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isometric lower limb exercise can activate contralateral trunk muscles and whether the magnitude of muscle activation is related to lower limb movement in sitting. This study included 25 healthy young subjects (20 males and 5 females). The magnitude of trunk muscle activation was measur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during hip flexion, extension, adduction, and abduction,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activation levels of trunk muscles among the tests (p<.01). The EMG activity of the multifidus (MF) and erector spinae (ES) muscles on the contralateral side were significantly greater during hip extension. However, the activation levels of the contralateral internal oblique (IO) and rectus abdominis (RA) muscles were greatest during hip flexion. The MF : ES EMG ratio was significantly greater during hip isometric during hip isometric flexion and abduction compared to hip extension and addu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IO : RA ratio during the isometric contractions toward different direct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sometric lower limb exercise can elicit trunk muscle contraction on the contralateral side and may therefore be helped for developing contralateral trunk muscle strength in individuals undergoing rehabilitation.
        4,000원
        2.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ntralateral hip adduction (CHA) on thickness of lumbar stabilizers during hip abduction in side-lying. Twenty healthy subjects without back pai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thickness of transverse abdominis (TrA), internal oblique (IO) and quadratus lumborum (QL) were measured by ultrasonography. Pelvic lateral tilting motion was measured using a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system. Measurements were performed at rest position (RP), preferred hip abduction (PHA) and abduction with contralateral hip adduction (CHA) in side-lying at the end of expiration. During the measurements, subjects were asked to maintain steady trunk alignment without hand support. Thickness of TrA and IO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CHA than in PHA and RP condi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ickness of TrA and IO between PHA and RP conditions. Medio-lateral (M-L) thickness of QL was not significant between PHA and CHA conditions. Anterio-posterior (A-P) thickness of QL in PHA and CHA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RP condition. Angle of pelvic lateral tiltin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HA compared to PHA condition. In conclusion, CHA can be recommended for increasing trunk stability without compensatory pelvic motion during hip abduction exercise in side-lying.
        4,000원
        3.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an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ADIM) using a pressure bio-feedback unit (PBFU) were compared to the effects of a pelvic belt (PB) on the muscle activities of the hip and back extensor muscles during hip extension in the prone position. Fifteen healthy male participants all performed prone hip extensions under three conditions: 1) preferred hip extension (PHE), 2) performing an ADIM, and 3) using a PB. The muscle activities of the erector spinae, the gluteus maximus, and the medial hamstring on the right side were recorded by surface electromyography. The muscle activity of the erector spinae was significantly lower while performing an ADIM during prone hip extension than during PHE or with a PB (p<.05). Gluteus maximus muscle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while performing an ADIM (p<.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or the medial hamstring muscle among the three conditions (p>.05). We concluded that the internal stabilization of the pelvis and lumbar spine afforded by the ADIM using a PBFU could be more effective than the external stabilization provided by a PB in terms of increasing selectively gluteus maximus activation during prone hip extension.
        4,000원
        4.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질환 환자들의 누운 자세가 자율신경계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관상동맥질환군 43명과 통제군 31명을 대상으로 세 가지 자세-똑바로 누운 자세(supine), 왼쪽으로 누운 자세(left), 오른쪽으로 누운 자세(right) -에서의 심박동변이도(HRV)를 측정하였다. HRV 변수들에 대한 분석 결과, 오른쪽으로 누운 자세에서 normalized high-frequency power가 가장 높았고, normalized low-frequency power는 가장 낮았다. 즉, 오른쪽으로 누운 자세에서 심장교감신경계의 활성도를 나타내는 HRV 변수들은 가장 낮은 반면에 심장부교감신경계의 활성도를 나타내는 HRV 변수들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5.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a new qualitative base for educating and evaluating patients by comparing a 60 or over age group with a 20-30 age group when rising from supine to erect stance. Sixty normal adults were devided into 60 or over and 20-30 aged groups. Each persons was asked to standing from the supine position. This process was recorded by two video cameras. The results was classified into the three existing movement categories. And then they were analyzed by percent rate. The results showed that each group had its own different and special characteristics. This means that physical therapists need to select the best motor patterns according to age in teaching functional tasks such as rising from supine to erect stance.
        4,800원
        6.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누운 자세에서 일어서기(supine to standing: STS) 과제 수행 시 유아의 운동발달 수준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차이점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만 4-6세 유아 89명에게 운동발달검사(MABC-2)를 실시한 후 목적적 표집방법을 통해 선정된 20명의 유아들을 운동발달 수준에 따라 각각 운동발달 상(n=9)집단과 하(n=11)집단으로 배정되었다. 연구대상자들은 누운 자세에서 일어서기 과제를 ‘최대한 빨리 일어나세요.’라는지 시어를 듣고 10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이때 나타난 유아들의 움직임은 VanSant의 움직임 패턴 발달순서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누운 자세에서 일어서기 과제 수행 시 소요된 시간과 유아가 사용한 움직임 패턴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상지와 체간에서 더 큰 차이를 보였다. 운동발달상 집단에서는 전체적으로 대칭적인 움직임 패턴이, 하집단에서는 비대칭적인 움직임 패턴이 나타났으며, 이는 운동 발달 상집단이 하집단보다 상위의 움직임 전략을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누운 자세에서 일어서기 과제의 수행시간도 운동발달 상집단보다 하집단에서 더 길게 소요되었다. 또한, 운동발달평가 점수와 움직임 패턴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운동발달 평가점수와 신체 부분(상지, 체간, 하지) 간에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더 세밀한 운동발달 검사가 필요한 아동들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선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기존의 운동발달 평가도구들이 가지고 있는 시공간적 제한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실제 교육현장이나 운동발달 연구 영역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7.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통증제어가 거의 불가능한 급성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바로 누운 자세를 할 수 없는 환자에게 불가피하게 자기공명검사를 받아야할 환자를 위해 기존촬영방법인 정상 체위 바로 누운 자세 대신 변형된 옆으로 누운 자세를 취하게 하여 기존 척추 전용 코일과 복부 전용 코일을 이용하여 요통을 경감시키고 불안정한 자세 보정과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을 줄여 장시간 검사를 받는 환자에게 피로감을 감소시켜 자기공명검사의 성공률을 높이고자 한다. 평가방법으로는 영상의 질을 정성적 평가로 하였으며 결과로는 정상인 연구대상자 기존촬영방법인 바로 누운 자세의 평균 점수는 4.64점, 정상인 연구대상자 옆으로 누운 자세(A군)는 3.44점, 극심한 요통을 호소하는 비정상인 연구대상자 옆으로 누운 자세(B군)는 3.40점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정상인 연구대상자의 기존촬영방법인 바로 누운 자세에서 검사한 정성적인 평가는 예상대로 높게 나타났으나 정상인 연구대상자 옆으로 누운 자세와 극심한 요통을 호소하는 비정상인 연구대상자 옆으로 누운 자세로 검사한 영상의 정성적 평가는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또한 극심한 요통을 호소하는 비정상인 연구대상자 옆으로 누운 자세(B군)의 영상평가에서 영상의학과 전문의의 영상판독에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바로 누운 자세에서 검사를 진행함에 불편을 겪는 환자에게 이러한 기법이 보편화 된다면 임상에서 많이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