accordingly, their display stores is getting more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has selected 30 domestic rural tourism villages as study objects for the attitude survey of 200 farming suppliers and the site examination for the designs of those display stores in order to analyze their status and classify the types of necessity. Such operation status as sale item, sale method, method of supply and demand, major customer, sales scale, manager, opening hour, and operation cost were examined, to identity and for design factors the pattern, material quality and color were investigated. For the attitude of farming suppliers, the tactics of sales, the reason for being positive or negative, the functionality and the features of display stores were examined through brainstorming. IBM SPSS Statistics 20 Program was employed for Frequency, which indicated that village chiefs and store managers with the sales scale of 1 to 20 million won are dealing with female customers in their 40's and 50's and that those stores are open at the time of experience or year round without any operation expense. Permanent type and Fixed type were found to be the design factors of the display-case type with the material and the color of wood and orange respectively. The result of investigation analysis of farming suppliers' attitude showed the followings: the need of display stores is quite high, structure type and permanent type have high fitness and from the viewpoint of display-on-table type as a standard moving type was very convenient. The analysis of significant items at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display stores revealed that their locations, quality conservation, sanitation, users' convenience, designs and promotion are very important. The result of status analysis revealed that though there is a correlation among the types of display stores depending on the visiting season of tourists their installing is not desirable. Three types have been analyzed: Type 1 is a structure type only in the villages with continuous visitors, Type 2 a moving-table type only in the villages with temporary visitors and Type 3 is a fixed display-case type.
이 논문의 목적은 수업컨설팅에 관한 학문적․실제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수업컨설팅의 개념과 위상을 이론적 측면에서 검토하여, 그것의 이론적 완결성과 실천적 가치를 높이는 데에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업컨설팅에서 지향하는 교사 및 수업의 상(像), 좋은 수업의 조건 등을 바탕으로 수업컨설팅의 개념을 재정리하였다. 그리고 수업과 관련된 주요 활동(수업분석, 수업비평, 수업장학)과 수업컨설팅을 비교하여 수업컨설팅의 속성을 보다 분명히 하였다. 비교의 기준으로는 해당 활동의 목적, 주요 관련자, 주요 산출물, 원리, 방법 및 기법, 활동 결과의 공유 여부, 참여의 강제성, 절차 등이 활용되었다. 수업컨설팅의 개념과 위상에 관한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컨설팅은 “수업 관련 의뢰 과제를 해결하고 의뢰인의 수업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문성을 갖춘 교내외 전문가들이 교원을 중심으로 한 학교 구성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독립적인 자문 활동”이되, “학생의 참여와 배움을 핵심으로 하여, 수업의 기획, 의사소통, 상호작용 등을 기술적․예술적 요소로 나누어 분석․이해하고, 의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업을 학교컨설팅의 원리와 방법에 따라 수행”하는 활동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수업컨설팅과 여타 활동은 활동 목적, 주요 관련자의 특성 및 영향력, 활동 결과의 공유, 참여의 강제성, 모(母)개념의 성격 등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논의는 교사의 수업 개선 및 전문성 개발 기제로서 수업컨설팅이 가지는 가능성을 재확인하는 바탕이 될 것이다.
급격한 도시화는 토지이용 증가, 도시환경 파괴, 도시녹지부족 등 도시환경 파괴에 영향을 끼쳤고, 이에 따라 도시 내 환경개선 방안책의 하나로 도시농업이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도시민들의 도시농업에 대한 욕구 증대로 인하여 지자체에서는 도시농업과 관련된 조례 제정과 함께 도시농업 지원 및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타 지자체의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서울시와 경기도를 중심으로 도시농업에 대한 정책과 사례 등을 조사하였다. 서울시는 지속가능하고 환경친화적인 농업육성을 목적으로 2007년「서울시 친환경농업 및 주말・체험영농 육성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였고, 2009년에는 「서울특별시 보조금관리 조례」를 제정하여 텃밭농원에 대한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25개의 자치구 중 13개의 자치구에서 관련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중이며, 학교텃밭, 시민농장, 옥상텃밭, 주말농장, 주머니텃밭, 시민교육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경기도는 2011년「경기도 도시농업활성화 지원 조례」시행하였고, 현재 31개 시․군 중 12개의 시․군이 도시농업관련 조례를 제정 및 시행하고 있으며, 학교텃밭, 시민농장, 옥상텃밭, 주말농장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도시텃밭 등의 이용자 편의를 도모하고 지역주민의 참여를 높이기 위하여 경기도 도시농업지원센터를 설치·운영 할 예정이다. 서울시와 경기도는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하여 매년 도시농업과 관련된 사업을 유치하고 있으며, 도시농업과 관련된 교육을 실시하여 정보 제공 및 시민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서울시와 경기도의 적극적인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관심 부족으로 인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향후 시민들의 관심 증대를 위하여 도시농업의 홍보방안, 자발적 시민참여 유도방안 등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라 판단되며,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하여 지자체, 시민, 시민단체 등 민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정보교류 및 제공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