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2.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an asphalt pavement material with high elasticity and watertight through mix design and laboratory tests. METHODS: High elastic (HE) asphalt modifier blended of thermoplastic elastomer, naphthene oil, mineral fiber and organic vulcanization accelerator was developed. Mix design was done to determine the aggregate gradation and optimum asphalt content for making high elastic and watertight asphalt mixture. Performance grade test of HE-modified asphalt binder as well as asphalt mixture tests, which include the tensile strength ratio test, Hamburg wheel tracking test, third-scale model mobile loading simulator(MMLS-3) test, four-point flexural fatigue test, and Texas reflection crack test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modified asphalt mixture. RESULTS: 7.7% optimum binder content was determined through the mix design, which met the quality criteria of Marshall asphalt mixture. The binder test indicated that the grade of the HE-modified asphalt was PG76-28. The results of the mixture tests indicated a tensile strength ratio of 0.92 and a rut depth of 6.2 mm at 20,000 cycles of Hamburg Wheel-Tracking Test. The asphalt mixture test also showed that the rut depth of HE-modified mixture was 39% less than that of Guss asphalt mixture. The crack resistance of the HE-modified mixture was 1.6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Guss asphalt mixture from the Texas reflection crack test results. CONCLUSIONS: It can therefore be reasonable that HE-modified asphalt mixture is used as an intermediate layer in the asphalt overlay on concrete pavements. Additionally, the HE-modified asphalt mixture can be used for the asphalt pavement materials with high performance and watertight.
        4,000원
        3.
        2013.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교면 슬래브에 균열의 발생 및 수분의 침투는 구조물 내부의 철근 및 철골을 부식시키며, 아스팔트 콘 크리트 층의 파손, 특히 동절기 노면 결빙 방지를 위해 살포된 염화칼슘의 염해 피해 등을 고려할 시 교면 방수는 필수적인 항목이다. 피해를 방지하고자 적용하는 공법 중 방수성·내유동성·내마모성이 우수한 구스아스팔트 포장을 시공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설비비용과 운반, 포설장비에 드는 비용이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으며, 강상판 위에 시공하였을 시 고온의 열이 전달되어 구조물의 변형을 유발하고 시공 후에는 잔류 응력 및 잔류 변형의 형태로 남게 된다. 고온 시공은 변형에 대한 우려 뿐 아니라 계속해서 높은 온도를 유지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있다. 플랜트에서 아스팔트를 제작 후 포설 시까 지 항시 고온을 유지 하여야 하기 때문에 안전을 요하며 작업으로 한순간의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 작업군으로 분류되고 있다. 여기에 온실가스배출 이라는 추가적인 단점을 볼 수 있다. 고온에서의 아스팔트 생산 및 포장 과정에서 이를 위하여 혼합물의 가열을 위해 많은 양의 연료가 소모되고, 이산화탄소와 황산화물 등 유해가스가 많이 발생한다.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국내에서는 방수층 용도로 기층 포장에만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 구스아스팔트의 포장 및 방수층의 물리적 기능을 살리면서 60℃~80℃의 중온시공이 가능한 포장 공법에 대한 내용이다. 기존의 구스아스팔트와 동일한 골재입도 및 아스팔트함량을 적용하되 중온에서 최적의 구스함량으로 골재를 코팅한 후 반응성 아스팔트를 사용하여 중온에서 시공이 가능토록 하였다. 고온시공을 중온시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 및 시공성의 효율성을 높였으며 탄소저감 과 공사비의 절감에 유리한 공법으로 판단된다.
        4.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인공지반녹화가 주변 생활공간의 쾌적화, 에너지 절약효과, 도시 미관의 환경개선 등의 장점을 갖고 있어 콘크리트 위에 녹화 공간 조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축공사 표준 시방서, 건축물 녹화 설계기준 등에서는 방수층의 수밀안정성 확보를 위해 일정 품질 이 상의 방근층 설치를 규정하고 있으나, 실제 우리나라의 많은 현장은 방수층 위에 누름콘크리트 타설 후 인공녹화를 시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근층을 시공하지 않은 현장을 대상으로 지표를 설정하였으며, 누름콘크리트의 균열에 따른 식물의 뿌리가 균열부로 침 입 및 관통하여 누름콘크리트 하단부의 아스팔트 방수시트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