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oldest feng-shui book 『Janggyeong(葬經)』. Specially, it is a focus on the feng-shui orientation method so called Sasepalryongbub(四勢八龍法) in that book. This method is to identify fortune and misfortune with the directions to be measured by a feng-shui compass. Sa(四) of Sase(四勢) is the four pieces of direction of dividing 12 parts for 360 degree circle. To divide for 12 parts is related with 12-Jiji(地支). Sa mean In(寅), Sin(申), Sa(巳), and Hae(亥). Se of Sase means a large stem of mountain. Generally, Sase are the big mountain stems of the four directions as In, Sin, Sa, and Hae. Pal(八) of Palryong(八龍) mean the 8 parts of equal division for 360 degree. It is related with Palgoe(八卦) that divide for 8 parts equally. Palgoe are Jin(震), Li(離), Gam(坎), Tae(兌), Geon(乾), Gon(坤), Gan(艮), and Son(巽). Ryong(龍) of Palryong(八龍) is a stem of mountain that is measured with 8 parts of equal division feng-shui compass. Sasepalryongbub make a connection between Sase and Palryong. When they are connected, it is a good fortune like as In(寅) and Li(離), Sin(申) and Gam(坎) or Gon(坤) or Gan(艮), Sa(巳) and Tae(兌) or Geon(乾), Hae(亥) and Jin(辰) or Son(巽). It is based on two theories. The one is 12-Unseongron(運星論), the other is one of Ohaengron(五行論) as Samhap-Ohaeng(三合五行). 12-Unseongron begins from dividing all human life affairs with 12 steps. Saeng(生), Wang(旺), Myo(墓) are the very important things among 12 steps. Saeng means starting, Wang means flourishing, Myo means keeping. Samhap-Ohaeng is made with Jiji of Saeng, Wang and Myo steps about 12-Unseongron. Saeng is the most important thing among of Saeng, Wang and Myo in Sasepalryongbub which means birth. Saeng of Jiji direction can help Palgoe direction as a counterpart. Like this, the good relation of Sase and Palryong is that Jiji direction can help Palgoe direction. For example, there are In(寅) of Jiji and Li(離) of Palgoe, can be explained as these kinds of the good relations. In view of Samhap-Ohaeng, In of Jiji is regared as Saeng of fire(火). This fire– Saeng- In as Jiji can help fire- Li as Palgoe. It can be said as a good condition that Sase and Palryong be connected like this case. This is the main content of Sasepalryongbub as being treated in this study.
        5,100원
        2.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에서 필자는 一齋 李恒(1499~1576)과 思庵 朴淳(1523∼1589)의 理氣論 내용 및 특징을 비교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들의 철학이 호남학파로서의 성립 가능성이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조선전기의 리기론의 전개와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조선 전기의 리기론은 주로 太極에 대한 존재론적 해석에서 이견이 생겼고, 이를 중심으로 학파가 형성되었다. 다음으로 一齋의 태극론과 리기론을 연구하였다. 일재의 리기론 또한 그의 태극론에 기초하며, 周濂溪의 「태극도설」의 요지를 충실하게 따르고 있음을 알아보았다. 특히 일재가 주장한 리기의 不離不雜과 ‘一而二, 二而一’은 栗谷 李珥(1536~1584)의 리기론과 같은 맥락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思菴의 태극론과 리기론을 검토하였다. 사암은 기본적으로 화담의 기철학에 기초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암은 율곡과의 논변에서 태극 이전에 太虛라는 원초적 기가 있다고 보았다. 사암과 율곡의 논쟁의 핵심은 ‘太極生兩儀’의 해석에 있음을 알아보았다. 여기서 사암은 태극으로부터 음과 양이 생겨난다고 해석하였고, 율곡은 음과 양이 태극 속에 내재해 있으면서 태극의 작용에 따라서 그것이 현상으로 드러나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상의 과정에서 일재와 사암을 중심으로 하는 호남학파의 성립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율곡의 성리학과 호남학파는 상호 연관성과 함께 차별성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조선성리학의 깊이와 외연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3.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溪南 崔琡民(1837-1904)은 기정진의 제자이자, 다양하게 전개되어 온 기호 학맥의 끝자락을 장식한 인물이다. 특히 그는 그의 스승 기정진과 함께 율곡학 파에 귀속되긴 하지만, 그의 성리학적 구도는 율곡학이나, 이이의 시각을 수정 없이 그대로 계승한 계열과 많은 차별성을 보여준다. 이 논문의 목적은 최숙민 의 성리학이 어떤 측면에서 율곡학의 관점과 차별성을 보여주고 있는지 그의 리기론과 심성론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확인하는 데 있다. 아울러 그러한 차별성 에도 불구하고 그가 왜 여전히 율곡학파의 일원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 그리고 그의 성리학이 조선성리학의 전개사에 있어서 어떤 좌표에 위치해 있는지를 분 석하고 있다. ‘氣發理乘一途’와 ‘심은 곧 기(心卽氣)’라는 명제로 요약될 수 있는 이이의 성리학이 떠안아야만 했던 치명적인 약점은 바로 성리학의 궁극적인 목 표였던 ‘도덕실천의 필연성’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는 것에 있었다. 그리고 이 렇듯 이이가 남겨둔 문제는 이이의 후계자들이 어떤 형태로든 해결해야 할 과 제이기도 하였고, 율곡학파의 전개사는 곧 이 문제에 고민하며 그 답을 찾아가 는 과정이기도 하다. 최숙민의 성리학에는 율곡학파 300년의 고민이 담겨져 있 다. 그 고민의 결과가 리기론에서는 주리적인 성격의 강화로, 심성론에서는 ‘심 이 곧 리(心卽理)’라는 명제로 나타났다. 물론 이것은 최숙민의 문제해결 방식 이다. 그리고 그의 철학체계는 혹 또 다른 문제를 낳을 수 있겠지만, 최소한 율 곡학파가 고민하던 문제에 대해 그 나름의 해결책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 의를 가진다.
        4.
        200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朝鮮朝的高峯奇大升是一位?有名的理學家, 也是一位有名的官僚. 他是代表韓國西南地區湖南的「通儒」, 對禮學也做了探入細致的硏究, 尤其是與朝鮮大儒李退溪關於四端七情做了一大論辯, 由於這論辯他就名滿天下. 這篇文章探討的主要內容有二: 前半詳敍奇高峯的一生及做人, 後半分析與李退溪的四端七情論辯. 我認爲奇高峯的一生及做人受到父親奇進和叔父奇遵和兒子奇孝會這三個人的影響. 爲了儒家義理用功讀書, 爲了公義實現奮鬪努力, 這就是奇高峯受到這三人的影響而表現的士人精神. 對於退溪與高峯的四端七情論, 我去區分兩個時期: 一是胚胎期(自一五五三至一五五九年), □外一是論辯期(自一五五九至一五六六年). 在一五五三年李退溪修改秋巒鄭之雲所作〈天命圖〉, 以後包?奇高峯一些理學家關於?著作的學術內容繼讀討論, 至於一五五九年李退溪和奇高峯第一次相面, 之後, 開始四端七情論辯 李退溪基本上維持他所?「同中有異, 異中有同」的看法, 奇高峯則不?認退溪的這種看法. 這篇文章却整理出奇高峯不同意李退溪的九個項木, 來考察四端七情論辯的開展及未解決的諸問題. 實質而言, 李退溪一直堅持「對說」的看法, 奇高峯則一直堅持「因說」的看法, 於是, 兩人互相不同的看法便根本不能統一. 但是, 這論辯的意義非常大, 兩人的四端七情論辯便提高朝鮮性理學的水平, □?影響朝鮮性理學的羅輯性和合理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