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

        1.
        2023.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췌장 가성동맥류는 췌장염이나 췌장 수술과 연관되어 종종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다. 췌장 가성동맥류가 파열되면 치명적인 출혈을 유발할 수 있으며 높은 사망률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임상적 의심과 조기 진단이 환자의 임상 경과를 호전되게 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성동맥류의 치료법 중 하나로 알려진 색전술은 효과적일 수 있으나, 췌장염과 관련된 가성동맥류 파열 환자의 색전술 치료 결과에 대한 국내 연구는 적다. 이에 췌장염으로 인한 가성동맥류 파열을 진단받고 색전술로 성공적으로 치료받은 환자들에 대한 증례를 보고한다.
        4,000원
        2.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search on the efficacy of chemical treatment as an effective method for reducing mycotoxin in rice straw silage. As a chemical treatment method, ammonia and sodium hydroxid were treated at 4% level of rice straws contaminated with mycotoxin, and the effects of silage storage on fungal toxin reduction, fermentation quality, and fiber digestion were evaluated. Aflatoxin B1, B2, G1, G2 and fumonisin B1, B2 as well as deoxynivalenol were not detected in all experimental groups, and ochratoxin A and zearalenone were detected. Ochratoxin A was detected lower in the chemical treatment than control (41.23 g / kg) (p<0.05). Zearalenone showed lower results in sodium hydroxide treatment (297.44 μg / kg) than control (600.33 μg / kg) and ammonia treatment (376.00 μg / kg) (p<0.05). The pH of rice straw silage was the lowest in ammonia treatment and the highest in sodium hydroxide treatment (p<0.05). The lactic acid contents of control and ammonia treatments were similar, but sodium hydroxide treatment was the lowest (p<0.05). Propionic acid was higher in the control than in the chemical treatments (p<0.05), and showed similar contents in the ammonia and sodium hydroxide treatment. Both the rumen microbial degradation rate of NDF and ADF showed the highest in sodium hydroxide treatment, followed by ammonia treatment, and the control showed the lowest level (p<0.05).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monstrated to have a good effect on the treatment of ammonia and sodium hydroxide to reduce the mycotoxins and increase the rumen microbial degradation rate in the rice straw silage. Sodium hydroxide treatment was more effective in reducing mycotoxins and improving fiber degradation rate than ammonia treatment, but it is thought to have an inefficient effect on silage fermentation in rice straw silage.
        4,000원
        3.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seudolymphoma or benign lymphoid hyperplasia is an uncommon benign lymphoproliferative lesion that occurs very ralely in the oral mucosa, most commonly in the hard palate. It is important to differentiate between malignant lymphoma and pseudolymphoma with similar clinical and morphological symptoms. Clinically, pseudolymphoma is a firm, painless, nonulcerated, nonfluctuant, slowly growing mass or swelling on the one side of the palate. However, lymphoma at hard palate is unilateral, and some are hard, painful, or show evidence of bone destruction. The treatment of pseudolymphoma is local excision.
        3,000원
        4.
        2018.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내시경 초음파 유도 가는 바늘 생검은 췌담도 질환의 진단 영역에서 잘 알려진 안전한 시술이다. 심각한 천공, 췌장염, 출혈, 감염의 합병증은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시술 후에 발생한 지연성 출혈의 보고는 매우 드물고, 시술 후 가성 동맥류으로 인한 지연성 출혈의 보고는 저자가 알기로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저자는 췌장의 고형성 병변에 대한 내시경 초음파 가는 바늘 생검 후에 발생한 위십이지장 동맥 가성 동맥류로 인한 지연성 출혈을 보고한다. 68세 남자 환자가 췌장두부에 15 mm 가량의 종양으로 시술 10일 후에 흑색변을 주소로 재방문 하였다. 당시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고, 2 cm 가량의 조영증강의 둥근 병변이 췌장의 두부에서 확인되었고, 조직 검사 결과는 악성을 시사하지 않았다. 환자에게 추가 검사를 위하여 입원을 권유하였으나 거부하였다. 12일 후에 환자는 반복되는 흑색변을 주소로 응급실에 재방문하였다. 혈관조 영술에서 위십이지장동맥 가성동맥류 소견 및 코일 색전술을 시행한 후 성공적으로 지혈하였다. 환자는 유문 보존 췌십이지장 절제술을 받았고, 병기는 IIB 췌장암으로 진단되었다.
        4,000원
        5.
        2018.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췌장의 동정맥 기형은 주로 췌장의 두부에 생기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주 증상은 위장관 출혈이며, 치료는 일반적으로 침 범된 기관 또는 부위의 완전 절제이다. 저자들은 급작스런 복통으로 내원하여 췌장미부에 동정맥 기형이 진단된 64세 남자 환자의 임상소견과 수술적 치료경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췌장 컴퓨터단층촬영과 자기공명담췌관 조영술 상에서 췌장 미부에 다발성의 혈관생성을 동반한 동정맥 기형에 합당한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인접한 근위부 췌장에 낭성병변 동반소견이 보였다. 같은 시기에 시행한 상장간막동맥 혈관조영술 에서도 췌장미부에서 동맥영상 조기에 간문맥이 관찰되는 동정맥 기형 소견이 보였다. 치료는 복강경하 원위부 췌장 절제 및 비장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조직검사에서 췌장 미부에 동정맥 기형에 합당한 소견과 근위부에 가성낭종의 소견이 보였다. 환자는 수술 후 1주만에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4,000원
        6.
        2018.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배경/목적: 췌장 가성 낭종은 급성과 만성 췌장염의 흔한 합병증이다. 내시경 초음파를 통한 배액술은 여러단계와 여러장비들이 필요하다. 모든 병원에서 선형초음파내시경 기계 및 투시영상 검사실을 같이 갖추진 못하고 있다. 우리는 투시영상없이 초음파내시경을 통한 췌장가성낭종의 배액술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초음파내시경을 통해서 가성낭종의 배액술을 시행한 10명의 환자를 분석하였다. 경위적 접근법을 통하여 시행하였으며, 1개 혹은 2개 의 7Fr 이중돼지꼬리 플라스틱 배액관을 사용하여 배액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기술적 성공률은 100% 이며, 임상적 성공률은 80% 였다. 2명의 환자에서는 내시경적 배액술로성공하지 못하여, 경피부배액술을 시행하였고, 수술적치료 없이 호전되었다. 3명의 환자에서는 합병증이 발생하였다(출혈, 감염, 스텐트 이탈). 평균 36.5개월을 추적관찰하였을때 가성낭종이 재발한 환자는 없었다. 결론: 투시영상없이 초음파내시경을 통한 췌장 가성낭종의 배액술은 췌장가성낭종의 치료에서 안전하고, 기술적으로 가능하며, 효과적인 방법이다.
        4,000원
        7.
        2017.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간의 혈류는 간동맥과 간문맥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간경색은 비교적 드문 질환이고 특히 수술이나 시술 등의 합병증으로 인한 간경색이 아닌 만성 췌장염에 의한 간경색은 더 드물다. 본 저자들은 평소 술을 자주 마시는 만성 췌장염 병력이 있는 31세 여자 환자가 복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만성 췌장염에 병발된 간경색과 하췌십이지장동맥의 가성동맥류를 진단하였고 헤파린 투여 및 코일색전술을 통하여 치료에 성공했던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한다.
        3,000원
        8.
        2016.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간의 염증성 가성종양(inflammatory pseudotumor)은 조 직학적으로 형질세포의 침윤 및 반응성 섬유성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양성 질환이다. 이는 악성 종양과의 감별이 쉽지 않다. 저자들은 간내 담도암으로 오인된 염증성 가성종양 1 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74세 남자가 1-2주 전부터의 근육통과 황달이 있어 입원하였다. 진행한 복부초음파, 복부 전산 화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에서 간내 담도암으로 생각되었으나 간 조직검사에서 염증성 가성종양으로 진단되었다. 항생제 사용 및 보존적인 치료 후 증상이 호전되어 퇴원하였고 이후 추적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병변은 사라졌다.
        4,000원
        9.
        2016.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증례는 췌장 가성동맥류가 췌관 내로 노출되어 있던 드문 경우로, 소분지 혈관에서 발생하여 혈관조영술로 기시 혈관 확인 및 색전술이 어려워 수술적 치료가 필요했던 점에서 기존에 보고되었던 증례들과 차이가 있어 보고한다.
        4,000원
        10.
        201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번 증례를 통해 혈액 담즙증의 원인으로서 혈관 병변을 간과해서는 안되며 신속한 색전술에 이은 담낭절제술을 통해 성공적인 치료를 시행할 수 있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 한다.
        4,000원
        11.
        201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ranch duct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s (BD-IPMNs) are characterized by cystic dilation of secondary ducts clearly communicating with a normalsized main pancreatic duct and seem to have a less aggressive clinical course than those arising from the main duct. BD-IPMNs are related to pancreatitis but the causal relationship is unclear. We report a case of a 62-year-old woman initially thought to have pseudocysts complicated by idiopathic recurrent pancreatitis but was finally diagnosed with BD-IPMN leading to recurrent acute pancreatitis attacks. The patient had six episodes of acute pancreatitis over 5 years. An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scan revealed two cystic lesions of 2.0 and 1.5 cm in the pancreatic body, which appeared at the second episode of acute pancreatitis. Each pancreatitis episode improv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but the cystic lesions increased in size to 2.5 and 3.5 cm during the late follow-up period. A distal pancreatectomy was performed under the diagnosis of recurrent pancreatitis caused by BD-IPMN. The pathological findings revealed BD-IPMN with moderate dysplasia. We herein present a case of BDIPMN mimicking pancreatic pseudocysts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4,000원
        12.
        201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번 증례처럼 비장 동맥의 가성동맥류는 때로는 발견하 기가 어렵고 생명을 위협하는 대량의 위장관 출혈을 야기할 수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혈관조영술로 진단 및 성공적인 치료를 시행할 수 있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4,000원
        13.
        201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발프로산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항간질제로서 약제 유발성 췌장염의 흔한가능한 원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 러나 발프로산 유발성 췌장염의 유해사례로서발프로산 유 발성 췌장염의 국소 합병증으로서 췌장 가성낭종은 매우 드 물며 주로 소아청소년기에 호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이로 인한 발프로산 유발성 췌장염에 병발된 출혈성 가성낭종 은 보고된 증례가 없을 정도로 드물다. 이에 본 저자들은 발 프로산을 복약한 후 발생한 급성 출혈성 췌장 가성낭종을 경 피적 배액술로 성공적으로 치료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4,000원
        14.
        2014.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췌장 가성 낭종의 종격동 침범은 매우 드문 췌장염의 합병증이다. 췌장염 환자가 비전형적인 흉통이나, 호흡곤란, 삼킴곤란 등을 호소하면 이 질환을 의심해 봐야 한다. 종격동 췌장 가성 낭종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빠른 진단과 적절한 처치가 중요하다. 비록 현재까지 제한적으로 시행된 시술이지만, 종격동 가성 낭종에서 초음파 내시경 유도 배액술은 기술적으로도 가능하고 외과 수술보다 덜 침습 적이며 효과적인 배액술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종격동 침범 가성 낭종의 치료를 위한 다양한 내시경 배액법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4,000원
        15.
        201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leeding from pancreatic pseudocyst is a rare complication. Furthermore, massive upper gastrointestinal (GI) bleeding from gastro-cystic fistula formation and intracystic bleeding are both extremely rare and are also potentially fatal. A 53-year-old male was referred to the emergency room with melena and hematemesis. An urgent endoscopy revealed a massive gastric hematoma but showed no specific bleeding focus. Gastrocystic fistula formation and intracystic bleeding leakage to the stomach were suspicious in the follow-up endoscopy. A contrast-enhanced computed tomography scan demonstrated splenic artery pseudoaneurysm and extravasation of contrast media into the cyst that was abutted to the greater curvature side of the stomach. A splenic artery embolization was performed and no further bleeding occurred after embolization. Upper GI bleeding from gastro-cystic fistula and intracystic bleeding are rare but possible. Therefore, this possibility should be considered in the unknown cause of an upper GI bleeding in a patient with pancreatic pseudocyst.
        4,000원
        16.
        2013.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막 가성점액종은 원발병소에 관계없이 복막표면과 대망 등에 점액성 물질이 침착되면서 점액성 복수가 복강 내에 축적되는 상태를 말하는 임상적 질환이다. 원인질환으로 매우 드물지만 췌관내 유두상 점액종양이 보고되고 있으며, 시술과 관련된 점액의 누출, IPMN 파열 및 샛길 형성에 의한 복강내 점액누출 등이 유발기전으로 제시되고있다. 저자들은 췌장의 악성 IPMN 점액누출에 의해 발생한 복막 가성점액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4,000원
        17.
        2011.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8.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case occurred in the cervical area of 51 years old male, who was generally healthy but recently complained of cervical swelling with mild pain. The tumor recently grew rapidly for 5 months. He was referred from local hospital in the diagnosis of metastatic tumor in cervical lymph. In the biopsy procedure, the tumor mass was ill-defined and not associated with cervical lymph node. The microsection showed a highly proliferative fibrous tissue infiltrative growth into the periphery. The spindle tumor cells were stained red in Masson trichrome stain, and strongly positive for PCNA and β-catenine, and partly positive for α-smooth muscle actin (α-SMA), but negative for S-100 and desm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in primary biopsy examination was made as leiomyosarcoma, malignant schwannoma, and mesenchymal sarcoma. Under the diagnosis of sarcoma the patient was operated for tumor resection including cervical lymph nodes. The tumor mass was tightly attached on the lower border of left mandibular body. After the surgical operation the tumor tissue was more investigated with further immunohistochemical stainings, and discussed with several pathologists in Gangneung area. Finally the tumor was turned out to be a nodular fasciitis with pseudosarcomatous proliferation, and also confirmed that the pseudosarcomatous spindle cells belonged to the myofibroblasts originated from the fibrovascular fascial tissue.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a rare case of nodular fasciitis, which should be differentially diagnosed from the malignant head and neck tumors.
        4,000원
        20.
        2008.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additivity factors of compositions to density and glass transition point (Tg) in a xLi2O-(1-x)[(1-y)TeO2-yZnO] (0<x<20, 0<y<20) glass system were analyzed by using mixture design, and the change of ionic conductivity with density and Tg was discussed. As a method for predicting the relation between glass structure and ionic conductivity, density was measured by the Archimedes method. The glass transition point was analyzed to predict the relation between ionic conductivity and the bonding energy between alkali ions and non-bridge oxygen (NBO). The relation equations showing the additivity factor of each composition to the two properties are as follows: Density(g/cm3) = 2.441x1 + 5.559x2 + 4.863x3 Tg(˚C) = 319x1 + 247x2 + 609x3 - 1950x1x3 (x1 : fraction of Li2O, x2 : fraction of TeO2, x3 : fraction of ZnO) The density decreased as Li2O content increased. This was attributed to change of the TeO2 structure. From this structural result, the electric conductivity of the glass samples was predicted following the ionic conduction mechanism. Finally, it is expected that electric conductivity will increase as the activation energy for ion movement decreases.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