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1

        161.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ating-out behavior patterns of youths, especially junior high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1600 questionnaire surveys were distributed and 1487 were used for analysis. In order to consider regional differences as well as overall characteristics of youths' eating-out behaviors, the subjects were evenly sampled from north Seoul, south Seoul, big cities, middle/small cities and small towns. As for the frequency of eating-out, 62.7% of respondents answered once to twice per week. For the can of more than 5 times of eating-out per week, the respondents from south Seoul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For the case of no eating-out, the highest frequency was shown from the small towns. As for the most frequently visited place for eating-out, 33.6% of respondents answered Korean style restaurants, and 17.6% Boon-sik(Sanck-bar). Regarding the preference of Korean style restaurants, the highest rate was shown from the residents of big cities. For the question of when they eat out, 89.6% answered dinner and 6.3% lunch. For the question about reason of choosing particular restaurants, 61.5% of respondents referred to tastes and 16.6% price. For the question of the most important reason of eating out, 52.6% point out 'meal solution' and 25.6% 'for meeting.' As for the people accompanied when eating out, 67.2% of the respondents answered family. For the cost of eating out per person, 45.7% of the respondents spent 2000-4000 won for lunch; 31.1% spent 5000-10,000 won for dinner; 33.7% of the respondents spent more than 20,000 won for the special events. Regarding the regional differences of eating-out cost, respondents from south Seoul tended to spend the biggest amount of money for lunch, dinner and special day.
        4,300원
        162.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한자로 된 지구과학 용어에 대한 고등학생의 이해 수준을 알아보는데 있다.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이 학습자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 대상 한자 과학용어를 선정한 후, 한글 표기형, 그림 표현형, 한글 · 한자 병행 표기형의 질문지를 개발하여 충북 제천시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면담법을 병행한 지필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형식적 논리 조작 수준의 학습자와 장 독립성학습자의 완전 이해의 응답률이 높았으며, 그림 기억 응답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자의 쓰임을 참고하여 개념 발전된 응답률이 높았으며, 그 쓰임이 부정적 영향을 미친 응답률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과학 교과서에 제시되는 지구과학 관련 영역의 한자 과학 용어를 학습함에 있어 한자의 음과 뜻풀이를 병행하고, 한자 과학 용어의 특징이 잘 나타나는 그림으로 표현할 시간적 여유를 학생들에게 제공하면 효과적인 한자 과학 용어 학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4,300원
        163.
        200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날씨와 기후' 단원에 대한 수업 후, 수업방법(설명식 수업과 발견식 수업)과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따른 학업파지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광주에 있는 남자고등학교의 1학년 185명과 남여공학고등학교의 1학년 18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 학생들 중 남자고등학교의 92명과 남여공학고등학교의 95명을 설명식수업집단으로, 그리고 남자고등학교의 93명과 남여공학고등학교의 94명을 발견식 수업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모든 학생들은 그들의 인지양식에 따라 장 독립적 학습자, 중간적 학습자, 장 의존적 학습자로 분류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지구과학 학습내용의 수업 3주일 후 학업파지검사에서 발견식 수업방법이 설명식 수업방법에 비해 이해와 적용영역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식영역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학업파지검사에서 장 독립적 인지양식의 학습자들이 장 의존적 인지양식의 학습자들에 비해 이해와 적용영역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파지검사에서 수업방법과 학습자의 인지양식 간의 상호연관성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4,000원
        164.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igh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and from its result, to suggest ways to reform environmental education. 1047 students from Seoul and Kyeongk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criteria of environmental literacy including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behavior. The result was analyzed and the factors which affect high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were explored. From this result, we made suggestions to improve environmental education as follows. First,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 should focus on knowledge criterion. Though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has been helpful for students to build environmental literacy in attitude and behavior criteria, its effect has not been good enough in knowledge criterion. Second, science education can enhance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Students who like science best and students who belong to science major classes were reported to possess better understanding in knowledge criterion. Also, students who like life science appeared to have a more positive attitude in environmental literacy. Third, informal education must be considered to form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In particular, the effect of mass media is inarguable. Thus, we should find a way to link formal education and informal education to improve environmental education. Fourth, high school students' interest in the environment must be encouraged since it is evident that higher interest would result in better outcome in environmental education.
        4,000원
        166.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질조사는 제7차 지구과학교육과정에서 지구과학을 배우는 학생에게 매우 중요하지만, 시간, 거리,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 실제로 학생들이 야외지질조사를 나가서 학습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제주도 송악산과 지삿개 일대를 선정하여 가상야외지질조사의 웹 컨텐츠와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자한다. 개발된 웹 컨텐츠는 주 메뉴, 부메뉴, 내용의 3 부분으로 구분하여 학습자가 쉽게 인식하도록 구성하였다. 기존웹 자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동영상과 탐구 학습지를 학습자에게 제공하였고 웹 컨텐츠는 실제 야외지질조사에서 얻을 수 있는 내용을 체험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4,000원
        167.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광물과 암석에 대해 고등학생들이 얼마나 흥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 · 분석하여 광물 및 암석 단원의 학습에 시사점을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북 및 제주 지역의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생 783명(남학생: 429명, 여학생: 35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광물과 암석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호기심 정도의 조사 결과, 우리 주변에 있는 광물이나 암석에 대한 관심과 관련하여 많은 학생들이 흥미가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단원에 대해 전체적으로 여학생들이 남학생보다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여학생들이 남학생 보다 더 흥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71.
        200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STS 학습 프로그램의 적용이 실업계 고등학생의 과학과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공통 과학’ 중 지구과학 영역을 선택하였고, STS 학습 프로그램을 1년 간 경북 구미시의 실업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 6개반(318명)을 대상으로 하여 교수-학습에 적용하였다. 이런 과정에서 STS 학습 프로그램에 필요한 학습 보조 자료들도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그 결과 STS 학습 프로그램의 적용 후가 적용 전보다는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및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75.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482 subjects(278 boys and 204 girls in Seoul and Kyunggido area) to find out the attitude and eating behaviors about Kimchi on Korean young generation. General characteristics about subject and attitude and eating behavior were surveyed by self-developed questionnaires. 85.9% of the subjects were nuclear family type and 49.9% of respondent's mother had full-time job and 96.1% of subjects were middle or upper economic status. The preference for Kimchi, 60.4%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liked Kimchi. According to grade, the rate of preference about Kimchi was significantly different, higher grade students were found higher preference on Kimchi : 64.4% of middle and 70.4% of high school students liked Kimchi. The eating patterns of Kimchi, up to 60% of respondents answered they ate Kimchi in every meal time, which suggested that it was still an important side dish in Korean meal among teenagers. The eating behaviors on Kimchi, 85~90%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preferred Kimchi in meal time. Baechu Kimchi(chinese cabbage Kimchi) and Gakdugi(radish cube Kimchi) was highly preferred. And their preference of food which made from Kimchi (such as Kimchi fried rice, Kimchi stew, Kimchi pancake) was highly evaluated. 65.6% of residents pointed out that 'Kimchi is very nutritious food'. The respondent's structure of value on Kimch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sex and age. But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ce(p〈0.01) between the groups with preference and familiarity on Kimchi. The group had higher preference and familiarity on Kimchi agreed to the positive values about Kimchi. These result suggested that various kinds of Kimchi should be developed for young generation to meet their taste and also continuous nutrition education about traditional food especially Kimchi should be promoted at home and school.
        4,600원
        177.
        199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high school students' consumption pattern of Korean rice cakes and to analyze the preference of them by students' demographic backgrounds. Self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672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parts including demographic backgrounds, student's consumption pattern and preference of Korean rice cakes by type.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the SPSS/PC program for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d 2 test. Approximately half of the students were male(52.6%) with the average age of 16.7 The consumption frequency rate showed that 41.6% students had Korean rice cake once a week followed by once or twice a month(39.1%), once per six months(11.0%), and once per two months(8.3%) Ingeolmi received the highest preference score(4.28), whereas Duteopteok had the lowest score(0.18).
        4,000원
        178.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STS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학습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에 따라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눈 뒤, 약 6주 동안 실험집단은 본 연구자가 개발한 ST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은 강의 중심의 전통적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있어 실험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더 긍정적인 방향으로 태도가 향상되었고, 과학학습 성취도에 있어서도 실험집단이 더 높은 성취도 향상을 나타내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