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

        1.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와 영유아 상호작용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보육의 질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 향상 및 직무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사회제도 개선 및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 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사회적 지지에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사회적 지지는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낮고 사회적 지지가 높을 때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8,900원
        2.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의 실습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안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G대학 2학년 2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보육교사들은 실습기간 6주중 1주에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새로운 환경의 적응이 가장 큰 이유였다. 둘째, 예비보육교사들의 스트레스 요인 중에서는 예비보육교사 자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세부내용으로는 수업진행에 대한 자신감 부족이 가장 큰 스트레스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실습 환경에스는 휴식 공간 부재와 자유로운 휴식시간이 없는 것, 영유아와의 관계에서는 문제아 지도에 대한 어려움, 시설장과의 관계에서는 보육실습을 노력봉사 하러 온 사람처럼 여기는 것에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계획 및 시행에서는 수업분위기 유지, 실습평가에서는 수업에 대한 미숙함과 자신감 부족으로 인해 스트레스 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보육교사들은 문제중심해결 방안 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보육교사들이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해서는 학교, 기관, 자신의 측면에서 공통적으로 끊임없이 소통하고 격려해 주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예비보육 교사들의 스트레스 영향 요인을 미리 예측하고 효율적인 대처방안들을 모색함으로써 성공적인 보육실습 경험을 통해 전문인으로서의 보육교사 성장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5,700원
        3.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간의 직접적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변인으로, 사회적 지원을 조절변인으로 한 간접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원은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는 보육교사가 그렇지 못한 교사에 비해 감정노동으로 인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6,000원
        4.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어린이집 근무환경 속에서 받게 되는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 개인의 일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74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일상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유형과 근무시간, 보조교사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민간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8시간 이상 근무하는 경우와 보조교사가 없는 경우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일상스트레스는 보육교사의 연령, 근무시간, 보조교사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20대 보육교사의 일상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9시간 이상 근무하는 경우와 보조교사를 다른 반과 공유하는 경우에서 일상스트레스가 높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상스트레스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일상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직업 스트레스가 높을 때 일상스트레스도 함께 높아졌다. 일상스트레스에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은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의 부족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다. 어린이집의 근무환경을 개선하여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은 일상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이 될 것이다.
        5,700원
        5.
        201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및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요인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대처방안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논의되었다. 보육교사들이 어떠한 감정노동에 노출되어 있고 어떠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과 대처방안은 스트레스에 직면한 보육교사로부터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영유아의 보육과 교육의 질을 높이고 교사의 심신의 안정을 위해 필요한 연구이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예방 및 완화를 통해 건강한 생활태도를 보육, 교육에 대한 서비스 질적인 향상으로 이어지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육교사가 가지게 되는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사항은 다양한 테스트와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전문가의 개입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경감에 대한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도움이 필요하다.
        5,700원
        6.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립산림치유원에서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1박 2일형 ‘행복학교 에듀힐링 캠프’에 참가한 교사 2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산림치유프로그램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해소와 긍정・부정감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산림치유프 로그램 참가 전과 후의 스트레스 반응 지수, 긍정・부정감정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그 차이가 확인되었다. 연구결과 산림치유프로그램에 참가한 교사들의 스트레스반응 지수와 하위 영역인 신체 증상, 우울 증상, 분노 증상이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교사 직책별(비담임교사, 담임교사, 부장교사, 교장, 교감) 스트레스 감소효과에서도 모든 그룹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숲에서의 산림치유프로그램이 교사들의 스트레스 저감과 부정감정 해소에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스트레스 위험에 노출된 교사들을 위하여 적극적인 산림치유 활동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4,000원
        7.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울지역에 위치한 영유아 복지시설 종사자 148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중 업무 과부하가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교사효능감의 경우 일반적 교수 효능감이 개인적 교수 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경우 적극적인 활동 참여가 가장 높았으며 기타 하위영역들 또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였다.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중 원장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 변인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가장 크게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의 경우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전 하위영역에 걸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곧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수준 또한 매우 높게 나타나 강력한 영향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중 원장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 교사효능감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제도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6,000원
        8.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3년 8월 1일부터 9월 23일까지 J지역에 소재한 사회복지법인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한 자료 총 27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PSS 18.0을 이용해서 다중회귀분석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조직몰입을 통해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조직몰입과 관련된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서 보육의 주체인 보육교사에 대한 스트레스를 감소와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보육교사들이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를 동일시하고 자신의 직무에 몰입할 수 있도록 조직몰입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보육교사 자질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시스템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5,400원
        9.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 각 유형별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탐색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 참여자는 C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현직 보육교사 60명을 대상으로 1차 예비조사 로 인터뷰와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검사를 하였고, 2차 본 조사에서는 개방형 질문지를 작성하 고 유형별로 모여 토론과 발표를 하고 내용은 녹음과 인터뷰를 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머리형(5, 6, 7번 유형) 사람들은 자신을 무시하 지 않고 인정해 주고, 칭찬과 격려로 자신을 이해해 주기를 바란다. 가슴형(2, 3, 4번 유형) 사 람들은 언어적으로 인정해 주고, 과정보다는 결과를 인정해 주기를 원하고 있었으며 배형(8, 9, 1번 유형)사람들은 자신에게 권한을 펼 칠 수 있도록 격려해 주고 갈등상황이 되지 않도록 관계를 중요 시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에게 각자 자신의 성격유형을 이해함에 따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스트레스 상황을 파악하여 스스로 자신의 스트레스를 긍정적으로 받아 들 일 수 있도 록 한다. 또한 타인과의 관계 형성을 돕고 갈등을 줄이고 원장과 보육교사는 공동업무와 개인 의 업무 분담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부모와의 관계증진 및 소통을 도울 수 있다.
        5,200원
        10.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essors of elementary teachers about P.E. class and the relationship of their background variables to the stressors and coping patterns in an attempt to seek ways of helping them relieve their stress and cope
        5,700원
        11.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secondary P.E. teachers' official stress by their backgrounds under current unexpected educational circumstances and the efficiency of educational activities, to look into the concerned infl
        4,500원
        12.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 달간의 종단연구를 통해 초등교사의 스트레스 마인드셋이 직무스트레스를 예측하는지 확인하고, 스트레스 마인드셋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및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조절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교사의 이직의도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직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한 달의 간격을 두고 2회의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초등교사 190명(남 26명, 여 164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로 스트레스 마인드셋은 직무스트레스에 선행적으로 영향을 주는 예측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스트레스 마인드셋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지각 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스트레스 마인드셋이 직무스트레스를 완전히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교사 개인의 스트레스 마인드셋이 교사의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직무스트레스를 통해 간접적으로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사이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향후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13.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원장-교사 교환관계가 매개될 때 이직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광주와 전남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원장-교사 교환관계가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원장-교사 관계에 미치는 영향력, 그리고 원장-교사 관계가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원장-교사 관계가 매개변인으로 적용되었을 때 교사들의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보육교사들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 원장의 리더십에 대한 연구, 어린이집 내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등과 같은 긍정적인 원장-교사관계를 가져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4.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중등교사의 성인 불안정 애착, 대인관계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알아보고, 성인 불안정 애착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 중학교에 근무하는 8개교의 교사 27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사의 성인 불안정 애착, 심리적 소진, 대인관계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들 변인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 불안정 애착이 강할수록 심리적 소진이 많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성인 불안정 애착과 소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가 성인 불안정 애착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인 불안정 애착과 사회적 지지가 상호작용을 하여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그릿, 스트레스,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352명의 고등학교 교사들에게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척도, 그릿 척도, 스트레스 척도, 삶의 만족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은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했다. 둘째, 그릿은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했다. 셋 째, 스트레스는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했다. 넷째, 그릿과 스트레스는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매개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고등학교 교사들의 삶의 만족을 높이려면 교사들이 긍정정서를 많이 경험하고 부정정서를 적게 경험하도록 하며, 그릿을 높이고 스트레스를 낮추도록 해야 함을 시사한다.
        16.
        2018.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및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 보육기관에 취원 중인 만 0∼2세반 담임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효능감 및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과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교사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에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교사효능감의 중재 역할로서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17.
        2018.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의 민감성, 행복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만1세 영아의 교사 애착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인천, 서울, 세종시에 소재한 국공립, 민간 어린이집의 교사 중 만1세 영아를 담당하고 있는 영아반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7명)을 제외한 293부를 최종적으로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 분석은 교사의 민감성, 행복감 및 직무스트레스와 만1세 영아반 교사의 애착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교사의 민감성, 행복감 및 직무스트레스와 만1세 영아반 교사와 영아의 애착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만1세 영아의 교사 애착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사의 민감성, 행복감 및 직무스트레스와 만1세 영아의 교사 애착형성과 상관관계에서 민감성과 행복감, 영아의 애착형성은 정적 상관을 민감성과 행복감, 영아의 애착형성은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민감성의 하위요인인 ‘적절성’, ‘즉시성’, ‘정확성’, 행복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행복감’,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동료관계’가 교사에 대한 영아의 애착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영·유아를 보육하는 교사의 행복감과 민감성을 향상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모색과 함께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정책에도 관심을 가져야 함을 시사한다.
        18.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능력, 그리고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P시에 소재한 D초등학교에서 정규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여성 초등교사를 16명을 대상으로 대조군 8명(연령 53.6±5.7세, 근무 연수 29.8±5.5년), 실험군 8명(연령 57.4±1.4세, 근무 연수 26.3±8.5년) 으로 나누고 이중 실험군을 대상으로 2013년 11월 5일부터 2013년 12월 24일까지 매주 1회씩 총 8회의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의 경우 원예활동 실시 전 평균 66.8점에서 실시 후 평균 40.1점으로 직무스트레스에서 유의한 감소가 있었고 4주 뒤에도 지속적으로 스트레스가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직무만족도 또한 원예활동 실시 전 평균 122.0점에서 실시 후 144.5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원예활동 이후에도 지속적인 결과물을 관리하면서 자연의 변화에 순응하며 자연과 교류하며 긴장을 이완하여 심신을 안정시킬 수 있었던 결과라고 판단된다.
        19.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 스트레스가 개인적 성취감과 교사역량에 미치는 직·간접효과와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성별(남교사, 여교사) 간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분석 대상은 초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375명이다. 본 연구 결과, 교사 스트레스는 개인적 성취감과 교사역량에 직·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성별에 관계없이 남교사와 여교사 모두에게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의 개인적 성취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교사의 역량을 강화하고, 교사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필요가 있으며, 또한 교사역량 증진을 위해서는 교사 스트레스를 완화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20.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사립 유치원 교사의 성격변인이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방식과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사립 유치원 교사 314명을 대상으로 5요인 성격검사, 교사 직무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측정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신경증적 경향성은 권위의 상실, 불화와 갈등, 업무과다, 학급관리의 고충에서 낮은 상관이 있는 반면, 성실성은 권위의 상실과 불화와 갈등에서 낮은 부적 상관이 있었다. 대처방식과의 관계에서 신경증적 경향성은 정서완화적 대처방식과 보통의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성실성은 4가지 대처방식 모두와 낮은 상관이 있었다. 둘째, 신경증적 경향성은 직무 스트레스 전체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성실성은 직무 스트레스 전체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신경증적 경향성이 정서완화적 대처와 사회적지지 추구에 대해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성실성이 문제중심적 대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개인적인 변인과 직무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과의 관련성을 탐색함으로써 직무수행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예측하여 교사 개개인의 삶의질과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