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사형제도의 현황을 세계적인 흐름과 함께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사형제도를 향한 불교적인 관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헌법재판소는 2010년 2월 5대 4의 의견으로 사형에 대한 합헌 결정을 내렸다. 헌법재판소가 사형제도에 우호적인 결정을 내린 것은 1996년 이래 14년 만이다. 2019년 6월 14일(금) 전국 19세 이상 성인 9,852명에게 접촉해 최종 500명이 응답한 리얼미터 주중 통계표에 의하면, 사형제도에 대한 국민 여론은 찬성 51.7% 반대 및 폐지 45.7%로, 찬성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형제도에 대한 통합된 불교적 입장이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불교계의 사형제도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을 표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사형제도 존・폐의 문제는 남・북이 분단된 특수한 상황이고, 지금도 도발과 위협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성급하게 결정하기보다는 현행대로 유지하면서 국민의 공감대가 이루어질 때를 기다려 폐지하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세계의 대부분 국가들은 사형을 폐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국내외적으로 폐지압력을 받고 있다. 우리는 1997년 이후 사형을 집행하지 않고 있지만, 법적으로 사형집행의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사형은 형법에 규정되어 있고, 이에 대해 헌법재판소도 합헌이라는 입장이다. 이 논문은 사형제도가 위헌적인 측면이 있음을 밝히고 현대사회에서 더 이상 용납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사형과 같은 기능을 하는 형벌이 존재하지 않는 한 곧바로 폐지하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우선 사형제도가 유지되는 현재에는 사형이 가능한 형법규정의 축소, 보다 엄격한 양형기준의 마련, 만장일치제 및 필요적 변론제도의 도입 등을 통해 사형선고를 제한하거나, 실제로 사형이 집행되는 가능성을 제한하도록 사형집행유예제도의 도입하거나, 교정시설에 수용중인 사형확정자에 대한 교화프로그램을 확장하는 등으로 형사사법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고 본다. 종국적으로 사형제도가 폐지되는 경우 절대적 종신형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타당하다.
The death penalty is one of the oldest forms of punishment, and despite its evil nature it still remains a worthy system. Ultimately, of course, the capital punishment is stepping towards extinction. Also, many countries are banning it altogether, if not already banned. However, it is rather inappropriate to say that a country that prohibits execution is a country that assures humans rights. Similarly, a person against the death penalty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he/she is a human rights activist. So far, the debate whether to continue or to abolish the capital punishment has been valued too abstractly by ethical and religious measures. It is true that the death penalty has realistic functions such as acting as the last measures to social protection, realizing judicial definition, and reducing criminal judicial cost, however, they have not been valued properly. Thus, these functions must be considered before a decision can be made whether to use the death penalty or to eliminate it from the society. The capital punishment has been used as means to control the society, the East and the West alike, from the ancient times and has undergone many changes historically. One of the main problems of the system, however, is the fact that it has been used as a political tool. Therefore, the death penalty has to be prevented altogether from being used as an instrument to rid of political opponents or to suppress minor powers or alienated groups. In addition, the system has to be strengthened by devising plans to minimize the room for error. Criminal law that allows death penalty to political offenders or public safely violators should be revised. Meanwhile, trial procedures, such as trials by jury, also need changes so that the highest level of prudence is given for the capital punishment. The capital punishment is a fearful system where human lives are take away but is also absolutely necessary. It is an appropriate retribution for those immoral members of the society who has no respect for the life of others. It also is a defense mechanism to prevent more lives from being harmed. Therefore, we must change our attitude about the death penalty to a more realistic viewpoint. In general, those criminal procedures that only protect the criminals rights should also be revised to protect the victims instead. In sum, the capital punishment will no longer be needed when the criminals that deserve the ultimate punishment no longer exist in our society.
A probation system of death penalty can lie halfway between death penalty and life sentence. Since grotesque and crude murder cases continually happen in Korea, it is difficult to abolish death penalty right now. We need to introduce the probation system of death penalty, which may be regarded as an interim stage for abolishment of death penalty. I have investigated the current death penalty system in China and found the following problems: There are many kinds of crimes punishable by death penalty, the appropriate condition is not shown to apply the probation system of death penalty, and the number of execution is the largest in the world. However, the probation system of death penalty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It is a humanistic system to head for the return to society, a positive effect of correction can be anticipated during the probation, and danger of misjudgement can be minimized. Moreover, in regard to the probation system of death penalty, I have explored a range of probation judgement, the probation period, the screening procedures of application, and the cases of remission.
Since sustenance and abolition of death penalty system have an argument about the world view, we cannot conclude which one is right. The death penalty system can be changed by the age and situation. In Korea, the death penalty system is based on the situation of its application and Korean people's mind of law. So we should investigate the death penalty system in terms of fluctuating the two factors. In the first stage, the death penalty system has to be reformed with respect to reduction of the death penalty regulation, establishment of the criteria in death penalty application, and elaboration of criminal suit procedures. In the second stage, the system of death penalty suspension should be introduced as a transitional one to abolish death penalty. This is the necessary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humanism and criminal policy. It is also essential to avoid misjudgement. This system has a five-year deferral period, in which after five-year suspension, we will determine whether death penalty is executed or penal servitude for life is served. In the final stage, when it is legally convinced that people in Korea reach a consensus to abolish death penalty, we should introduce special penal servitude for life, which is more strict than the present penal servitude for life. Moreover, we should reform regulations of criminal law to be able to assign penal servtude for life as well as special one to criminals.
“사형제도”를 다루는 방식은 법률적이고, 민속학적이며 사회학적인 분 야이지만 우리는 이 문제를 종교사적으로 고찰하려고 한다. 즉, 기독교의 관점에서 볼 때 “사형제도” 역시 매우 중대한 사안이었음에 분명하며 이를 둘러싼 입장 역시 첨예하게 달랐음을 알 수 있다. 어떤 이들은 신약성서에 따르면 사형제도는 불가능하다고 말하는가 하면 어떤 이들은 복종과 불복 종의 문제에 있어서 하나님이 정부에 사형제도라는 권한을 부여해주셨다 고 주장한다. 무엇보다 사형제도를 거부하는 이들은 하나님의 법의 이반 (離反)이라는 전제 아래 주장하였다. 반면 신정통주의 신학자인 에밀 부룬 너는 “검, 즉 사형제도는 깨어진 하나님의 질서에 대한 신의 거룩한 진노 의 표현이며 표현이어야만 한다”고 기술했는데, 이는 완고한 이단, 어린이 들을 미혹하는 유혹자, 살인이나 신성모독자 같은 범법자들에 대해서 불과 검으로 근절시켜야 한다는 프란체스코회 설교자인 시에나의 베르나르딘 (Bernardin von Siena, 1380-1444)을 연상시킨다. 그렇다면 이 문제를 종교 사적으로 다룬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원-사료에 대한 언어학적이고 역사적인 해석을 바탕으로 국가와 정치에 대한 종교적인 관계를 묻는 것인 데, 이때 본문과 사실에 대한 종교사적인 접근이란 종교적인 언어로 환원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아우구스티누스는 북아프리카 교회가 겪고 있는 도나투스파 논쟁에 깊이 관여하면서, 그 지도자였던 “파르메니아누스 서신 논박”(Contra epistulam Parmeniani)을 남겼다. 그는 이 작품에서 근본적으로는 살인과 같은 사형제 를 인정하지 않지만, 경우에 따라서 하나님의 권위와 국가의 권위를 모독 함으로써 질서와 규정을 깨는 행위들에 대해서는 “사형제”라는 강경한 입 장을 천명하였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