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5

        162.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8년 9월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에 의한 리먼브러더스 사태로 시작된 글로벌 금융위기가 세계 건화물해운시장에도 영향을 끼쳐 건화물 물동량 감소와 선박의 공급과잉으로 세계 건화물해운산업과 조선산업에 심각한 불황을 유발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제 경제의 동향에 민감한 한국경제의 구조 여건상 한국의 건화물선해운기업(또는 건화물선사)도 2008년 이후 현재까지 어렵게 경영을 헤쳐가고 있다. 이와 같은 심각한 불황과 그 여파로 건화물선사의 수익이 급감 할 수밖에 없게 되었으며 열악한 재무구조로 인해 경영이 부실해지고 급기야 도산과 파산하는 해운기업이 속출하게 되었다.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동 연구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2005년부터 2007 년까지와 그 후 2010년부터 2012년까지로 기간을 선정한 다음 한국의 외항 건화물 해운기업을 건전기업과 부실기업으로 구분하여 두 기업집 단 간의 주요 재무비율에 어떠한 변화와 차이가 있었는지 t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에서 두 집단 간에 차이를 보인 주요 재무비율 로는 수익성비율과 성장성비율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해운기업 경영에도 역시 재무건전성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 수익성이 높은 화물을 계약하는 영업전략이 중요하다. 둘째, 선박의 효율적인 운항 및 관리로 성장성이 지속되는 기업으로 경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163.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odel that supports the recipient country by using the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roject and at the same time fits the global start-up/employment support of donor country with CSV business model. Specifically, we wante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project based on the existing ODA projec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s the methodology, case studies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as well as literature studies. The case analysis is based on a press release of the entire KOICA's ODA project, which has been implemented for one year, based on 2017. After consideration, the actual results and future feasibility were analyzed.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enior Korean officials and Indian officials involved in Vietnam's ODA project. Results - As a result, some of the project cases appl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model of this study were judged to be highly potentia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s the model derived from this study pursues, the global business model is developed under the CSV (Creating Shared Value) strategy through ODA projects to support recipient countries and global start-up/employment support of donor country. The possibility of simultaneously pursuing this model based on CSV business model was also confirmed. Conclusions – In the past, free aid agencies like KOICA focused solely on supporting recipient countries, but in terms of sustainability, they could discover the potential of supporting the global start-up/employment of the donor country using CSV business model in ODA project.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otential possibilities in some ODA projects based on CSV business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KOICA ODA projects in 2017 and interviews, some ODA projects could be used to improve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recipient country as well as the global start-up/employment of the donor coun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ministries of the government to promote ODA projects to understand the framework that achieves these two objectives simultaneously and to promote ODA projects based on various strategic considerations.
        164.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급속히 진행되면서 타문화권 사람들과 상호협력을 통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 글로벌 리더십의 발달이 더욱 중요해졌다. 그러나 기존의 글로벌 리더십 연구는 주로 다문화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성과에 초점이 맞추면서 개인의 발달적 결과에 무심했다. 본 논문은 다문화 활동을 글로벌 리더십 발달을 위한 학습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경험 학습 이론과 문화지능 연구의 통합적 접근을 모색한다. 문화지능은 다문화 활동에서 구체적 경험, 반성적 성찰, 추상적 개념화, 적극적 실험 과정을 촉진한다. 다문화 활동의 ‘구체적 경험’은 글로벌 리더십에 대한 자기 효능감을 높이며, 타문화에 대한 ‘반성적 성찰’은 민족 상대주의 태도를 발달 시킬 수 있다. 다문화 활동을 통해 얻은 ‘추상적 개념’은 문화에 적합한 리더십 지식을 형성하고, 다문화 활동을 의식적으로 계획하고 실천으로 옮기는 ‘적극적 실험’은 유연한 리더십 행동을 발달 시킬 수 있다. 그러나 다문화 활동에서의 이러한 경험학습이 글로벌 리더십 발달로 전환되기 위해 서는 문화지능과의 결합이 필요하다. 문화지능이 높은 사람은 다문화 활동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 함으로써 글로벌 리더십에 필요한 긍정적 학습 결과를 더 많이 얻는다. 한편, 문화지능이 부족한 사람은 다문화 활동에서 발달적 이익을 얻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글로벌 리더십 발달을 위해서 는 다문화 경험학습을 통해 문화지능을 높이는 교육적 개입이 필요하다. 교사는 학생들이 다문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다양한 경로로 문화지능을 높일 수 있는 교육활동을 장려해야 한다.
        165.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글로벌 시대에 교사에게 새롭게 요구되는 글로벌 교육역량을 구체화하고, 해외교육 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글로벌 교육역량과 영어 의사소통능력의 변화를 살펴본 연구이다. 해외교육실습 프로그램은 국내 사전교육과 해외교육실습으로 구성되었다. 국내 사전교육으로 예비교사들은 글로벌 특강, 교수·학습 지도안 작성 및 시연, 영어 회화 수업을 수강했으며, 해외교육실습은 미국 중서부와 서부 지역에서 교육실습을 중심으로 2~3주간 실시되었다. 참여한 예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글로벌 교육역량 변화는 설문지와 예비교사들의 학습일지 및 소감문 자료, 영어 의사소통능력 변화는 사전, 사후에 실시한 영어 의사소통능력평가 결과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해외교육실습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실시한 글로벌 교육역량 변화 조사에서 예비교사들의 글로벌 교육역량은 모두 상승하였으며, 각 요인간 상관관계는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의 영어 의사소통능력은 20명 중 17명이 1단계에서 4단계 까지 상승한 것으로 분석되어 해외교육실습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해외교육실습 프로그램 전후에 글로벌 교육역량의 각 요인을 분석한 결과, 글로벌 교육이 해역량, 글로벌 교수능력,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의 평균이 눈에 띄게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167.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자의 개인적․자전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이 이야기는 내러티브 교육의 현재와 미 래에 관하여 거창한 담론이 아니라 일상적 삶을 엮은 것이다. 그러면서도 이야기의 전반이 ‘내러티브의 한국화’와 ‘이야기의 글로벌화’에 초점이 맞춰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주제에 진입하기에 앞서서 ‘삶의 나눔과 짜임’이라는 내러티브에 대한 나의 가설적 생각과 믿음에 다가가고자 먼저, 과거로 회귀하여 나 자신의 기억 잔상을 부상시켜 플랫폼으로 구성하여 보았다. 그리고 난 후, 그동안 한국에서 이루어진 브루너 및 내러티브 관련 연구를 내 나름대로 개관하여 그 대강을 정리하고 의미를 부여하였다. 마지막으로 내러티브 교육 연구의 방향은 이론 도입이나 소개에서 벗어나 우리 교육계에서 일어나는 내러티브 교육의 실제로 나가야 한다고 제안하고, 보다 구체적인 세 가지 전략을 제시하였다.
        168.
        2018.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계구조(체계)는 중국인 더욱이 중국법철학계가 당면한 문제를 인지하는 방식을 변화시키는 역사적 조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세계구조(체계)에서 중국법철학의 실질적 가치는 주체, 그리고 하나의 국제시스템의 형성과정에서의 중국관, 더 나아가 이러한 중국관을 통하여 주체적으로 세계체 계의 재구성에 주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냐에 있다. 이는 중국법치가 주체성을 견지하고, 동시에 적극적으로 국제적 담론에 참여하며, 서방가치의 맹목적 수용과 자국가치의 맹목적 추종간의 극단적 충돌을 피할 것을 요구한다.
        169.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3차 산업혁명 시대가 IT 발달이 가져온 자동화, 지식정보사회였다면, 4차 산업혁명은 IT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가져올 지능 정보사회로의 전환을 예견하며 고도화된 정보통신기술 인프라를 통해 생성, 수집, 축적된 데이터와 인공지능(AI)이 결합한 지능정보기술이 경제, 사회전반의 모든 분야에 보편적으로 활용됨으로써 새로운 가치가 창출되고 발전하는 사회를 의미한 다. 가상화는 현실세계와 가상세계와의 융합 현상으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이나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체험 기술이 발달하면서, 사회 경제 활동 전반이 가상화될 것으로 예측되는데 뷰티시장에도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기 술을 접목한 제품이나 서비스가 속속 출시되는 등 스마트 뷰티 열풍이 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증강현실과 가상현실 기술을 도입한 콘텐츠나 서비스가 고객의 제품 체험도와 만족도를 높이고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뷰티디자인의 확장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 품을 직접 만져보거나 발라보지 않고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AR 기술을 접목시켜 고객 편의성을 높이고 관련 기술을 접 목한 글로벌 제품과 미용 서비스, 마케팅 활용 등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뷰티와 테크가 연결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화장품의 콘텐츠 개발이 절실하고, 향 후 뷰티와 IT의 융합은 고객 맞춤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이라는 것을 도출하였다. 결국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증강현실과 가상현실 기술을 도입한 콘텐츠나 서비스들이 더욱 개발되어야 할 것이 며 이에 관한 연구를 통해 점차 필수 소비재로 인식되고 있는 변화하는 화장품시장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170.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he National R&D project which has been carried out since 2016 with governmental support.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echnical and economical competitiveness on cable bridge through providing total solution for the major field issues in overseas market. In this paper, methodology and promotion strategy of the study are introduced and future research plan is also explained.
        171.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학생 체험형 글로벌 교육기관인 대구글로벌스테이션에 파견근무를 한 교사 들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로서, 위와 유사한 기관에서의 파견근무에 관심이 있는 교사 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대구글로벌스테이션이 교육과정 실행자에게 시사하는 바를 고 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사의 파견근무 기관이 갖고 있는 특성을 소개하고, 선행연구를 조사하였으며, 파견근무 교사 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연구자 의 관찰 결과를 일지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파견근무에 관심이 있는 교사들 에게 유용한 내용으로 파견근무의 동기, 파견근무의 장점 및 단점을 제시하였고, 파견 교사들이 교육과정 실행자로서 갖는 장점 및 단점을 소개하였다. 현재 대구글로벌스테 이션 파견근무를 하고 있는 초등 교사들은 업무에 대한 열의와 영어 수업에 대한 능력 을 인정받아 선발된 인원들이므로,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경우가 많고, 부정적인 측면이 있더라도 극복하고자 노력하는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또한, 파견근무 종료 후 다시 현장에 돌아가 학생들의 영어 교육에 이바지하겠다는 마음을 기저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파견근무 경험이 교수학습경력에서 단절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 과정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신장시키고, 영어 수업력의 향상에 기여하는 부분이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172.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00년부터 최근 2016년 6월까지 월별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대표적 글로벌 운임지수인 발틱 건화물지수(Baltic Dry-bulk Index 이하 BDI)와 중국의 컨테이너 운임지수(China Container Freight Index 이하 CCFI) 간의 동조성을 분석한다. 경기변동모형 의 불안정성을 반영한 Engle-Granger 2단계 공적분 검정결과는 두 시장간 동조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과성 검정결과는 전세계 물동량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중국의 해운시황이 글로벌 운임시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실증분석결과는 해운시황 예측에 중국의 CCFI지수를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적합한가에 대한 답을 제시한다. 즉, 실무에서 중국의 운임지수 CCFI를 글로벌 운임지수 BDI를 대신하여 분석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으며, BDI 예측모형에 CCFI를 포함하는 것이 적절함을 의미한다. 이상 의 실증분석 결과는 산업간 동조성 분석을 해운산업의 경기변동에 적용한 사례로 향후 불안정한 글로벌 시황 예측에 중국의 경기변동 상황을 어떻게 고려하는 것이 적절한가를 제시한다.
        173.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디자인 실무와 디자인 교육의 밀접한 상호 보완을 통해 학생들의 실무능력을 향상시키고 글로벌 환경에서의 실무 프로세서를 디자인 교육에 적용하여 운영한 사례연구로서 글로벌 캡스톤 디자인을 활성화를 위한 논문이다. 글로벌 환경에 맞추어 선문대학교 학생과 미국의 브리지포트 대학교 학생간의 의사소통을 중시했으며 학기 중에는 쇼셜 네트워크를 통해 아이디어 발굴과 평가 및 조언을 교환하였다. 과목의 주제는 서울브랜드 개발로 정하고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대학 및 학과의 대외홍보 및 인지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져왔으며, 브리지포트대의 교육적 콘텐츠와 방법론을 이해하고 경험하였으며 이로 인해 글로벌 취업역량을 강화시켰다. 또한, 실무에 강한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고 실무교수진의 크리틱을 통해 글로벌 디자인 현장실무 프로세스를 경험하였다. 이로 인해 개인디자인역량강화를 시킬 수 있었다.
        174.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의 프리미엄 생수시장은 "웰빙", 프리미엄, 특별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경기불황에도 불구하고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글로벌 프리미엄 생수 브랜드를 지속적으로 구매하는 호의적인 태도인 소비동기요인기초연구로서 중국시장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동기요인을 정서적 차원 문항과 시각적 차원의 실증분석 문항으로 구성하여 생수 브랜드에 대한 호의적인 동기 요인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동기요인의 정서적 차원 문항인 가격은 7~9$가 적당한 것으로, 구입 장소는 프리미엄 생수이기에 호텔․ 레스토랑에서 구입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구입 시 고려사항에 대해서는 브랜드, 가격, 물의 성분, 디자인 순으로 나타났다. 시각적 차원의 실증분석 문항에 대해서는 용기 형태 디자인이 모던하고, 심플한 형태, 색상은 용기 형태와 차별화되는 무채색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라벨은 역사와 전통성이 있는 형태와 단순한 문자 형태가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77.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 세계적으로 재해대응에 대한 다양한 요구와 기술지원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방재분야의 국제협력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2012년 로스까보스 G20 정상회의에서 방재기술 및 평가기법의 이전을 통해 개도국 재난위험관리 역량 제고를 위한 선제적 투자지원을 협의했으며, 2014년 한·아세안 정상회담을 통해 한국의 ODA사업 중점협력분야에 방재분야를 추가하는 계획이 발표되기도 했다. 이는 지금까지의 재난관련 국제협력이 물류적 지원측면이 강했다면, 앞으로는 기술지원 및 공동연구를 통해 보다 전략적으로 시행되야함을 시사한다. 특히, 대규모 자연재난의 경우 한 나라의 피해가 다른 나라의 경제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자연재난분야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재난안전 신기술 해외보급(ODA)』을 소개하고, 향후 중점협력국 대상 방재분야 ODA사업의 추진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178.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계시장에서 다양한 생수가 제공되고 시장이 확대되는 것은 생수 브랜드에 대한 관심과 수요욕구가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브랜드이미지 인지를 명확하고 기능적이며 감성적인 가치 명품화를 하기위한 본 연구는 먼저 매슬로우의 욕구계층 이론 및 통합 마케팅 개념 이론 등 관련 문헌에 대하여 충분한 선행연구를 진행한 후, 욕구계층을 생수브랜드에 대한 통합적 마케팅(IB4P) 관점에서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출시된 10개 글로벌 생수 브랜드의 대상으로 IB4P의 전략 분석결과, Price 측면에서는 생리적 욕구 만족보다는 소속감, 즉 자기 존중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어야 하며, Place전략에서는 차별화 할 수 있는 새로운 판매 유통과 다양한 장소에서 판매가능 하도록 유통 환경을 개선하여야 하며, Product전략은 기존 제품과 차별화되는 병 용기 디자인, 색상으로 명품 고급화 제품이라 인식되어 자기존중, 사회적 존경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하며, Promotion전략은 몸에 유익한 물을 마신다는 경험을 제공하거나, 제품의 인지와 감성적 가치가 실현될 수 있다는 욕구가 충족 되어야 한다. IB4P 마케팅 전략은 생수 브랜드뿐만이 아니라 모든 제품 브랜드 이미지에 사용자단계별 욕구 형성을 통하여 통합적 4P요소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기초 토대를 마련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79.
        2014.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세계화 시대에 적합한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중국의 중학교 ‘역사와 사회’ 교과서 1종, 2권을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글로벌 다문화교육 관점에서 문화적 다양성에 따른 국가, 인종(민족 포함), 종교, 사회계층, 연령, 성별, 장애 등 일곱 가지 범주였다. 분석방법은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이다. 분석범위는 다문화교육 내용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문화 주제들이다. 이에 따라 다문화교육은 어떤 측면의 문화적 다양성을 주목하였고 어떠한 관점에서 다루어졌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의 다문화교육은 국가와 인종·민족의 다양성을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국가와 민족이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국가문화의 차원에서 ‘세계문화 백화원’을 제시하여 국제이해교육을 지향하였으며, 국내의 다민족·다문화 교육을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이러한 다문화교육은 글로벌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볼 때, 국제이해교육의 차원에 머물러 있는 수준으로, 국제이해교육과 다문화 교육을 통합시켜 다문화이해를 바탕으로 평등, 정의, 공존을 추구하는 글로벌 다문화교육과는 아직 거리가 있다는 한계를 보였다. 이상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다문화교육 내용을 선정할 때 고려할 사항들을 네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 다문화교육은 국가, 인종, 민족, 종교, 사회계층, 연령, 성별, 장애 등을 포괄하는 넓은 의미의 문화적 다양성을 반영해야 한다. 둘째, 다문화교육은 국제이해교육의 차원을 넘어서 다문화이해를 바탕으로 공존, 평등, 정의를 추구하는 글로벌 다문화교육의 차원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교육은 특정 단원·주제에 추가적으로 다루어지는 기여적 접근과 부가적 접근을 넘어서 변혁적 접근과 사회적 행동 접근으로 나아가야 한다. 넷째, 지방교육과정과 학교교육과정뿐만 아니라, 국가교육과정 및 이에 따른 교과서에서도 다민족교육을 반영할 필요가 있고, 또 중국에 거주하는 외국인도 다문화교육의 대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180.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구의 고령화, 기후변화의 심화 및 적응실패, 자원·에너지의 고갈, 정치·경제적 전략에 따른 국제 정세 변화 등의 재난을 둘러싼 거시환경 즉, 정치, 경제, 사회, 기술, 환경 분야의 다양한 메가트렌드들은 재난에 직·간접적 영향을 주면서 변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래재난의 다양한 모습을 예측하기 위하여, 글로벌 리스크에 대한 최근 국내 사회의 주요 이슈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은 시대에 따라 전 세계가 직면하는 리스크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경제·환경·지정학·사회·기술 분야의 리스크 조사 결과를 고찰 및 분석하여 매년 「글로벌 리스크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2 글로벌 리스크 보고서」에서 제시된 50개의 리스크 중 발생가능성과 파급효과가 높은 핵심 리스크를 선별하였고, 전문가 면담을 통하여 국내 영향력이 가장 큰 ‘기후변화 적응실패’와 ‘수자원 공급위기’를 분석 대상 리스크로 선정하였다. 이슈 도출을 위한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2012년 5월 1일~2013년 10월 20일의 연합뉴스 기사로, 두 리스크에 대한 국내 사회의 이슈를 파악하기 위하여 리스크와 관련된 문서들을 추출하고 주요 토픽을 분석하였다. 기후변화 적응실패’를 주제로 추출된 3,093건의 문서들은 ‘곡물가격 급등’, ‘홍수·태풍 거대화’, ‘이상기후와 폭염’, ‘전력수급 계획’, ‘기후변화로 인한 작물 피해’, ‘생태계 환경변화’ 등 총 6개의 토픽으로 분류되었고, ‘수자원 공급위기’를 주제로 추출된 6,160건의 문서에서는 ‘폭염으로 인한 수자원 위기’와 ‘4대강과 녹조현상’, ‘농산물 공급위기’, ‘수온 상승과 적조현상’, ‘전력수급 위기’, ‘상하수도 공급’, ‘가축폐사 피해’, ‘수질오염과 식중독’과 같은 총 8가지 유의미한 토픽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각 토픽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 키워드에 대한 빈도, 문서 수, 토픽 가중치 등의 정보와 기사 원문 검토를 통하여 토픽이 의미하고 있는 사회적 이슈를 파악하였으며, 재난과 연계될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에서 2010년에 발표한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에 따른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과 본 연구를 통해 추출된 토픽을 비교하여, 수립된 대책이 현재 국내 상황을 적절하게 고려하였는지에 대하여 검토하였고 그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이 주요 위험 주제에 대한 실제 국내 사회 이슈를 검토하여 정책 수립에 반영하는 과정은 더욱 현실적이고 체계적인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