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재활승마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경련성과 근의 활성도에 재활승마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12세 미만의 경련성 뇌성마비 아동 9명이었으며, 8주 동안 16회의 재활승마를 실시하였다. 재활승마 적용전, 2주, 4주, 8주 때에 주관절과 슬관절 굴곡근의 경련성 정도와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경련성은 Ashworth 척도, 근 활성도는 무선 표면 근전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경련성과 근활성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결과 : 재활승마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주관절 굴곡의 경련성은 기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고, 슬관절 굴곡의 경련성은 기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p<.05). 상완이두근의 근활성도는 기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대퇴이두근의 근활성도는 기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p<.05). 결론 : 재활승마 후에 뇌성마비 아동의 경련성 감소와 근활성도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뇌성마비 아동의 경련성과 근 활성도를 개선을 위해 재활승마는 유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4,000원
        3.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manual tests of elbow, knee flexor, and ankle dorsiflexor muscle spasticity graded on the Modified Ashworth Scale. Two raters each independently graded the spasticity of 32 patients with intracranial lesions after moving the paretic limb passively through the available range of motion. The patients were asked to simultaneously squeeze therapeutic putty with their non-paretic hand for reinforcement. The ratings were compared by the Wilcoxon matched pairs signed-rank test and by the Kendall's coefficient of rank(tau) correlation. There was singificant correlation between two raters for spasticity at the elbow, knee flexor, and ankle dorsiflexor. The correlations of the two raters ranged from .6746 to .9308. The highest correlation was for the elbow with reinforcement and the lowest was for the knee without reinforcement. Poorer correlation was evident in the knee joint. The positive results of this study encourage the continued use of manual tests of muscle spasticity, using the Modified Ashworth Scale.
        4,000원
        6.
        199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계수확시 탈립된 종자들이 이듬해 발아 생장하여 휴경조건하에서 수량 및 수량구성 요소에 많은 변이를 보였기에 무경운 직파재배의 가능성을 타진하려 수도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를 조사하였고 또한 잡초종의 피도에 따른 수량변이를 상관계수를 통해 알아보았다. 무경운 무시비 조건에서도 단위면적당 최대 188kg/10a의 수량을 보여 입모확보가 보장된다면 무경운 직파재배는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성공적 무경운 직파를 위해서는 충분한 입모확보, 천이, 두과식물과의 적절한 혼파 초형개발에 관한 연구가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