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검여 유희강은 광복 이후 한국 서단에서 많은 영향력이 있었던 서예가 중 한 사람이다. 그는 가학과 신학문 교육기관 및 중국 유학 등을 통해 서예의 기초를 형성하였다. 또한 소탈하고 겸허한 인품으로 사람 만나기를 좋아하였고, 서예뿐만 아니라 예술 전반에 걸쳐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교유하며 학문 세계를 추구하였다. 그는 한학자ㆍ서지학자ㆍ시인ㆍ소설가ㆍ미술평론가ㆍ화가ㆍ전각가ㆍ미술애호가 등 넓은 인맥을 통해 학문ㆍ문화ㆍ예술 등에 대한 자외공부를 넓혀나갔던 것이다. 따라서 그의 서예는 단순한 서사 기능을 넘어서 ‘문자향ㆍ서권기’를 갖추는 경지에 이를 수 있었다. 이러한 검여의 교유에 대해 서예ㆍ한학ㆍ문학ㆍ 회화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검여의 사숙에 대해서는 첩학서예와 비학서예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는 첩학서예를 연마하면서 비학서예를 더욱 추구하였다. 그의 작품을 보면, 유용ㆍ황정견ㆍ소식ㆍ조지겸ㆍ등석여ㆍ강유위ㆍ포세신ㆍ김정희 등을 흠모하고 사숙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는 이들의 글씨뿐만 아니라 정신까지도 추구하였고, 이를 통해 자신의 개성 있는 서예 풍격을 형성해 나갈 수 있었다. 교유와 사숙이 검여 서예에 미쳤던 영향을 정리하면, 비첩병용ㆍ법고 창신ㆍ금석기ㆍ혼박웅일ㆍ필법입화ㆍ자외공부ㆍ불굴쇄신 등이다. 검여는 한국 서단에 북위서풍의 새로운 세계를 열어주었고, 금석기를 추구하여 김정희의 맥을 이어 나갔으며, 좌수서의 불굴쇄신 정신으로 후학들의 사표가 되는 서예가라 하겠다.
        6,700원
        2.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survey the creation process of female figure as a whole by linking features of female association depending on Shen cong wen's creation perio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figures of each time. Female figures at the first creation period are, in many cases, just passive subjects looked into the eyes of the male writer. This is largely because of a woman named Ma, Yao Mei, and Ding ling, who were those Shen associated when he first started writing literatures. They were women who hided their true colors of wicked women under the veil of positive image of girl and seem to have a huge impact on the creation of female figures by Shen at the initial stage of his literature creation process. At the second period, female figures in his literatures are varied and colorful. There are novels in which a woman is a main character and stories, in many cases, are delivered from a point of view of a woman. Ding ling and Zhang zhao he associating with Shen at that time had a great impact on this. Literatures by Shen in this period were a dedication for the love and friendship with friends and lovers. Female figures at the third period have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sometimes it is too ordinary and plain, and others it is too abstract and difficult. Thi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association with women did not directly motivate his creation at that time due to the reality called marriage and a special circumstance: war. But, in this period, he was absorbed in creation to capture the lively motion and beauty of life that he had constantly envisioned. In conclusion,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association with women and female figures, the author has been able to identify the meaning of coincidence and women when it comes to creation, as the way he had expressed. His creative tendency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women he was in association with each time and the female figures did not stray from the shadows of women he was in association with. This feature on the creation of literatures by Shen suggests that his literary world and female figures are to be interpreted and studied in various ways in the fields such as eco-feminism and gender psychology.
        5,200원
        4.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9,000원
        5.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000원
        6.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月川學團의 초기 성격을 살피기 위해 조목의 합천지역 교유인물과 조목에 대한 도산서원 종향 과정을 고찰한 것이다. 조목은 1598년 1월부터 2년 5개월 동안 합천 군수로 재임하면서 지역 학자들과 교유하였는데, 합천이 來庵 鄭仁弘의 지역적 기반이었던 만큼 정인홍의 문인들을 중심으로 교유가 이루어졌으며, 특히 조목이 尤谷齋에서 『心經講錄』을 강학하면서 이 지역에 퇴계의 학문이 전수되기도 하였다. ‘조목과 정인홍 문인들의 친연성을 월천학단에서는 어떻게 받아들였는가’하는 문제는 󰡔월천집󰡕 판본 비교를 통해 그 대략을 확인할 수 있다. 초고에 해당하는 필사본과 1666년 간행본의 내용을 비교‧검토해 보았을 때 필사본에 수록된 합천과 관련된 기록들이 간행본에는 모두 산삭되어 있었다. 더구나 간행본에는 남명을 추모하는 내용의 「聞曺南冥訃」가 산삭되고 정인홍을 강도 높게 비판한 「偶見仁弘南冥集跋語」가 수록되었다는 점에 주목하면, 간행본의 정리 과정이 정인홍과 그 문인들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에서 진행되었으며 이와 반대로 초기의 필사본은 수용의 입장에서 정리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한편 조목 사후에 그를 도산서원에 종향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啓請과 종향·배향에 대해 향촌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종향이 지연되다가 金中淸이 조정에 나아가 직접 啓請을 준비하면서 빠르게 추진되었다. 때문에 종향을 비판하는 일부 인사들은 대북파의 지원이 있었다고 의심했지만, 또한 그것을 확신하지는 못했다. 이 글에서는 대북파와 대립 없이 종향이 공론화 될 수 있었던 데에는 정인홍의 문인들과 친연성을 보이는 조목의 교유활동에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고 보았다. 정리하면, 조목 사후 초기에 조목의 문집을 정리했던 문인들은 조목과 정인홍 문인들과의 친연성을 수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종향을 추진하여 대북정권 내에서 무리 없이 공론화 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7.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月村 河達弘은 19세기 강우지역에서 활동했던 학자이다. 그는 실용 을 중시하는 학문경향을 가지고 南冥 曺植과 謙齋 河弘度를 존숭하며 慕寒齋에서 강학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로써 인근의 학자들을 운집시키 고 그들에게 남명학파로서의 의식을 고취시켰다. 이때 月皐 趙性家ᆞ 溪南 崔琡民ᆞ東寮 河載文ᆞ克齋 河憲鎭ᆞ斗山 姜柄周ᆞ尼谷 河應魯 등이 그의 문하에서 종유하였다. 이후 조성가와 최숙민은 하달홍의 인도 아래 보다 체계적인 학문을 위해 노사학단에 나아가 奇正鎭에게 수학하였다. 한편 하재문과 하헌 진은 본거지로 돌아가 寒州 李震相과 교유하였고, 강병주와 하응로는 性齋 許傳에게 나아가 집지하였다. 조성가와 최숙민이 노사학단의 핵심인물로 자리매김한 것에 비해 하재문이 한주학단에서나 강병주가 성재학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그 리 크지 않다. 그러나 이들 모두는 남명을 존숭하고 학문의 실천성을 중시하는 남명학파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통해 두 가지 사실을 알 수 있는데, 하나는 하달홍의 모한재 강학이 남명학파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는 것과, 다른 하나는 하달홍이 노사학파와 친밀성이 깊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하달홍은 19세기 하동과 인근 강우지역의 문인들에게 남 명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고 보다 큰 학문을 접할 수 있도록 발판의 역할을 해 주었으며, 이를 통해 그 문인들은 남명학파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각자의 학문을 발전시켜 나갔던 것이다.
        8.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한말과 일제시대에 주리론과 위정척사사상을 고수하였던 의령의 입암 남정우의 교유관계와 학문세계를 분석한 것이다. 입암은 영남의 盧沙 학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로서 寒洲 학파의 인물과 교유가 깊었기 때문에, 한말 유학계를 대표하는 두 학파의 상호교류나 학설의 발전을 살피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 입암은 노사학맥에서는 노백헌 정재규, 農山 鄭冕圭, 한주 학맥에서는 俛宇 郭鍾錫, 弘窩 李斗勳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이에 그의 성리설은 노사학설과 한주학설이 종합되어 나타난다. 그는 노백헌과 농산의 학설을 한주의 학설과 동일한 心卽理와 理體理用으로 이해하였다. 한주의 심즉리설은 본래 노사의 리주재와 이일분수의 관점을 보다 발전시킨 것이기 때문에 노백헌이 한주의 설을 수용하는데 큰 무리가 없었다. 입암은 허령도 아예 리로 이해하여 노백헌의 심설에서 논란이 되었던 리의 작용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에 입암의 심성론은 곧바로 기의 작용을 중시하였던 夷川 南昌熙 등에 의해 심은 기로 보아야 한다는 반박을 받기도 하였으나, 노백헌의 뒤를 이었던 농산이나 송산 등의 지지를 받아 심즉리설이 노백헌의 정통설로 굳어지게 되었다. 또한 입암은 심을 리의 차원으로 이해하였기 때문에 敬을 통해 인심을 억제하고 도심을 온전히 발현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는 매사에 선악을 구분하여 절대선을 지향하고자 하였으며,예설에서도 명분이 바르지 않으면 의리에 부당하다고 하여 명분에 입각한 예설을 따랐다. 이러한 입암의 학문은 주자와 노사, 노백헌의 학풍을 계승하여 이기, 심성에서의 주리설과 경을 통한 수양을 중시하였으며, 사상적으로는 衛正斥邪를 고수하였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