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6

        1.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tioxidant activities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Taraxacum officinale solvent fractions were measured. Extraction yields (relative to raw material) of 50% ethanol, hexane,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were found to be 10.29, 2.61, 5.54, 2.15, and 0.96%, respectively.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high in ethyl acetate extract of Taraxacum officinale at 56.88 mg gallic acid/g and 33.27 mg gallic acid/g, respectively. DPPH,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measurement (IC50%) of Taraxacum officinale 50% ethanol extract, hexane, butanol, ethyl acetate, and water fractions were 22.64, 18.65, 10.29, 20.81, 20.46 mg/mL, 24.68, 10.69, respectively. It was found to be 9.66, 15.81, 13.77 mg/mL, 32.84, 17.09, 12.73, 33.63, and 33.91 mg/mL, and was high in the ethyl acetate layer. Results showed that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Taraxacum officinale solvent fraction were 25.75, 15.93, 35.87, 15.96, and 2.88% for 50% ethanol extract, hexane, butanol, ethyl acetate, and water fractions, respectively.
        4,000원
        2.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ssessed the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from Taraxacum coreamm powder (TCP) (0, 2, 4, 6, 8%) substituting wheat flour. The pH of the cookie dough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TCP. However the density of the cookie doug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est groups. The baking loss rate of the groups with TCP was slightly lower, whereas the moisture content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spread factor of the cooki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TCP. The hardness of the cookies increased as TCP increased. In Hunter’s color value, the L and a value of the cookies decreased with increasing TCP, while the b value increase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ooki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CP.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CP can be a good ingredient to increase the functionality of cookies.
        4,000원
        3.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경기지역에 민들레 (Taraxacum spp.)에 붉은 보라색 원형 혹을 형성하는 파리목 혹파리과 Cystiphora 속 (屬)의 민들레잎혹파리 (신칭)가 발견되어 이 종의 발생지역, 피해양상 및 발육단계별 형태적 특성을 보고한다.
        5.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ried type sodium-reduced bibimbap using dandelion complex powder (DCP). DCP is known to add moisture to the skin and relieve symptoms of atopic dermatitis. The sodium content of the standard sample was 1,110.87 mg per serving. The sodium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30%, resulting in 762.62 mg of sodium for the reduced sodium group (p<0.05). The ash contents of the standard sample group with DCP showed the highest value (3.17%) in all samples and was affected by minerals of DCP (p<0.05).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dicators of antioxidant, anticancer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ly high activities with addition of DCP (p<0.05). In the sensory results, bulgogi and savory flavor of the samples with DC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and samples with DCP received the highest scores for after-taste. All samples were confirmed to be microbiologically safe according to the food code applied to food manufacturers. Pathogenic microorganisms tests were either negative or not detected in all samples.
        4,000원
        6.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완전 인공광형 식물공장 내에서 RBW LED(red:blue:white = 2:1:1)의 광주기와 광도가 흰민들레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완전 인공 광형 식물공장에서 각각 광주기 3수준과 광도 4수준으로 설정하였고, 분무수경으로 광주기 실험은 270일, 광도 실험은 120일 동안 재배하였다. 광주기별 전 재배기간 동안 8회 수확한 1주당 수확 총엽수는 16/8시간 처리구에서 주 당 224매로 12/12시간 처리구의 220매와 비슷하게 많았고 8/16시간 처리구에서 151매로 가장 적어 대체로 명기가 길수록 수확엽수도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지상부 생체중은 16/8h 처리구에서 125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2/12h 처리구 91g, 8/16h 처리구 56g 순이었다. 광도별 전 재배기간 동안 총 4회 수확한 엽수는 150μmol·m-2·s-1 처리구에서 123매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107매인 200μmol·m-2·s-1 처리구와 95매인 100μmol·m-2·s-1 처리구 이었고, 50μmol·m-2·s-1 처리구에서 56매로 가장 적었다. 1주당 지상부 총 생체중은 150μmol·m-2·s-1 처리구에서 43.6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00μmol·m-2·s-1과 200μmol·m-2·s-1 처리구로써 각각 34.6g과 32.2g이었으며 50μmol·m-2·s-1 처리구에서 18.2g으로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 흰민들레 최적 생장을 위한 완전 인공광형 식물공장의 RBW LED(red:blue:white = 2:1:1) 조명의 광 조건은 광주기 16/8h, 광도 150μmol·m-2·s-1이었다.
        4,000원
        7.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흰 민들레 분말의 대체량을 0, 2, 4, 6, 8%로 달리하여 제조한 쿠키의 물리·화학적 품질특성, 산화방지 활성 및 소 비자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쿠키 반죽의 pH와 수분함량은 흰 민들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 하였으나(P<0.05), 밀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쿠키의 퍼짐성과 손실률은 흰 민들레 분말이 첨가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한편 명도(L*), 적색도(a*) 및 황색도(b*)는 흰 민들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0.05), 쿠키의 경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 향을 보였다(P<0.05). 산화방지 활성을 나타내는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 및 ABTS에 대한 라디칼 소거능은 흰 민 들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두 지표는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소비 자 선호도 검사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2% 첨가군이 다른 시료에 비해 높게 평가되었으며(P<0.05), 따라서 흰 민들레 분말의 기능적 이점과 관능품질을 고려할 때 쿠키 제조 시 흰 민들레 분말의 최적 첨가 농도는 2%가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8.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체 유방암세포 SK-BR-3, MDA-MB-231과 위암세포 AGS를 대상으로 국화과 식물 중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 TC), 고들빼기(Youngia sonchifolia, YS), 씀바귀(Ixeris dentate, ID) 추출물에 의한 증식 억제효과를 비교 한 후, 가장 억제효율이 높은 추출물을 선택하여 apoptosis 유도 효과를 조사하였다. 암세포의 증식 억제효과는 TC 추출물에 의한 영향은 약한 반면, YS와 ID 추출물에 의한 영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 가지 추출물 중 가장 효과가 뛰어난 ID 추출물을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농도 설정을 진행한 다음 이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ID 추출물에 의한 apoptosis 양성세포를 확인하기 위해 DAPI assay를 진행한 결과, ID 추출물을 처치한 군에서 apoptotic body와 세포질 응축을 확인하였다. MTT assay와 DAPI staining의 결과를 바탕으로 ID 추출물이 SK-BR-3, MDA-MB-231, AGS 세포에서 apoptosis와 관련한 단백질 발현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실시하였다. ID 추출물에 의해 SK-BR-3, MDA-MB-231, AGS 세포에서 pro-apoptosis인 Bax 단백질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antiapoptosis인 Bcl-2 단백질 발현은 SK-BR-3 세포에서는 발현의 변화가 거의 없었지만, MDA-MB-231과 AGS 세포에서는 감소하였다. 세포사멸의 주요임상지표인 Bax/Bcl-2 ratio는 MDA-MB-231세포에서 가장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손상된 DNA를 복구하는 단백질인 PARP의 발현은 감소하면서, cleaved-PARP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였을 때, YS와 ID 추출물은 TC 추출물에 비해 암세포의 생존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고, 특히 ID 추출물은 낮은 농도에서도 암세포의 생존 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ID 추출물에 의한 유방암세포 SK-BR-3, MDA-MB-231와 위암세포 AGS의 생존율 억제는 apoptosis 유도를 통해 이루어 지는 것으로 사료되며,그 중 유방암세포 MDA-MB-231에서 apoptosis 유도 효과가 뛰어난 것을 미루어 보아, 유방암의 종류와 그 특징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만 ID는 향후 유방암 예방 및 치료제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며, 추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in vivo에서의 ID 추출물의 항암효과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9.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흰 민들레의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흰 민들레 꽃, 잎, 뿌리의 부위별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에 대 한 세포독성 효과를 분석하였다. 흰 민들레 부위별 에탄올 추 출조건에 따른 추출수율은 꽃, 잎, 뿌리가 각각 32.15±3.21%, 31.63±0.63%, 27.48±2.47%로서, 꽃 > 잎 > 뿌리의 순으로 나 타났다. 흰 민들레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에서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꽃 추출물에서 61.29±2.11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 났으며, 그 다음이 잎(43.52±2.34 mg/g), 뿌리(11.36±1.87 mg/g) 순으로 나타났다. 흰 민들레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에서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같은 경향으로 꽃 (46.11±1.88 mg/g), 잎(24.89±1.20 mg/g), 뿌리(6.31±1.22 mg/g) 의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DPPH 라디컬 소거활성으로 분석 한 흰 민들레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으며, 꽃, 잎 및 뿌리 에탄올 추출물 1.0 mg/mL의 농도에서 각각 89.99±2.83%, 85.29±2.22%, 37.88± 2.34%로 꽃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DPPH 라디컬 소거능 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MTT법에 의한 흰 민들레 부 위별 에탄올 추출물 400 mg/kg 첨가시 위암 세포주(AGS), 폐 암 세포주(A-549) 및 대장암 세포주(HCT-116)에 대한 세포독 성 효과를 확인한 결과, 위암 세포주(AGS)에서 꽃(62.85± 4.63%), 잎(47.83±4.22%), 뿌리(4.73±0.89%)의 순으로, 대장암 세포주(HCT-116)에서 꽃(69.89±3.44%), 잎(54.14±2.82%), 뿌 리(9.42±1.11%)의 순으로, 폐암 세포주(A-549)에서 꽃(85.72± 4.17%), 잎(71.79±2.98%), 뿌리(19.10±2.04%)의 순으로 모든 암 세포주들에 대하여 꽃 부위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았으 며, 뿌리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모두 농도 의존적 으로 항암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흰 민들레는 향후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서의 이용에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0.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mpared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aerial part and root) of Taraxacum coreanum and Taraxacum officinale. To identify the nutrient composition of different parts of Daedelion species, nutrient contents were analyzed. Crude ash, protein, and fat contents of T. coreanum and T. officinale were higher in the aerial part compared to the roo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ude ash, protein, or carbohydrate content of the aerial part depending on the Daedelion species. Aerial part contents of vitamin A, E, and C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 coreanum than T. officinale. The K content of the aerial part of T. coreanum and T. officinale was highest,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aedelion species. Contents of oxalic acid, citric acid, and acetic acid in the aerial part of T. coreanum were highest.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aerial par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 coreanum than T. officinale. In conclusion, the aerial part of T. coreanum and T. officinale could be used as antioxidative functional food sources.
        4,000원
        11.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dandelion on color, texture, and antioxidant activity in Jeolpyon. Jeolpyon was prepared with varying amounts of dandelion ranging up to 20%. They were stored for 3 days at room temperature, and the color and texture were analyzed at different time intervals. L and a values decreased with increasing dandelion concentration while b values increased with increasing dandelion concentration in Jeolpyon. From texture analysis by Rheometer, the hardness and chewiness seem to be affected dramatically by the addition of dandelion in Jeolpyon. During storage, the control Jeolpyon without dandelion displayed greater than two fold increase in hardness, chewiness and brittleness, while the Jeolpyon with added dandelion had only slight increase during storage. The addition of dandelion in Jeolpyon also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The antioxidant activities increased linearly with increasing dandelion concentration in Jeolpyon. The increase of antioxidant activities in Jeolpyon with the addition of dandelion may be attributed to the polyphenols in dandelion since the amount of total polyphenol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dandelion in Jeolpyon. In sensory evaluation, the panels of twenties, thirties, and forties gave high scores to Jeolpyon with dandelion containing 10% 15%, and 20%, respectively in overall evaluation.
        4,000원
        12.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effect of Taraxacumofficinale on the qualitycharacteristics of Yugwa during storag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r than tota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xidative index of Taraxacum officinale ethanol extracts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compared with those of Vit.C, whereas they were similar with those of BHA. The L, a, and b levels of Yugwa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Taraxacum officinale powder; 6% Taraxacum officinale powder showed the lowest L and b levels. Hardness was unaffected by Taraxacum officinale content during the storage period. Brittleness of Yugwa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control, 1.5%, and 6% Taraxacum officinale powder, whereas 3% Taraxacum officinale powde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during storage. Peroxide value significantly decreased in 3% and 6% Taraxacum officinale powder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and 1.5% Taraxacum officinale powder after 4 weeks of storage. Taste, flavor, and crispness showed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according to Taraxacum officinale concentration. In conclusion, addition of 3~6% Taraxacum officinale powder provides beneficial effects in terms of storage life of Yugwa without any detrimental effe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4,000원
        14.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araxaci Herba has long been used in herbal medicine for their choleretic, anti-heumatic and diuretic properti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rigin plants of Taraxaci Herba, Taraxacum coreanum Nakai, as an anti-inflammatory agent in lipopolysaccharide(LPS)-induced microglial activation in BV2 cells. NNMBS273, the EtOH extracts of roots T. coreanum was examined for anti-neuronal inflammatory activity as new drug development. The roots of T. coreanum, showed the potent anti-neuroinflammatory effects on LPS-induced inflammation in microglial BV2 cells.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NNMBS273, the EtOH extracts of roots T. coreanum was demonstrated by the suppress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including pro-inflammatory enzyme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and cytokines (tumor necrosis factor-α and interleukin-1β).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oots T. coreanum may be a promising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related to neuroinflammation.
        4,000원
        20.
        200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APD를 이용하여 국내에 생육하는 4종의 자생 민들레와 2종의 귀화 민들레 종간의 유전적인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Primer Screening을 통해 선발된 30개의 Primer를 이용하여 RAPD를 행한 결과, Polymorphic band 수는 141개로 나타나 민들레 종간의 유전적인 차이 분석이 가능하였다. Primer OPC12, OPD16, OPK16, OPK17, OPK20, OPSI에서는 각 종마다. 특정 밴드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OPS8에서는 564bp에서 귀화종인 서양민들레 종에서만 특이 밴드가 나타났다. RAPD분석결과 자생종과 귀화종 민들레들은 명확히 2군으로 구분되었다. 1군에는 서양민들레. 붉은씨서양민들레 등의 귀화종 그룹이었으며, II군은 민들레, 산민들레, 좀민들레, 횐민들레 등의 자생종 민들레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Bootstrap 방법으로 6종의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도 비유사계수를 통한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와 매우 유사하였다 우리 나라에서 자생하는 민들레속 6종의 주요형질을 조사한 결과 I군에 속하는 민들레류는 II군에 속한 종들에 비해 개화일수가 길고, 외총포편의 방향이 다르며 털의 유무 또한 다른 특징이 있었다. ll군에 속하는 횐민들레는 다른 민들레종과는 화색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생종들 속에서도 잎의 방향과 발아의 생리적 특성 등 유전적으로 여러 다른 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함으로서 II군내에서도 유전적 거리가 가장 먼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