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여자축구선수들이 재활과정에서 느끼는 심리적 변화를 탐색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 는 전략을 살펴보는 데 있다. 방법: 참가자는 2018년 대학 여자축구연맹에 등록되어 있고, 부상으로 인한 재활경 험이 있는 7명의 선수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개인 면담과 집단면담을 시행하여 수집된 자료를 구성주의 근거이론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접근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선수들은 재활 과정 초기에서 부정적인 생각 을 하게 되는 동시에 긍정적으로 생각하려는 노력이 순환적으로 반복되는 심리적인 양상을 겪으며, 선수 생활에 대한 양가감정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 과정 중기의 심리적 변화에서는 재활상황 자체에 대한 초조함과 불안함, 심리적 압박감을 느끼면서도 점차 회복하는 신체에 자신감을 얻고 복귀를 위한 노력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 과정 후기에서는 복귀에 대한 설렘을 가지면서도 재발 불안감 등으로 부담과 압박을 느끼는 복귀 에 대한 양가감정이 드러났다. 선수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구성한 극복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감 향상전 략, 긍정적 사고의 전환 등의 심리적 극복, 둘째, 복귀를 위한 훈련을 포함한 신체적 극복, 셋째, 여자선수들을 위 한 전문적 프로그램 필요의 환경적 지원, 넷째, 주요타자지원과 같은 사회적 지원이다. 결론: 대학 여자축구선수 들은 재활과정에서 여러 가지 복합적인 심리적 변화를 겪으며, 선수로서의 삶을 진지하게 고민해보는 양가감정의 갈등이 함께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드러난 양가감정의 폭을 줄이거나 해결하는 심리적 과정은 선 수로서의 정체성을 재확립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이에 기반하는 내용을 포함한 전문적인 스포츠 심리상담과 체계적인 지원이 재활과정의 선수들에게 필요할 것이다.
        2.
        201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he evaluation and effects of mindfulness· acceptance, commitment(MAC) approach on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golf performance in elite golfer.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as the three golfers registered by KLPGA. All of golfers received the same measures given at pre- and post-7 treatment :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16(AAQ-16: Bond et al 2000), golf performance (scores average, putting average, birdies average, GIR %, par save% par break%, recover average). MAC strategies of this study were mindfulness, acceptance, defusion, commitment, and value. Results: during 7 treatments of mindfulness⋅acceptance commitment, acceptance & action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golf performance of three golfers was improved. Conclusion: MAC training is evaluated to contribute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golf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erience the MAC training for th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continuous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golf players. In particular, it is recommended to learn psychological flexibility to focus on current awareness, non-judgmental acceptance, decentralized attention of mindfulness, and commitment for value behavior. The detail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3.
        200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여자프로볼링선수들의 경기 전과 경기 중에 일어나는 심리적 방해요인은 어떠한 것이 있으며, 그러한 방해요인에 대한 대응 극복전략으로는 어떠한 것을 사용하는지를 질적연구를 통하여 알아보고 이를 통해 여자프로볼링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한국프로볼링협회(KLPBA)에 소속되어 있는 12명의 여자프로볼링선수들로 2008년도 상금랭킹 1위에서 20위 이내선수들로 선정하였다. 여자프로볼링선수들의 경기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운동방해요인에 따른 대응 극복전략을 규명하기 위해 이우만(1999)의 선행 연구들을 참조하여 여자프로볼링선수들에게 적합하도록 재수정한 64개의 질문 문항 및 개방형 문항에서 이근춘(2000)이 세부영역과 일반영역의 분류를 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모든 선수들이 다양한 방해요인 부정적 사고, 정신집중 또는 주의집중 저하, 컨디션, 시합전의 불안·긴장·흥분, 자신감 결여, 슬럼프, 지나친 자신감, 승리에 대한 압박감, 의욕상실과 동기저하, 타이밍·리듬·밸런스의 문제, 경기 중 볼링 볼 및 구질 선택의 착오, 전술 및 전략 부족 등이 있었으며, 대응 극복전략으로는 대안적 행동, 이미지 트레이닝, 자기조절, 자아대화, 신앙의지, 목표수정, 긍정적 사고, 적극적 행동, 전략, 지도자의 도움, 주의집중, 기분전환, 연습조절, 과제최선, 휴식, 전문가의 도움 등과 같은 방법들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자 프로볼링선수들은 많은 심리적 방해요인들로 인하여 경기 전 경기 중에 심리적 방해를 많이 받고 있으나 선수들은 자신의 심리적 장단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자신에게 알맞은 대처방안을 사용하여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200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비만 청소년을 대상으로 건강운동 실천을 위한 개인과 집단차원의 심리적 중재 전략을 개발하고 이의 상대적 중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인천광역시 소재 1개 중학교에서 비만 판정을 받은 1,2학년 학생 36명이 실험조건인 집단중재 조건과 개인중재 조건 및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체계적 배정되었으며, 이들은 예비모임을 포함한 9주간의 실험처치 및 운동프로그램에 참가하였다. 중재의 효과성은 체중과 비만도, 7일 여가시간 운동량(MET)과 더불어 운동통제 지각, 운동결과 기대, 신체적 자기개념, 자기존중감을 포함하는 인지적 변인에 대하여 사전, 4주차, 8주차의 측정치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아울러 실험종료 4주 후 중재효과의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해 체중과 비만도 및 운동량에 대한 추적검사를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에 대한 측정시점별 집단 간 차이(일원분산분석)와 각 집단별 측정시기 간 차이를 반복측정분산분석 한 결과, 체중과 비만도에서 심리적 중재효과가 부분적으로 발견되었으며 비만도의 경우 실험 4주차부터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8주차에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였다. 인지적 변인의 경우에도 운동통제 지각과 운동결과 기대 수준 및 신체적 자기개념의 신체활동성 요인과 지구력 요인에서 심리적 중재의 효과가 발견되었고, 이러한 중재 효과는 집단차원의 중재조건에서 가장 높았다. 본 결과는 심리적 운동중재의 중요성과 효과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5.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알파자기조절 훈련이 수행을 유지시키고 또 선수들에게 심리적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함이었다. 알파자기조절 훈련이란 외부기기를 사용하여 자신의 뇌파를 수의적으로 조절하는 새로운 자기조절 피드백방법이다. 실험1의 피험자는 골프 퍼팅에 사전 경험이 없는 남녀 대학생 45명 (남자=25, 여자=20)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2는 단일피험자 설계로 7명의 사격선수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1에서 피험자들은 (1) 알파자기조절 집단, (2)GSR집단 그리고 (3) 통제집단에 무작위로 15명씩 할당되었다. 실험1에서 알파자기조절 훈련을 위해 사용된 기구는 Qjump(창세, Korea)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좌·우측 전두엽(Fpl, Fp2)에서 발생되는 뇌파를 바이오피드백 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실험1에서 사용된 과제는 알파자기조절 훈련 후 1.80m거리에서 골프 퍼팅을 하는 것이었다. 실험2에서는 BIOPAC 시스템을 사용해 Fz, Cz 그리고 O1부분에서 알파자기조절 훈련 전 후의 뇌파를 측정하였다. 퍼팅점수와 뇌파는 각각 반복측정 분산분석과 도해분석을 하여 수행변화와 뇌파의 경향성을 분석했다. 본 연구 결과 알파자기조절 훈련을 받은 피험자들이 습득단계에서 GSR집단이나 통제집단보다 절대오차와 가변오차를 더 작게 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2에서는 개입조건이 있은 후 알파파 침체현상이 나타났다.
        6.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축구경기에서 승부차기 시 선수들은 킥 기술 외 환경적·상황적 요인에 따라 다양한 심리적 갈등을 경험한다. 본 연구는 축구선수들이 승부차기 시 경험하는 킥 선호순위, 습관요인, 방해요인과 그에 따른 대처요인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중·고 각 5개 학교의 축구선수 총 300명을 대상으로 선택형 질문과 개방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그 분석 결과, 첫째, 승부차기 시 싫어하는 킥의 순서는 1번과 5번 그리고 좋아하는 순서는 2번과 3번으로 나타났다. 둘째, 승부차기 시 갖는 습관요인은 방향설정, 징크스 행동, 골키퍼 견제, 호흡, 발걸음 수 공식화, 기도, 기타 7개 영역으로 나타났다. 특히 방향 설정에 대한 습관은 "차는 쪽 반대쪽을 쳐다본다"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중·고 축구선수들은 "심호흡을 크게 한다"와 같은 호흡과 관련된 습관요인이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여기서 축구선수들의 습관요인 중 골키퍼에게 킥의 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는 습관이 있음이 발견되었다. 셋째, 승부차기 시 경험하는 방해요인은 실패 및 실수에 대한 걱정, 방향 설정에 대한 갈등, 자신감부족, 외부 요인의 작용, 기술 부족, 집중력 감소, 긴장 및 불안감 증대 7개 영역이 확인되었다. 넷째, 방해요인에 따른 대처요인은 정신 집중, 자기위안, 자신감 갖기, 자기암시, 목표 설정, 자기확신, 몰입, 연습, 심상 훈련, 마인드 컨트롤, 무시, 이미지 트레이닝, 심호흡 14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패 및 실수에 대한 걱정의 방해요인에 대해서는 심호흡, 마인드 컨드롤, 정신 집중, 자기위안 순위로, 자신감이 부족할 때는 자신감, 자기암시 방법과 같은 순위로 대처하였다. 모든 선수들이 공통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해요인과 대처요인은 자신감 부족, 실패나 실수 걱정 그리고 자신감 갖기, 심호흡으로 나타났다. 축구 지도자들은 이와 갈이 승부차기 시 경험하는 축구선수들의 다양한 심리적 특성을 충분히 숙지하여 훈련에 임함이 바람직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