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중국, 한국에서 신체의 일부인 손을 가리키는 ‘手’가 어떻게 의미 확장이 되어 다양하게 사용되는지 대조하고자 한다. 신체의 일부인 손을 가리키는 ‘手’는 중 국에서는 ‘어떤 기능이나 기술을 가진 사람’, ‘수단’, ‘일손’ 등을 나타낸다. 한국에서는 ‘일을 하는 사람’, ‘어떤 일을 하는 데 드는 힘이나 노력’, ‘어떤 사람의 영향력이 미치 는 범위’, ‘사람의 꾀’ 등을 나타낸다. 두 언어에서 ‘手’와 ‘손’의 의미 확장이 비슷한 것을 볼 수 있는데, ‘手不够’, ‘손이 부족하다’가 그것이다. 이렇게 동일한 의미 확장도 존재하지만, 주지한 바와 같이 의미 확장 양상은 두 언어에서 차이를 가진다. 본고에 서는 의미자질 및 의미지도 연구 방법을 통해 ‘手’, ‘손’을 대조 분석하였다.
        6,000원
        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의 일상 언어 중 신체어는 단순히 신체 부위를 가리키는 개념이 아니라, 여러 가지 영역으로 의미가 확장되어 비(非)신체영역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쓰이기도 한다. 본고는 이러한 현상에 주목하여 중국어와 한국어의 신체어 ‘耳’과 ‘귀’를 대상으로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그 의미 확장 양상과 원리를 살펴본 것으로,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신체어의 의미 확장 과정은 개념적 은유와 개념적 환유가 대표적인 기제로 작용하는 데 이것은 우리의 신체적 경험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대상과 유사성이나 인접성의 관계를 맺으며 산출된다. 둘째, 양국민의 인지 차이는 서로 다른 개념 영역으로 의미 확장이 이루어 지며, 또한 같은 대상이더라도 서로 다른 언어권 화자에 따라 관찰 각도가 다르고 다른 측면을 부각시킴으로써 중국어와 한국어 각각 고유의 의미 확장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요컨대, 우리의 개념 체계는 본질적으로 비유적이며, 중국어와 한국어 각 언어권 화자의 풍부한 경험과 문화적 차이, 인지의 차이는 서로 다른 개념을 인지하고 언어화하며, 또한 서로 다른 의미 확장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5,400원
        3.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o Nam-min 2012. A Study on The Emergence of Terms for Female Body, and Changes in Perspectives - with focus on female words such as pregnancy, delivery, and womb.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0(2). pp. 425-446. This research studies emergence and changes of female words, especially about pregnancy, delivery, and womb, through analysis of medical books and female literature in Chosun dynasty and modern enlightenment era. It studies how females recognized their bodies and gender differently from Chosun dynasty’s patriarchal system to rapidly changing modern enlightenment period. Birth (and delivery) is one of the indispensable steps of human life, and the whole process of pregnancy and delivery is closely related to pregnant mother. Through pregnancy and delivery, infants and mothers attain new social status, and, at the same time, experience significant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 As a consequence, while related literatures such as medical books published in Chosun dynasty were focused on being pregnant and delivering infant, those published in modern era paid more attention to pregnant mothers’ body and health. It was thanks to the import of western medicine and enhanced scientific understanding of pregnancy and delivery. More frequent mention about female health and body were found in modern female and family literature, and it was found that perspective on and understanding about pregnancy, delivery, and infant care were changed. It was the results of changes in social and cultural understanding of females given that perception on bodies are developed and defined in social and cultural ways.
        5,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