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2.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500 mL 용량의 식염수가 한국에서는 콘택트렌즈 헹굼에 흔히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사용한 대용량 식염수의 미생물 오염과 관련된 위험 요인을 분석하였다. 방법: 120명의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자를 모집하고 식염수를 나누어 준 후 이들이 사용한 식염수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사용한 식염수의 미생물 오염상태는 세균의 집락수 (colony-forming units)로 평가하였고, 세균의 종류는 유전자 중합효소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으로 얻은 DNA 서열을 자동 염기서열분석기 및 BLAST 분석기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식염수 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카이제곱검정, 상관분석 및 다중회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집된 식염수 중 45%가 세균에 오염되었으며 7종의 감염성 세균을 포함한 27종의 세균이 검출 되었다. 세균의 오염은 무방부제 식염수, 구멍이 뚫린 용기, 식염수 사용기간 및 렌즈착용 전의 손 세척 습관과 상관성이 있었다. 결론: 방부제가 포함된 식염수는 구멍이 뚫려있지 않은 용기에 적은 용량으로, 무방부제 식염수는 1회용으로 제조되어야 할 것이며, 콘택트렌즈 착용자에게는 관리방법에 대한 재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6.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의 세균오염은 안과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우리 나라에는 용량이 큰 식염수를 콘태트렌즈 관리에 사용하고 있어 방부제가 포함된 식염 수 1 종과 무방부제 식염수 2종을 대상으로 안전성을 조사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자 120명을 대상으로 식염수를 3일에서 3주 동안 사용하도록 지시 한 후 사용한 식염수의 일부를 취하여 BHI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균의 16S rRNA는 중합효소반웅(PCR) 과 자기염기서열분석기를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nucleotide database의 BLAST program올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120 병의 식염수 중 오염된 식염수는 49병으로 (45%) 나타났고, 오염 도는 방부제가 포함된 식염수에서는 최고 66,000 CFU/ml, 무방부제 식염수에서는 최 고 180,α)()CFU/ml로 나타났다. 오염 된 균주는 Achromobacter xylosoxi따15, Alcaligenes sputorum, Pseudomonas huttiensis. Stap따locoCiα'Js epidermidis, Pseudomonas huttiensis, Achromobacter xylosoxidαIS 맞 Pseudomonas aeruginosa 둥 총 27 개 균종이 검 출되 었다. 식염수는 방부제 포함 유무에 상관없이 개봉 후 오염되기 시작하여 시간이 경과하 면 오염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염된 세균은 대부분 기회감염 또 는 병원감염에 관련된 세균으로 결막염, 각막염, 각막궤양, 안내염올 유발하는 균주로 조사되었다.
        4,500원
        7.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중에서 유통되는 눈물분비 부족 및 접액부족으로 인한 안구건조증상 의 해소와 하드 콘택트렌즈의 윤활제로서 사용되는 인공누액(Artificial Tears) 10종 류와 렌즈 세척 후 행꿈과 습용 및 안구 세척에 이용되는 둥 가장 전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점안제인 생리식염수(S머ine) 7종류를 배양 생쥐섬유모세포(L929 cell)에 25% 농도로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ELISA Reader(multi well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해 MTT와 SRB Assay로 세포증식 저해 정도률 검정하였다. MTT Assay 결과, 인공누액의 경우 10종류 중 6종류 제품에서, 40% 이상의 세포증식 저해 가 나타났으며 식염수에서는 7종류 중 3종류에서 40% 이상의 세포중식 저해를 나타 냈다. SRB Assay결과, 인공누액 5종류에서 60% 정도의 세포중식의 저해와 식염수 3 종류에서 40% 이상의 세포중식 저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일부 제품의 인공누액과 식염수에서 L929 세포중식올 저해하 는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8.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농도의 산소를 흡입하는 경우에 자기공명영상의 FLAIR(fluid attenuated inversion-recovery, FLAIR) 영상 에서 뇌척수액에서 신호가 억제되지 않고 고신호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본 연구는 아가 젤로 고정한 팬텀을 제작하여 산소를 주입한 생리식염수와 조영제를 희석한 생리식염수의 신호를 FLAIR 기법의 반전시간(TI : inversion time)을 변화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분석하여 기초자료를 마련 하고자 하였다. 부산 P병원의 Philips Achieva MR 3.0T를 이용한 결과에서 자기공명영상의 FLAIR 기법에서 산소가 주입된 생리식염수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는 산소가 주입되지 않은 생리식염수 보다 증가되었다. 하지만 희석된 조영제보다는 높지 않았다. 반전시간 1,800ms에서는 산소에 의한 신호 증강이 없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다. 산소가 주입된 생리식염수와 조영제의 대조도 대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에서도 임상에서 주로 사용하는 반전시간 2,800ms보다 1,800ms에서 높게 증가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가 자기공명영상의 FLAIR 기법에서 산소 주입에 따른 뇌척수액의 신호 변화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9.
        2017.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re are reports that inhaling hypertonic saline with bronchodilator is helpful in the treatment of bronchiolitis.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if it is helpful to inhale hypertonic saline with bronchodilator in children with recurrent wheezing.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ypertonic saline inhalation in children with recurrent wheezing. A total of 40 patients under 6 years of age admitted to Kwangju Christian Hospital from December 2014 to May 2016 were enrolled.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salbutamol. In the control group (n=21), salbutamol (2.5-5 mg / 0.5-1 mL) was inhaled four times a day with physiological saline (0.9% normal saline 1-3 mL). In the experimental group (n=19), the same amount of hypertonic saline (5% saline 1-3 mL) was inhaled four times a day instead of physiological saline. We compared the duration of wheezing remission between patients who had recurrent wheezing (n=40).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wheezing remission in patients who had recurrent wheezing. But the hypertonic saline inhalation group had a lower post treatment clinical score on the 2nd-3rd day of admission than the physiological saline inhalation group. In this study, hypertonic saline inhalation therapy was not significantly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recurrent wheezing. More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inhaled hypertonic saline is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recurrent wheezing.
        10.
        2014.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외과적으로 정소를 제거하는 물리적 거세와 약물을 이용한 화학적 거세는 의학적 치료나 연구의 목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 흰쥐 정소에 20%의 고장성 식염수를 직접 주사할 경우 혈중 테스토스테론 수준이 외과적 거세와 유사한 수준까지 저하되어 화학적 거세 상태에 들어감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고장성 식염수를 정소에 직접 주사함으로서 나타나는 염증반응으로 인해,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보다 낮은 농도의 식염수를 주사하여 농도에 따른 효과와 효용성을 조사하고자, 조직학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성체 수컷 흰쥐에 멸균한 5%, 10%, 20% 생리 식염수를 정소 당 500 ㎕씩 직접 주사하여 농도별 식염수 주사군(saline-injection)과 대조군(control)로 분류하고, 실험군의 체중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주사 후 1주 뒤에 모든 동물들의 체중을 측정한 후 희생하였다. 각 실험군의 체중 변화와 조직 무게 변화를 비교하였고, 생식기관인 정소, 부정소, 저정낭, 전립선은 Hematoxylin & Eosin 염색법을 사용하여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정소 무게는 5% 주사군과 20% 주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10% 주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부정소의 경우 20% 주사군에서 매우 유의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고, 저정낭의 무게는 10% 주사군과 20% 주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전립선의 경우 20% 주사군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기타 조직에서는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비장의 무게가 10% 주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신장은 20% 주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조직학적 관찰 결과, 10% 주사군과 20% 주사군의 정소에서 전체적인 형태 변화와 세정관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었고, 부정소는 20% 주사군의 경우 도관 내 정자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저정낭의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내강이 감소하며 위축되는 양상을 보였다. 전립선은 20% 주사군에서 확연한 내강의 감소와 도관의 격리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보고된 정소 내 식염수 주사모델의 독성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보다 낮은 농도에서의 효용성을 조사하고자 한 것이다. 생식 기관의 조직학적 조사를 통해 비교적 낮은 농도의 식염수 주사모델이 기존의 20% 식염수 주사 모델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물리적, 화학적 거세모델과 유사한 거세 효과를 유발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1.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고장성(20%) 생리식염수를 흰쥐 정소에 직접 주사할 경우, 혈중 테스토스테론 수준이 최저 수준에 도달하고 정소 조직이 완전히 파괴됨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능적 ‘거세’ 효과를 유발하는 생리식염수 주사 모델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생식기관의 무게와 해부학적 변화, 그리고 생식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 발현을 정소절제모델과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생후 5개월된 수컷 흰쥐(S.D. strain)를 무처리군(intact; control), 정소절제군(orchidectomy), 식염수 주사군(saline-injection)으로 나누어 식염수 주사군에는 정소 당 750 ㎕의 멸균한 20% 식염수를 직접 주사하였고, 정소절제 수술은 식염수 주사가 행해진 날에 시행하였다. 주사 후 1, 2, 4주 및 3개월 경과 후에 동물을 희생하여 생식조직들을 채취하였다. 체중의 경우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정소절제군과 식염수 주사군 모두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식염수 주사군의 정소 무게는 무처리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부정소와 저정낭 그리고 전립선의 무게의 경우 무처리군에 비해 정소절제군과 식염수 주사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조직학적 조사에서 식염수 주사군의 정소 대부분에서 괴사가 발견되었으며, 세정관내 정자를 확인할 수 없었다. 정소절제군과 식염수 주사군의 부정소, 저정낭 그리고 전립선 모두에서 무처리군에 비해 내강이 수축하여 면적이 크게 감소함이 관찰되었다. 시상하부에서 Kisspeptin의 mRNA 수준은 정소절제군과 식염수 주사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뇌하수체 호르몬 발현(Common alpha, LH-beta 그리고 FSH-beta subunit)은 대조군 대비 식염수 주사군에서 대체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정소 내 고장성 식염수 직접 주사모델이 정소절제와 유사한 테스토스테론 제거 효과를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안정성과 효용성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지만, 고장성 식염수 주사모델은 외과적 거세를 대체하면서 동시에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실험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2.
        2011.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진 등은 고장성(20%) 생리식염수를 흰쥐 정소에 직접 주사할 경우, 혈중 테스토스테론 수준이 최저 수준에 도달하고 정소 조직이 완전히 파괴됨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능적 ‘거세’ 효과를 유발하는 생리식염수 주사 모델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정소절제모델과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생후 5개월 된 수컷 흰쥐(SD strain)를 무처리군(intact; control), 정소절제군(orchidectomy), 그리고 식염수주사군(saline-injection)으로 나누어 식염수주사군에는 정소당 750 ㎕의 고장성 식염수를 직접 주사하였다. 정소제거 수술은 식염수 주사가 행해진 날에 시행하였다. 주사 후 30일 후 동물을 희생하여 혈액과 조직들을 채취하고, 조직 무게를 측정한 후 조직학적 조사를 위해 고정시켰다. 혈중 테스토스테론 농도의 경우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정소절제군과 식염수주사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체중의 경우 무처리군에 비해 식염수주사군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정소절제군에서는 감소 경향은 있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식염수주사군의 정소 무게는 무처리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부정소, 저정낭 그리고 전립선의 무게의 경우 무처리군에 비해 정조절제군과 식염수주사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조직학적 조사에서 식염수주사군의 정소 대부분에서 괴사가 발견되었고, 세정관내 정자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백막 부근에서 단핵구들이 대량 관찰되었다. 부정소 두부와 미부에서는 정소절제군과 식염수주사군 공히 도관의 내강 내 정자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내강 측 상피세포층이 이상 증식으로 비대해짐이 관찰되었다. 한편, 저정낭의 경우 정소절제군과 식염수주사군 모두 내강 면적이 무처리군에 비해 크게 감소함이 관찰되었다. 전립선의 경우도 정소절제군과 식염수주사군 모두 상피세포의 세포질이 감소하여 세포층이 얇아짐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고장성 식염수의 정소내 직접 주사모델이 정소절제와 유사한 테스토스테론 제거 효과를 유발할 수 있음을 해부학적으로 확인한 것이다. 향후 안정성과 효용성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지만, 고장성 식염수 주사모델은 외과적 거세를 대체하면서 동시에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실험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3.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고장성(20%) 생리식염수를 흰쥐 정소에 직접 주사할 경우, 혈중 테스토스테론 수준이 최저 수준에 도달하는 화학적 거세 상태에 들어감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간단한 생리 식염수 주사 모델의 효용성을 더 검증하기 위해 정소의 미세 해부 구조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군으로는 무처리군(intact, control), 정소제거군(orchidectomy), 그리고 식염수 주사군(saline-injection)으로 하였으며, 식염수 주사군에는 정소당 750 ㎕의 멸균한 20% 식염수를 직접 주사하였다. 정소 제거 수술은 식염수 주사가 행해진 날에 시행하였다. 주사후 30일 경과 후에 동물을 희생하여 생식조직들을 채취하고 무게를 측정한 후 조직학적 조사를 위해 고정시켰다. 체중의 경우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정소절제군과 식염수 주사군 모두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식염수 주사군의 정소 무게는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부정소와 저정낭의 무게의 경우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정소절제군과 식염수 주사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전립선의 경우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정소절제군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식염수 주사군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은 있었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외양상으로 식염수 주사군의 정소에는 약간의 위축이 나타났으며, 백막이 정상적으로 보였다. 그러나 조직학적으로 정소 대부분에서 괴사가 발견되었으며, 헤마톡실린-에오신으로 거의 염색되지 않았다. 동일한 절편에서, 주사 부위의 정반대 부분은 비정상적인 세포층들이 염색되었다. 대부분의 세정관에서 미성숙한 생식세포들이 기질 막에서 분리되고, 내강 쪽으로 세포들이 떨어져 나간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정소내 고장성 식염수 직접 주사가 부속 생식기관에 정소절제와 유사한 테스토스테론 제거 효과를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비록 심층적인 연구들이 더 요구되지만, 본 연구는 정소 내 고장성 식염수 직접 주사법이 비용이 덜 들고 덜 침습적이면서 정소절제술이나 화학적 거세와 거의 동일한 효용성을 가졌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