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

        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360도 파노라마 동영상을 활용하여 해상풍력 경관의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경관 선호 매 트릭스 요소에 따른 경관 선호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연구대상지로 제주 탐라해상풍력 단지로 선정하였으며, 연구대상지를 조망할 수 있는 지점들을 추출하고 방문하여 360도 파노라마 동영 상을 촬영하였다. 둘째, 구축된 360도 파노라마 동영상 자료를 바탕으로 경관의 미학적 특성을 분석하 고 해상풍력 경관의 유형을 분류했다. 셋째, 해상풍력 경관의 유형별로 경관 선호 매트릭스 요소와 경관 선호도를 설문조사했다. 넷째,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해상풍력 경관 유형별 선호 매트릭스 요소에 따른 경관 선호도 관계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해상풍력 경관 유형이 High Continuity(HCN), High Color (HCL), Low Visual Impact(LVI), High Visibility(HVI)로 분류되었다. 또한, HCN경관 선호도에 영향을 주 는 요소로는 응집성이, HCL경관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응집성과 신비성이, LVI경관 선호도 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응집성과 복잡성이, HVI 경관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응집성과 가독 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해상풍력 경관 선호도 향상을 위한 전략으로 (1)시각적 영향 을 줄일 수 있는 식재계획 및 동선설계, (2)해상풍력 터빈의 생상 대비 극대화, (3)해상풍력 터빈 설치전 경관 시뮬레이션을 제안하였다.
        4,000원
        2.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생식물 경관선호도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수생식물 경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구명(究明)하고자 중국 난창시의 대표적 도시습지공원 3곳을 대상으로 하여 현장평가와 AHP 평가를 진행하였다. 경관의 정량평가를 위하여 수생식물과 어우러진 경관에 대한 현장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정성평가를 위하여 각 도시습지공원에 대한 이미지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선호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수생식물경관 평가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얻어진 총 25개 경관요인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생물종 다양성, 전체환경의 조화성, 관상 특성의 다양성, 생활유형 다양성, 서식지의 조화성, 건강상태(활력도), 계절다양성, 식물경관의 접근성 그리고 식물과 경관의 조화성 등 총 9개 요인을 선정하였다. 둘째, 9개 요인에 대한 AHP 평가 결과, 생물종 다양성, 관상특성의 다양성, 식물과 전체환경의 조화성 등 3개 요인의 가중치는 각각 0.315, 0.147, 0.153으로 전체의 61.5%를 차지하였다. 도출된 요인은 중국 내 습지공원은 물론 수생식물 경관선호도 향상을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인자로 부상되었다. 셋째, 9개 정량 및 정성평가 요인에 대한 가중치분석 결과, 각 공원별 평가점수는 위저우완(0.42) > 샹후(0.35) > 아이시후(0.23)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위저우완의 경우 다양한 수심으로 종다양성이 높고 접근성이 좋아 친수공간으로의 높은 활용성이 평가에 반영된 결과라 판단된다.
        4,000원
        3.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의 28개 도시풍경명승구에서 선정한 200개 디지털 이미지를 대상으로 경관의 매력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관요소 및 시각조형요소의 선호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내 관련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28가지 경관요소 및 7개 경관의 시각조형요소를 선정하였으며, 직관평가법을 이용하여 이들에 대한 선호도를 평가한 결과, 경관요소의 시각적 선호도는 꽃, 잔디, 유희시설 및 정원시설물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시각조형요소는 규모, 색상 및 상대위치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요인분석 결과 28개 경관요소는 8개의 경관요인(관광서비스, 수경시설, 안전·지도시설, 매력물, 식물, 도로·광장, 자연풍경 및 지형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었다. 셋째, 도출된 경관요인 및 시각조형요소를 대상으로 피평가자들의 선호도 성향을 분석(T-검정, 분산분석)하였다. 경관요인의 경우 매력물 및 식물재료에서 성별에 따른 선호도 차이를 보였는데, 정원, 문화유적 등을 포함하는 매력물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점수를, 식물재료의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점수를 주었다. 연령별로는 도로·광장인자의 경우 40세 이상의 평가자들이 20대 이하의 젊은 층에 비하여 높은 점수를 주었다. 시각조형요소 중 색상요소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명승구 계획에 있어 자연경관뿐 아니라 안내판, 안전지도 등의 관광기반시설 설치가 중요한 경관요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주 이용객의 특성을 반영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업무공간의 실내정원 경관구성 현황 및 이용자들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실내정원 도입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연구방법은 서울에 위치한 사무실 건물 내 실내정원 10개소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2년 12월 10일부터 2013년 10월 30일까지 실내정원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2013년 5월 20일부터 2013년 10월 28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다. 응답된 설문지 336부는 SAS Ver. 6.12(SAS Institute Inc., 199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사무실 건물에 조성된 실내정원 유형은 감상형 3개소, 휴식형 4개소, 감상과 휴식을 겸한 복합형 3개소였으며 실내정원에 도입된 실내식물의 종류는 총 38과 66속 82종이었으며 자생식물은 14과 17속 18종이었다. 주요 도입 첨경물 및 시설물은 조명등, 분수, 바위, 물확, 석탑, 조각품 등의 순이었으며 휴식형의 실내정원에 의자와 탁자 등이 주 시설물로 도입되어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 실내정원 이용현황은 주 1회 이용자가 가장 많았고 월요일, 점심식사후, 30분정도를 이용하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시각적 아름다움 및 쾌적한 환경조성, 기분전환 및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업무공간에 실내정원 도입 필요성이 높게 요구되었다. 경관유형 선호도의 경우 동양식 풍경의 정원형으로 편안한 이미지를 느낄 수 있는 휴식형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며 실내정원의 위치 및 형태는 사무실 인접 휴식공간에 고정식으로 조성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물에 대한 선호도의 경우 외래식물보다 자생식물에 대한 선호도가 훨씬 높았으며, 허브식물, 관엽식물, 야생화 순으로 선호하였다. 사무실 건물에 조성된 실내정원의 기능 및 효과의 경우 도입필요성에 대한 선호도와 비슷하여 쾌적하고 아름다운 환경조성, 기분전환 및 스트레스 해소, 회사의 이미지 전달, 자연에 대한 그리움 및 소중함, 일의 능률에 대한 기여도, 실내공기정화 순으로 효과를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하천교량은 하천변 이용의 증가에 따른 노출빈도가 높아지고 도시경관 이미지 형성에 있어서 중요한 랜드마크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전시 3대하천의 거더교량을 대상으로 교량경간장이 도시교량 경관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도시 및 도시하천의 주 경관 형성요소로서 교량경관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방법으로 기존의 연구논문과 이론에 관한 서적들을 통해 교량의 개념과 분류를 고찰하고 교량경관이 가지는 미학이론과 교량의 미적구성요소들을 살펴본 후 교량경관 평가 시 시각적인 요소로서 주의해야할 시점과 구도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경관분석 및 평가방법에 관한 이론을 고찰, 정리하여 교량경관평가 모형을 설정하였다.연구의 결과, 34개의 교량경관 이미지 중 ‘도시적인’ 평균이 가장 높게 나온 이미지는 건물이 전체 경관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다. 34개의 교량경관 이미지가 ‘도시적인’ 설문을 통해 5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어 졌다. 요인1과 요인4가 ‘도시적인’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요인2가 ‘도시적인’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2개의 변수로 시뮬레이션하여 총 10개의 슬라이드를 가지고 선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시뮬레이션한 경관 중에서 경간장 3:4:4:3의 비율이 도입된 경관의 선호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하천의 폭과 교장에 따라 다른 선호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교량 설계시 교량이 가지는 원래의 기능에 충실한 동시에 교량 형태의 미학적인 측면에서의 아름다움도 중요하지만 교량의 경간장과 주변경관과의 조화를 통해서도 교량의 아름다움을 전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4,300원
        6.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연장의 유형과 표준 이미지에 관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시민 54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중에 장례전문가 224명이 포함돼 있다. 서울, 대전, 전주,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이 주로 설문에 응답하였다. 실증적분석을 위하여 자연장지의 시설을 장지시설과 추모시설로 나누었으며 이들 중 각각의 시설을 5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장지시설은 수목형, 정원형, 화초형, 잔디형, 산골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추모시설은 탑형, 비석형, 벽체형, 바닥형,실내형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자연장지의 장지시설과 추모시설의 형태별 유형을 분류함으로써 아직 태동기에있는 자연장이 아직은 학술적으로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 우리나라 실정에맞게 발전시키는 방안을 제시 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자연장지 표준 경관의 선호도에 대한 조사를 통해 전통적 장사이념을 지켜나가고 새로운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장사문화를 발전시켜 나감으로써 국민들이 자연장을 선택할수 있는 합리적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4,500원
        7.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By conducting the landscape survey that considered landscape factors of the Guide Coating in the Median Barrier that applied of the various level by simulating of the Guide Coating in the Median Barrier on the expressway, they showed the quantitative standard of landscape preference factors that the Guide Coating gives. METHODS: The shape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ed AMOS program and made a shape that is made of landscape preference for the Guide Coating in the Median Barrier on the expressway a dependent variable. RESULTS: Result in this, they showed that functionality and emotionalism a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landscape preference. CONCLUSIONS: In the main study, not only showing the Guide Coating in the Median Barrier on the expressway landscape valuation but also embody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of each group, knowing the Guide Coating and unknowing the Guide Coating. By embodying this, they could study that the drivers' quantitative standard is different when the Guide Coating become first applied and being changed after.
        4,000원
        8.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is to suggest suitable lighting facility installation plans by finding out driver's preference for combination of lighting facility installation among landscape factors that affect driver visibility in tunnels. METHODS : SD method is used to extract emotional factors that affect drivers' preference, Components of tunnel lighting facility installation are evaluated through conjoint analysis and it suggested relative importance of attributes and utility values. RESULTS : In the aspects of satisfaction levels of components of tunnel lighting facility installation, Tunnel side, two lows, and solid line arrangement type has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Extract emotional factors that affect drivers' preference are "safety", "openness" and "amenity." In addition, the result of analyzing relative importance of attributes of tunnel lighting facility shows that numbers of lighting array has the highest importance and lighting facility arrangement has the lowest importance. Result of analyzing partial utility shows that the 2 low type among number of lows, the solid line arrangement type between arrangement types, placing in the middle part among lighting facility arrangement were highly preferred. CONCLUSIONS : In the case of lighting numbers, utility values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showed us a big difference. Increasing the number arrays in the future reformation of lighting facility installation combination will be effective in enhancing the utility of the driver.
        4,000원
        9.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피아리는 자연 그대로의 식물을 여러 가지 동물모양으로 자르고 다듬어 보기 좋게 만드는 기술 또는 작품을 일컫는다. 17~18세기에 유럽에서 유행하였는데 한국의 경우 1990년대 이후 꽃박람회 및 화훼전시 공간에 토피아리를 활발하게도입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토피아리 경관구성 유형별 이미지 표현 및 소재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여 효과적인 토피아리도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연구방법은 2000년부터 2010년까지 국내․외 박람회 및 화훼전시 공간, 식물원, 정원 등에 도입된 토피아리를 사진으로현지촬영하여 2010년 10월 20일부터 2010년 11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다. 토피아리 유형은 단독배치형과 조합배치형으로 구분한 후 「캐릭터형」,「식물형」,「동물형」,「사람형」,「조형물평면형」,「조형물입체형」,「글씨형」,「정원형」등으로 분류하였으며 소재는 ‘수목’, ‘첨경물’, ‘이끼’, ‘초화류’ 등으로 분류하였다. 응답된 설문지 250부를 통계처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토피아리에 대한 이미지는「인상적인」,「재미있는」,「신기한」,「아름다운」,「정교한」,「자연스러운」,「조화로운」 등의 이미지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토피아리 유형에 대한 선호도는 1개를 배치한 단독배치형보다 2개이상으로 구성되는 조합배치형을 선호하였다.셋째, 토피아리 이미지 표현에 있어 소재에 대한 선호도의 경우 「인상적인」,「신기한」,「정교한」 표현을 할 경우 ‘이끼소재’가 효과적이며, 「재미있는」 표현을 할 경우 ‘첨경물’, 「아름다운」,「자연스러운」,「조화로운」 표현은 ‘수목’을 소재로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넷째, 토피아리 연출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표현방법은「인상적인」이미지 표현으로 ‘이끼’를 소재로 사용하여 ‘사람형’으로 구성하여 ‘조합배치’ 하는 것으로 응답되었다.
        4,000원
        10.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교량 중에 장대교량을 대표하는 현수교에 대한 설계 시 고려요소인 중앙경간과 새그비의 변화에 따른 경관선호도를 파악하고 경관선호도와 이미지요인과의 관계, 설계요소와 이미지요인과의 관계를 SD법을 적용하여 교량의 이미지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경관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교량경관에 대한 경관적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교량의 중앙경간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선호하는 새그비의 범위는 줄어드는 것으로 보아 중앙경간이 길어질수록 낮은 새그비를 선호하며, 중앙경간이 길어질수록 경관선호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경관선호도와 이미지요인에서는 경관선호도가 높은 새그비의 속성에는 "안정성" "조형성" "심미성"과 모두(+)상관관계에 있지만 "조형성"의 영향이 미비하였다. 설계요소와 이미지 요인과의 관계에서는 중앙경간과 새그비의 요인에는 "안정성"이라는 요인과 더 관계되어 있었으며, 새그비가 낮아질수록 중앙경간이 길어질수록 "안정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이 결과, 경관적으로 선호하는 이미지의 특성 중 "조형성"의 이미지 특성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조형성"의 이미지특성의 부각을 위해 중앙경간과 새그비의 비례요소가 아닌 균형과 대칭의 요소의 변화를 주어 보완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3주탑현수교와 새그의 좌우대칭이 다른 현수교가 "조형성"의 이미지 특성이 더 부각되는 결과를 볼 수 있었고, 추후에 현수교의 경관설계를 할 때 비례요소뿐만 아니라 균형과 대칭의 요소도 고려하여 설계 시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4,200원
        11.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의 대표적 경관인 오름에 대한 경관 선호성을 분석하기 위해 총 18개 오름을 대상으로 경관평가를 시도하였다. 지상과 공중에서 촬영한 총 84장의 사진 슬라이드를 평가매체로 비 제주인(1그룹), 제주인(2그룹) 그리고 외국인(3그룹)에대한 선호도를 비교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전체 총 84장의 오름경관에 대한 선호도평가 결과, Group 1은 4.93, Group 2는 5.22 로 전체 국내인 평균 평가치는5.11이었으며 Group 3의 평가치는 5.54로 나타나 제주 오름에 대한 외국인의 상대적으로 높은 선호 경향이 발견되었다.전체적으로 평가치가 가장 높은 오름경관은 Scene 8(7.60)의 비양도 부감경관이었으며 다음으로 평가치 7.59를 보인 Scene58과 평가치 7.35를 보인 Scene 48등이 보임에 따라 성산일출봉, 비양도, 송악산 등은 제주도의 대표적인 경승으로서 손색이없음이 실증적 재차 확인되었다. 한편 3개 평가 집단 간 선호도 평가치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한 ANOVA와 Duncun-test결과, 집단 간 평가치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된 평가오름은 총 63개에 이르러 오름별 평가치에 대해 그룹간의 차이가 인정된다.또한 평가그룹 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는 21개의 오름 중에는 항공에서 조감된 부감경관은 단 하나도 포함되지않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21개 오름경관 가운데 전체 평균치인 5.34를 상회하는 오름경관은 Scene16, Scene78 그리고Scene29의 단 3개에 불과하였음을 볼 때, 부감경관에 대한 차별화된 긍정적 선호성이 입증되었다.더불어 총 18개 오름에 대한 평가치 중 민오름과 산굼부리를 제외한 총 16개 평가치가 높은 특성을 보여 하늘에서 부감한오름경관에 대한 뚜렷한 선호경향을 보였으며 이 경향은 특히 Group 3 즉 외국인 그룹에 있어 부각되었는데 지상에서 촬영한산굼부리의 지상경관 또한 굼부리 중심의 부감경관임을 감안하면 이러한 경향을 더욱 뚜렷하다고 볼 수 있다.
        4,300원
        12.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연성 정도를 달리한 산악조망경관에 있어 각 공간별 형태적 특성이 지니고 있는 이미지 및 시각 선호도를 구명하여 차후 공원관리 및 설계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한라산 성판악 등산로 상에서 촬영한 사진자료를 평가매체로 하여 자연도에 따른 이미지와 선호도를 조사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호도 평가치는 자연성 정도 및 포장의 재료특성 등의 영향으로 정상부로 향할수록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로 변 이미지 평가는 아름답고 매력 있으며, 깨끗한 이미지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인자분석 결과 4개의 인자군은 각각 「경관매력도인자」, 「공간스케일인자」, 「자연성인자」, 「지형지세 인자」라고 명명 분류되었으며 전체 변량중 이들 인자군의 설명력은 57.6%이었다. 자연도와 명명 인자별 관계에서 각 공간별 인자점수의 평균치 변화 결과 자연도가 증가하면 할수록 경관매력도차원의 인자점수 값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미적 인 감각과 시설물의 수에 상관성이 있을 것이란 판단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시각선호도 모형 분석 결과 경관매력도차원의 인자가 시각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3.
        202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s sound, scenery, and soundscape preferences, which are sensory factors that users feel in a healing forest, comparing the difference in recovery by the soundscape. In the barrier-free, wooden walking path of the National Daegwallyeong Healing Forest, a survey site with five different conditions was selected. Users prefer water sounds the most and places with open views for scenery. For the complex sensation of soundscapes, the most preferred is a space where water sounds can be heard, and either a waterfall or an open view can be seen. A profile of mood states test was use to compare users󰡑psychological recovery by the soundscape. It was found that users felt the most positive mood with water sounds and open views. In addition, users' preference for artificial sounds, scenery, and soundscape was the lowest. In the mood state test, it was found that the artificial soundscape incited the most negative emotions.
        14.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umans are provided with a wide range of public benefits from ecosystems and agricultural ecosystems. But the establishment of the horticulture complex is a space that hampers the public ecosystem. Therefore, we have evaluated the creating landscape function of the horticulture complex and found improvement. A total of 20 landscape slides were used for the study. Korea-paddy field, Korea-vinyl greenhouse, Korea-glass greenhouse, Japan-vinyl greenhouse and Netherlands-glass greenhouse were selected as 4 slides. The evaluation used the AHP method and 10 adjectives Likert which compares 20 landscape slides. Four Korea-paddy fields were rated highly positive images. All 10 adjectives can be selected as representative images of production scenes. In most adjectives, four scenes of KVG1, KVG2, KVG3 and KVG4, which are the Korea-greenhouse scenes, were evaluated as negative images. Netherlands and Korea-glass greenhouse scenes and Japan-vinyl greenhouse scenes were generally positive images. In conclusion, it is confirmed that glass greenhouse scenery is higher than vinyl greenhouse scenery. And Japan and Netherlands scenery are higher and better than Korea. Therefore, JVG1 in Japan and NGG3 in the Netherlands were proposed to be set as landscape improvement targets.
        15.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ue to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the bridge have been built by government over the several years. Additionally, there are too many mountain and river and the bridge have been built in rural area. But bridge designers weren't considering the bridge landscape. And bridge was a negative factor in regional landscape. Because of this, this study surveyed the landscape preferences of rural bridge landscapes according to different bridge type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And this research include conducting a study on visual preference according to the bridge's type and background. And, the landscape of arch bridge in the river 1 is landscape of the highest preference. The the landscape of girder bridge in the river 2 is landscape of the lowest preference. In the river 1 and 2 landscape, high preference is observed in the arch bridge and low preference is noted in the girder bridge. In the mountain 1 and 2 landscape, high preference is observed in the cable-stayed bridge and low preference is noted in the girder bridge. In conclusion, the visual preference of bridge landscape depend on the background and bridge shape, the study said. Therefore, when bridge designer design the bridge, designer have to choose proper bridge shap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ly in bridge landscape of rural area but the visual preference of bridge landscap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various background.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analyze visual preference of bridge landscape according to the various background.
        16.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숲길 경관과 숲길 가장자리 임목밀도에 대한 대중의 관념적, 시각적 선호도를 조사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관념적 조사로 행해진 숲길 경관 선호도의 경우, 울창하고 아늑하고 좁은 숲길을 울창하고 밝고 넓은 숲길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곡선으로 구불구불한 숲길이 직선으로 곧게 뻗은 숲길보다, 포장되지 않은 숲길이 포장된 숲길보다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숲길 가장자리 수종 구성과 관련하여 침엽수와 활엽수가 섞여 있는 숲길의 선호도가 침엽수, 활엽수로 조성된 숲길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연 그대로의 숲길을 길가에 꽃나무나 풀꽃 등을 심어놓은 숲길보다 더 선호했고, 숲 길가를 자연 그대로 살려 둔 숲길의 선호도가 풀깎기 등으로 잘 정리된 숲길보다 높게 나타났다. 숲길 가장자리의 잣나무림의 흉고직경별 입목간격에 따른 모습을 모델링하여 시각적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일반소경재(D<25)에 해당하는 흉고직경 24(cm)의 경우, 2∼5(m) 범위의 입목간격에서 3m, 우량중경재(25≤D<40)에 해당하는 흉고직경 35(cm)의 경우, 3∼6(m) 범위의 입목간격에서 4m, 우량대경재(40≤D)에 속하는 흉고직경 45(cm)의 경우 4∼7(m) 범위의 입목간격에서 5m의 경관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현재 치유의 숲 조성 정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반면, 치유의 숲 조성을 위한 산림경관의 조성 및 관리에 대한 연구와 체계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치유의 숲 조성정책에 부응하여 경관의 시각적 질 향상을 통해 치유효과를 높이기 위한 산림경관관리의 기초자료로써 활용을 기대한다. 한편, 본 연구결과는 방문객이 기대하고 요구하는 숲길 경관의 이미지 파악은 가능하나, 가상의 풍경이나 응답자의 관념적 선호도에 기반하여 도출된 것이므로 실제 산림현장에 대한 반응과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풍부한 현장감을 통해 경관반응을 도출할 수 있는 후속 연구와 더불어 선호도 파악에서 나아가 선호 경관이 실제 인체의 생리적 반응과도 일치하는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한 바이다.
        17.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andscape preference and landscape images of the Agricultural Aqueduct Bridges(AAB) by several different criteria. Semantic Differential Scale(SD scale) with landscape adjectives and landscape preference are used to estimate the alternatives of the AAB. The statistic methods such as descriptive analysis, t-test,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cluster analysis, are operated. The landscape preference of the alternatives is generally positive, 3.977 out of 7.000. The gate type is the most preferred, but the road-along type is the worst, by the location types. The simple repair type is the worst preferred, but total remodeling is the most, by the repair typ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AB are analyzed and 4 factors of visual landscape are contracted; interest, orderliness, naturality and spatiality. Cumulative factor loading of these factors is about 65%, which is quite high. The higher and bigger AAB's are preferred, and the advanced finishing materials are also preferred, such as aluminum or wood panels. The long span is also preferred and the high repair cost would be preferred. But in this study, the cost-benefit analysis is not included, so it is recommended to research further, considering the cost variable with the visual factors.
        18.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is focus on the analysis of bridge image and preference. In this study, 3 types of bridge with arch bridge, cable 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4 prospect points named A, B, C, and D will be simulated in one scene for final analysis of bridge image and preference.On prospect point A, higher evaluation is received among the arch bridge. In addition, for cable 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the Higher evaluation is received among the most at the arch bridge on prospect point B. At the on prospect point C, higher evaluation is received among the most cable 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compared with arch bridge. At the on prospect point D, lower evaluation is received among the cable 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compared with arch bridge. The highest average total preference is received for cable stayed bridge. And, The lowest average total preference is received for arch bridge. Cable stayed bridge is suitable for the Baegya Bridge than arch bridge in the Landscape point. In conclusion, the preference for one bridge is not the same at different prospect points through above research.
        19.
        200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항만경관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한 것으로 부산의 북항을 연구 대상지로 설정하였다. 선호 요인은 SD법을 통해 도출되었고, 북항의 시각적 선호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북항의 시각적 선호요인으로 역동성, 안정성, 쾌적성, 보건성의 4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4개의 선호요인을 이용한 시각적 선호도 분석 결과, 역동성 요인이 상대적으로 북항 선호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북항 경관의 창출 및 관광객을 위한 항만 이미지 조성에 역동성을 고려한 항만경관계획과 관광 매력물로써의 개발을 통해 북항경관의 시각적 질 관리를 추진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20.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sed on the result of extraction of common factors executed in order to elucidate the visual attributes of street scenery by types through the rotation of 23 adjective variables by Varimax, the visual attributes expresse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facilities using street scenery were anylized to be 4 factors including factor 1 through factor 4. The explanation of the 4 factor groups to explain the entire distribution was 65.3% and these factor groups are the psychological attributes felt when using facilities are constructed by securing the street spaces in downtowns and the factors were named as naturalness(factor 1), locality(factor 2), identity(factor 3) and clarity(factor 4)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 of one-way layout distribution analysis, the preferences for street scenery by types were found out to show considerable differences at 1% significance level. Based on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l of the factors explaining preferences including factor 1 through factor 4 were significant at 1 % significance level. In case other conditions are constant, if the values of the adjective variables related to locality(factor 2) increase by 1 unit, the preferences which are the values of dependent variables will increase by 0.709. The variable with the largest relative contribution among the 4 factor groups was the locality(factor 2) factor group and on the contrary, it was foun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with least influences was the clarity(factor 4) factor group.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