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2.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공용 중 보강토옹벽에 발생하는 배부름현상을 보강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현장실험으로 보강방법의 신뢰성을 파악 하고자 하였다. 보강토옹벽의 배수시설을 미설치하여 강우에 의해 배부름현상이 유도되도록 하였으며, 시공 후 15일간 변위속도가 크게 발생한 후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유도된 배부름현상의 변위는 미연방도로국(FHWA)의 시공 중 수평변위 기준을 적용하여 판단하였다. 배부름 현상을 보강하기 위해 보강토옹벽에 소일네일을 설치하고, 네일의 두부를 수평으로 서로 연결하여 보강토 옹벽의 블록들을 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보강재들의 보호를 위해 숏크리트로 보강면을 마감하고 계측장치를 설치하였다. 배부름현상 보강방법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변위의 진행을 검측한 결과 보강 후 수평변위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보강방법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case was analyzed for the repair of the reinforced earth wall during its construction. Such a problem is deemed to require more in-depth design and quality control.
        6.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for investigating the types of damages that can occur on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the results of field survey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on the expressway where problems have been reported are summarized. The results of analysis on damage type and cause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of highway are presented.
        7.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case was analyzed for the repair of the reinforced earth wall during its construction. Such a problem is deemed to require more in-depth design and quality control.
        8.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is being applied in many construction sites such as slopes, roads, retaining walls with the development of geosynthetic. The case caused a problem with the stability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often occurs because the construction is being conducted, ignoring the basic assumptions of the economical design. In this study,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damage cases were analyzed in order to derive the cau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future maintenance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9.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ighway construction to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which is under constant traffic load there is a possibility of generating the displacement at the top. In this study, it was conducted determine how to repair reinforcement method through examination of cause and stability analysis when occurs the displacement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10.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수직 보강토 옹벽의 전면녹화에 대한 연구이다. 기존 수직의 식생 보강토 옹벽은 별도의 관수시설이 설치되지 않아 식생층 내부로 지속적인 수분 공급이 어렵게 때문에, 건기가 한달 이상 지속되는 경우 고사의 우려가 있고 식생매트를 적용하지 않고 전면부에 직접 Seeding 하는 경우 집중호우시 토사 유출 및 세굴현상으로 인한 하자가 발생하여 유지보수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별도의 관수시설을 갖춘 식생블록 장치에 기존에 이용되는 식생매트 4종과 두 종류의 종자를 직접 파종하여 발아상태와 생육상태를 관찰하므로써 수직의 보강토 옹벽과 같은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식생매트와 수종을 알아보았다. 식생매트와 종자에 대한 발아특성 시험결과 수직환경에서 식생매트 C, D는 낮은 성장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식생매트 A, B는 양호한 성장을 보였다. 또한, 식물식재수태층에 양잔디를 직접파종한 경우 20일 경과 후에도 발아가 되지 않아 수직상태에서 직접파종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세덤류는 지면에 수평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식재하였으며, 수직벽체 설치 후 양호한 성장상태를 보였다. 실험시기가 11월로 식물의 성장이 멈추는 시기이므로 세덤류의 경우 더 이상의 성장은 없었으나 활착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