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1.
        2023.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b3+-doped CaNb2O6 (CaNb2O6:Tb3+) thin films were deposited on quartz substrates at a growth temperature of 300 °C using radio-frequency magnetron sputtering. The deposited thin films were annealed at several annealing temperatures for 20 min and characterized for their structural, morphological, and luminescent properti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annealing temperatur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perties of the CaNb2O6:Tb3+ thin films. The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s-grown CaNb2O6:Tb3+ thin films transformed from amorphous to crystalline after annealing at temperatures greater than or equal to 700 °C. The emission spectra of the thin films under excitation at 251 nm exhibited a dominant emission band at 546 nm arising from the 5D4 → 7F5 magnetic dipole transition of Tb3+ and three weak emission bands at 489, 586, and 620 nm, respectively. The intensity of the 5D4 → 7F5 (546 nm) magnetic dipole transition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5D4 → 7F6 (489 nm) electrical dipole transition, indicating that the Tb3+ ions in the host crystal were located at sites with inversion symmetry. The average transmittance at wavelengths of 370~1,100 nm decreased from 86.8 % at 700 °C to 80.5 % at an annealing temperature of 1,000 °C, and a red shift was observed in the bandgap energy with increasing annealing temperatu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nealing temperature plays a crucial role in developing green light-emitting CaNb2O6:Tb3+ thin films for application in electroluminescent displays.
        4,000원
        2.
        2014.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국가정책 아젠다인 ʻ저탄소 녹색성장ʼ은 국가의 중요한 비젼으로 전정부차원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는 2020년까지 세계 7대, 2050년까지 세계 5대 녹색강국으로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실현시키기 위해 효율적 온실가스 감축 및 녹색국토, 교통의 조성이 중요한 시책으로 추진되고 있 다. 건설산업 부문도 예외가 아니어서 에너지 및 온실가스 배출저감을 위한 정책 및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 루어지고 있다. 해외 선진국의 경우 가장 광범위한 대상인 도로시설물에 대한 녹색도 측정을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그것을 기반으로 녹색도로인증제가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녹색도로인증제는 도로의 지속가 능성과 환경성을 통합적으로 결합한 제도로 이러한 관점에서 도로의 건설 및 운영측면에서 세부지표별로 계량화하고 점수화하여 도로 전체의 녹색등급을 설정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국내 도로정책부분에서도 ʻ녹 색도로ʼ 구축을 지향하고는 있지만, 현재 국내 도로의 녹색도로 구축 수준을 평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외사례와 비교하여 녹색도로 구축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제시가 부족과 녹색도로 도달을 위한 평가기준의 부재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국외사례 벤치마킹 및 국내 녹색도로기술의 니즈를 조사하고 기본적인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선 연구진과 국내 엔지니어링 및 시공회사 전문가와 함께 국내 적 용성 검토를 수행하여 평가시스템 대분류 및 평가항목을 개발하였으며, 일부를 제외하고 큰 틀에서 국내 현황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도로설계 및 시공경험이 풍부한 국내 엔지니어링 및 발주처 등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제 국내 인증제 적용을 위한 평가요소별 중요도 결정을 실시하였으 며,‘녹색환경(0.35)ʼ과 ʻ녹색도로설계/포장기술(0.27)ʼ영역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3.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the green growth policies of Korean public corporations and proposes some potential improvement ideas. A set of twenty global green trends are first elicited by using classified macro trends of environmental changes. The green trends are categorized into four key issues based on whic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efforts are compared. The management performance reports of Korean public corporations are then throughly analyz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ir strategic green tasks in relevant to the global green trends. Finally, we suggest some potential government policies for enhancing the existing green growth businesses of public corporations.
        4,000원
        4.
        2013.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focu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upon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green growth businesses of public corporations and the strategic problems. First, by using classified macro trends of global environmental change, we will examine the related 20 green trends. Green trends are synthesized with four key issues and we will look closely these issues of home and abroad. we analyze the strategic tasks outlined in management performance reports 2011 of public corporations and will look at its relation to global green trend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 will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of green growth strategy which is required for public corporations.
        4,000원
        5.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ains relationship of low-carbon green growth among China, ROK, and DPRK. How this and inter-Korean cooperation in energy & environment were interrelated will also analyzed here. Low-carbon green growth is indispensable to sustaining industrial and economic development of these three nations. It seems as if green growth was last on the list of concerns of Western politicians. But now China and South Korea as well as some Western countries were keen to tell the world that they have a strong interest in green growth. 'Green growth' and 'sustainability' are the words on the lips of people all over the world. ROK hosted the Group of 20 Summit and the government's strong drive for green growth reshaped Korea's position on the global map. With the help of President Lee Myung-bak and world leaders, the 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has recently turned into an official international organization. Furthermore, the president pledged to establish a Global Green Technology Award and raise government financial assistance to promote the green growth era and motivate talented minds. South Korea is willing to help DPRK with green industry, even for future unified Korea.
        6,200원
        6.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7.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말레이시아는 2020년에 고소득 국가를 목표로 경제성장을 위한 정부 변혁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하고 있다. 정부 변혁 프로그램의 성공을 위한 선결 과제로는 환경 교육과 녹색성장이 있다. 환경 교육과 녹색성장을 달성하기 위해 말레이시아는 ‘국가 녹색 기술 정책’ 을 2009년 이후 시행하고 있다. 이 정책의 취지는 훈련과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인적 자원을 강화 하는 것이다. 또한 2002년에는 말레이시아는 포괄적 환경 교육을 도입하는 국가 정책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국가 정책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말레이시아 교육부는 교과, 교과 외 과정에서 녹색 성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환경 교육을 위한 교사들의 가이드북을 배포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과학교육에서 경력 및 전문교육은 강력하고 폭넓은 교육시스템을 위한 지식공유의 방법으로써 말레이시아는 녹색성장의 목표달성이라는 과제를 APEC가입국 간의 교육적 협력을 통해 달성하길 기대하고 있다.
        4,000원
        8.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DB는 경제를 활성화하고 빈곤을 감소시키기 위해 3개의 전략을 시행하였다.3개의 전 략은 포괄적인 경제성장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 지역적 통합이라 채택되었다. ADB 는 교육은 성장이라는 큰 그림에서 제외 될 수 없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또한 ADB는 교육 이외에 (1) 사회기반시설, (2) 환경, (3) 지역적 협력과 통합 (4) 재정적 측면의 핵심영역을 가지고 있다. ADB는 교육이란 지속 가능한 개발과 지역적 통합을 지원하기 위한 의식을 고조 시키고 능력을 개발하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며. 각기 다른 분야에서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다. 그리고 협력은 아시아의 급속한 성장에 기인하여 연구 기업을 더 넓은 지역으로 확대 함으로써 국경을 넘어 선 협력과 지역적 통합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 예측한다. 그리고 ADB는 지역적 통합 수립을 위하여 GMS. C돼EC. SASEC 와 같은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4,000원
        11.
        201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4.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후변화를 막아야 할 의무가 우리 모두에게 있다. 미국과 중국의 기후변화 대처 저탄소 바이오에너지 기술개 발에는 옥수수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 기술은 안전 다수성 옥수수 하이브리드에 bm3라는 유전 자를 집어넣어(소가 옥수수 대를 먹었을 때 소화가 30% 잘 되는 유전자) 바이오에탄올을 뽑아내는 신기술이 다. 이 기술은 input 에너지를 30% 절약한다. 추가로 개발하는 또 다른 신기술은 옥수수 대에 당이 높은 high sugar gene 도입해서 사탕수수와 같이 에탄올을 생산한다. bm3 인자는 세루로즈를 당으로 바꾸는데 들어가는 효소를 1/2 절약 할 수 있다. 가지 치기한 산림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도 같은 원리이다. 기후변화에 잘 적응하는 안전다수성 옥수수 하이브리드를 육종해서 휴경 논에 재배. 알곡은 식용, 사료, 공업용으로 부산물 은 에탄올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벼농사의 국제경쟁력을 높이위해서도, 그리고 산이 국토의 70%이고 잡목이 주종을 이루는 나라에서 셀룰로오스를 이용한 바이오에너지 생산의 개발을 서둘러야 할 때이다. 기후 변화를 줄이기 위한 우리의 선진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