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정부 주도의 국제문화교류 축제 관람객의 참여 경험을 상호 문화주의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국제문화교류 축제의 질적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사례로는 20년간 범아시아 축제를 지향해 온 ‘인바운드형 국제문화교류 음악 축제’인 ‘아시아송 페스티벌(Asia Song Festival)’을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최근 3년간 본 축제를 관람한 경험이 있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진행하고, 이를 디어도프(Deardorff)의 상호문화역량 모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 과, 본 축제 관람객의 ‘태도’는 타 문화에 대한 높은 관심도 및 유사 축 제 참여 경험이 있는 등 개방적 태도를 보였지만 사업에 대한 인지는 낮 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식과 이해’의 측면에서 본 행사는 타문화에 대 한 인지의 기회가 되었지만 문화별 특성에 대한 이해를 위한 도구 보완 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내부적 결과(사고의 틀 전환)’에서는 음악을 매개로 한 교류 경험인 동시에 아시아 음악에 대한 관심 향상의 기회가 되었지만, 평소 대상국에 관심이 많은 관람객이 참여할 가능성이 높으므 로 아티스트의 사회적 이미지를 면밀히 검토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마지막으로 ‘외부적 결과(행동 변화)’ 의 경우 향후 문화교류 현장에 서의 적절한 의사소통과 해당 국가 방문 및 추가 문화체험 등 구체적인 행동방식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가 한류를 매개로 한 정부 차원의 상호문 화교류 정책사업의 방향성을 고찰하는데 실무적이고 학술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8,300원
        2.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7세기 왜⋅신라⋅당나라에서 즉위한 스이코(椎古)・선덕(善德)⋅무측천 (武測天) 세 여성 통치자의 등극은 동아시아 정치사에서 드문 현상이다. 이들 의 집권은 삼국 모두 왕권 중심의 중앙집권 국가로 발전하는 시점에서 진행 되었는데, 본고는 이를 불교(佛)-문화(文)-율령(律)’의 키워드로 접근하였다. 즉 문명의 환상선을 이룬 동아시아에서 도미노처럼 이어진 불교의 성행, 문화의 개방, 율령의 시행을 통해 조성된 정치균형과 경제발전, 젠더 프리의 분위기 가 여왕의 시대와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각국의 신앙체 계와 혈통적 관습, 탄력적 외교와 선진적 도약에의 열망이 유의미하게 작용했 음을 고찰하였다. 민중의 무의식을 지배해온 민간신앙의 여성 신성은 불교에 서 관음보살 형상으로 재현되며 여성 신자의 증가 및 여성 통치자 등극의 당 위성을 견인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구세력과의 결별을 요하는 시대의 요구와 맞물리면서 통치자의 권위를 법제화하는 시스템, 즉 율령의 완비로 연결된다. 율령은 통치자의 권위를 ‘국가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작업이자 왕권 중심의 중앙국가 성립의 이정표로서 의미가 있다. 그런즉 스이코⋅선덕⋅무측천 세 여왕의 등극과 치세는 ‘불교-문화-율령’의 코드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도출해 낸 원인이자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한편으로 여성의 통치 미학, 즉 소 프트 리더십이 6-7세기 동아시아 정치가 힘과 위계의 확장기로부터 치세와 번영의 안정기로 접어드는데 중요한 요소로 기능했음을 시사한다.
        10,400원
        3.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 중국과 한국 간의 사신 문화 논쟁을 계기 로, 비교 신화학을 통해 중국, 일본, 한국의 동아시아 사신 문화를 살펴 본 연구이다. 본 연구는 고고학, 인류학, 문학, 역사, 심리학을 결합한 학 제간 접근을 강조하며, 문헌 분석, 무덤 벽화 비교, 풍수지리 실천을 통 해 이들 문화에서 사신의 묘사와 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냈다. 연구는 사신 문화 공동체를 구축하는 것이 넓은 의미의 동아시아 문화 공동체로 나아가는 단계로서의 실행 가능성과 필요성을 제안하며, 이에 대한 이론적 지지를 제공하였다. 향후 연구는 동아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은 다른 지역으로 확장하고, 사신 상징의 현대적 응용을 탐구하며, 이 문화 유산의 보존 및 전파를 위한 디지털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8,300원
        4.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Korean Wave Cultural Contents consumption of Korean food, Korean products, and Learning of the Korean language. The survey targeted non-Koreans who were either interested in or experienced Korean Wave Cultural Contents. Exactly 61.3% of subjects had traveled to Korea. The most common method of experiencing the Korean Wave was via the Internet (57.7%), followed by TV (21.1%) and Mobile (7.7%). The most popular Korean Wave Contents were K-pop (35.2%) and TV Dramas (31.0%). Movies were preferred in the Americas (3.63±0.83) and Asia (3.63±1.09), whereas K-pop was preferred in Asia (3.68±1.12) and games preferred in Europe (2.50±1.56). Regarding Korean food, most participants had tasted Kimchi (81.7%), followed by Bulgogi (74.6%), Bibimbap (66.9%), and Galbi (66.2%). According to the country-by-country survey, in the case of Galbi (p<0.05), Bibimbap (p<0.05), and Bulgogi (p<0.05), Asians had more experiences with Korean food compared to those from other regions. Meanwhile, in the case of satisfaction of Korean food, Bulgogi (4.22±1.05) was ranked highest, whereas Kimchi (3.85±1.15) was ranked lowest. According to the region-by-region survey, those from Oceania and other regions preferred Kimchi (4.25±0.71) and Bulgogi (4.50±4.50) while the Americas preferred Galbi (4.82±0.39) and Bibimbap (4.54±0.81). Bulgogi (2.76±0.06) was highly ranked as a representative Korean Food while Kimchi (2.44±0.71) was ranked the lowest. This research explained that among Korean Wave Cultural Contents, movies and music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Image of Korea’, movies and K-pop effected ‘Purchasing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and TV Dramas, movies, and K-pop effected ‘Purchasing intention of Korean Food’.
        4,000원
        5.
        201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explores central Asia's contextualization mission strategy focused on national approach to culture of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This article attempts Central Asian society's common character and differences from the historic origin and each people's cultural diversity in Central Asia. Central Asia and the entire region contextualization of this article suggesting strategies to derive basically the most basic issues of the specification that can be raised. This article explores examining particularly Central Asia’s historical-cultural common homogeneity and individuality. Chapter II examines Central Asia's history-culture and mission : mission strategy of common homogeneity. Chapter III reviews Central Asia’s mission strategy after independence : factor elements of commonality and individuality. Chapter IV analyzes Contextualization mission strategy focused on national origin and mutual confrontation. As Uzbekistan and Tajikistan develop a stronger sense of their own independence, each country is establishing a new concept of view in explaining their national origin of its own history, which is then inserted into the state ideology. Moreover, because the historical paths of the two states overlap, they interpret the same historical events, from a nationalist perspective, in diametrically opposite ways. Contemporary Uzbekistan and Tajikistan are the territories with the strongest historical links in Central Asia. Since the acquisition of independence they have been marked by similar features of state and nation building.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a general overview of the contextualization mission strategy in Central Asia in examining common character and heterogeneous features of the Central people's surroundings after independence and the different aspects of a nation's most basic historical, traditional, understanding including national origin and political system. In exploring Central Asia's mission strategy. it need to be conducted study not only common aspects and heterogeneous nature in Central Asia to identify the distinctive aspects of the Central Asia mission strategy. This article's specification of mission strategy lies in the individual culture and ethnic-based access to a variety of strategies to be drawn to emphasize that what was done. Central Asia is a mission target area.
        9,300원
        6.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explores central Asia's area studies and mission strategy focused on culture and islam's identity. This articles attempts significance of the area studies in taking pursuit of mission strategy in Central Asia. By researching Central Asia's historical surroundings, cultural identity, islam’s ideas after break up Soviet Union, it enables us to take out the essence of the mission’s methods in this areas. This article explores examining particularly Central Asia's historical meaning of the Mongolian tradition and the origin of the Central Asia's peoples, study the ideas of the religious essence, above all Islam's fundamentalism and the religiopolitical strategies as a politics of discourse focused on the concept in Central Asia. The history of Central Asia has been about empires and tribes. The concept of nation to denote a triangular relationship among territory, ethnocultural identity, and political authority is very recent in this region. The causeandeffect links between geopolitics and national identification in Central Asia were revealed by religion and national identity. By this conception, we must design mission strategy. The process of religious identity and national identity and Central Asia’s geopolitics have been connected each other, and I emphasized strong significance on the connection of domestic political surroundings and mission strategy. The leap from culture to politics is made by portraying the nation at one moment as a cultural community, and at another, as a political community. Nationalists can build up the nation from different political events and economic surroundings to be fot their country have special culture identity. Chapter II examines cultural mapping as the essence in Central Asia's study. Chapter III reviews islam's identity in Central Asia. Chapter IV analyzes politics factor focused on international relations between the west, USA and the Russia government.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a general overview of the mission strategy in examining culture and the ideological concept of the newly governments in Central Asia dealing with the process of the Nation building and State building in this areas.
        8,400원
        7.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사회에서 조직의 업무는 개인 혼자만의 능력이나 노력을 넘어서 타인들과 팀을 이루어 달성할 때 좀 더 완성도가 높아질 수 있다. 본 연구는 개인의 기분이 조직 내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등 개인의 정서 상태가 직장 내 주요한 직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과 동시에 중국을 비롯한 집단주의 문화권에서의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기분이 위험선호에 미치는 영향과 집단토론 이후의 극화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연구의 참가자들은 서울 소재대학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모집이 되었으며, 총 184명의 대학생들이 3명씩 62개의 집단을 이루어 실험에 참가하였다. 기분이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참가자들은 긍정적, 부정적, 중성적인 기분 중 한 가지를 가지도록 특정기분의 유도과정을 거친 후 토론 이전과 이후의 의사결정을 각각 기록하여 제출하도록 지시받았으며, 이들의 의사결정은 서로 다른 3가지 기분요인과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분산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가 정립한 3가지 가설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지지되었다. 첫째, 중성적인 기분을 가진 개인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위험을 수반하는 의사결정을 내렸다. 둘째, 행복한 개인들로 이루어진 집단은 극화된 의사결정을 내리지 않았다. 셋째, 우울한 기분을 가진 개인들로 이루어진 집단은 중성적이거나 행복한 기분의 개인들로 구성된 집단들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험도의 결정을 내렸음을 알 수 있었다. 인지적, 동기적 기분모형들이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기 위한 이론적 기제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의사결정의 연구들이 개인의 특질에 중점을 둔 반면, 다소 상황의존적이며 약한 지속성을 지닌다는 이유로 경시되어 온 기분 변인을 중점적으로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개인차원의 의사결정을 넘어서 집단상황 속에서 개인의 기분이 의사결정의 극화를 나타내는 정도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와 관련하여 중국 및 동아시아 문화권에서의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7,800원
        8.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in theme of this study is the acceptance phase of western architectural culture in modern east-north asia through a series of actual survey and typological analysis of existing church buildings in modern Korea. China. Japan. For this study, 126 modern church buildings of Korea, China, Japan are selected. Also, main subject of this study has deal with the side of culture - thought which background of christianity acceptance and acceptance mind of acceptance main-body, culture adaptation and transformation based on characteristic culturalization of Korea, China, Japan. Especially, I would consistently tried to see the acceptance phase of western architectural culture according to differential acceptance mind of acceptance main-body based on characteristic culturalization of three countries. Conclusively, in the point of view of western architectural culture acceptance phase, it could be said that Korean church architecture had characterized as a blending phase of the two eclectic architectural culture. And in the case of china, as a coexistance phase of the two architectural culture with more western style-oriented. On the other hand, Japanese church architecture had characterized as a syncretism phase of the both traditional and western architectural culture, though it is eclectic style-oriented.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different acceptance mind of western culture had main factors caused of differential acceptance phase, when the two architectural culture, the traditional and the western, encounters.
        5,500원
        9.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oshogi] which is held from 9th to 16th January, every year is the Buddhist service of praying for the soul of Shinran's (l173~1262) after death. It is the most majestic high-filling style and also unparalled in the annals of Japanese history in sacrificial offering. Shinran was horned in the Fujiwara's family. And not only he believed Prince Shodoku's belife but also retired to the mountain to enter the priesthood by it. Prince Shodoku built Horyu temple which is the typical temple of Nara ages. Buddism was transmitted from Korean peninsula, three countries of Silla, Bekje and Kokuryo effected on many field of Japnese culture during that ages. At the same time, Kasugadaisha and Danjanjinja of Shinto religion was built by Fujiwara Family. Both of them was Buddhist temple before. Throughout like these historical background, the facts what the religious services and the sacrificial offerings for Prince Shodoku, Wakamiyasai of Kasugas' and Kakitsusai of Danjanjinja must be influenced from Korean Peningula. So the dietary culture of the religious rites and traditional customs between two countries could be thought the relation with a narrow stream strait. But among them, in the size, color and shape, the cooking method and technique in the usage of rice powder and sugar, it is tops in value. The noteworthy points of the thought were as follows: 1. high-filling style of the sacrificial offerings what is mixed and harmonized with Buddhism, Confucious, Sharmanism, Toaism and Korean traditioal customs. 2. eating together of god and human. 3. the fusion of gods and Buddha.
        4,000원
        10.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donesian dietary life in relation to tradition, customs, variety of food, condiments and spices, processing food and religious way of ceremony was studied through reference books and field trips. The result obtained are as follows: 1. Indonesian food life style has been influenced not only by foreign countries like India, China, Arab and Western countries but also religious commandments of Islamism, Hindusim and Budhism. 2. Indonesia has a wide territory and consist of many islands. Therefore, various food life style can be found in every regional areas. Modern westernized style as well as traditional style coexist together. 3. Chinese has influenced Indonesian food life as well as that of Koreans especially in soy sauce and rice cake. 4. Various type of steamed rice by adding other ingredients can be found in daily life and religious ceremony. 5. Coconut milk, raw spices, pepper are widely & exessively used in cooking and Tempe (soya bean cake) is one of the major protein sources in Indonesia. 6. In religious ceremony, SELAMATAN, various kind and shape of food with different colors symbolize the desire of those who contribute.
        4,000원
        11.
        2017.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문화적 요구를 반영한 한국어 문화교육 및 그 효과에 관한 연구로서, 언어문화교육에 관한 이론을 기초로 매체언어교육으로서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을 초급 수준의 아시아권 출신 결혼이주여성 학습자를 대상으로 적용 후, 그에 따른 한국어 언어기능과 한국어 및 한국문화 이해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요구에 부합하는 한국어 문화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한국에서의 문화적, 사회적 기대는 여성 이주자에게는 매우 낯선 것이며 그들은 이와 관련 하여 크고 작은 어려움에 놓이게 된다. 이들 중 가장 직접적 어려움은 의심할 여지없이 언어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 대구, 경남 지역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3개 한국어 교육기관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눈 뒤, 동질성 검증을 거쳐 진행하였다. 또한 드라마 활용 한국어 문화 수업을 6차시에 걸쳐 실험처치 후 한국어 언어기능과 한국어 및 한국문화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 사후로 비교 검증하였다. 먼저, 본 연구의 드라마 활용 한국어 문화 수업에 대한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결과, 실험 집단의 한국어 언어기능과 한국어 및 한국문화 이해도가 유의미하게 상승했다. 다만, 한국어 언어기능의 추론하기 영역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드라마 활용 한국어 문화 수업적용 차이에 따른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한국어 언어기능과 한국어 및 한국문화 이해도에서 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결혼이주여성의 실생활과 관련된 사회문화적 요구를 반영한 한국어 문화 수업방식은 결혼이주여성 학습자에게 언어기능과 한국문화에 대한 습득능력을 증대시키고 동기 부여를 할 수 있는 교수방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12.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의 외국인 관광시장이 빠른 성장을 하는 가운데 ‘방한 아시아여성 관광객’의 비중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문화관광기념품’의 기획 및 제작에 이를 반영 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환경 변화 속에서 문화 관광기념품의 질적 발전을 위해 방한 아시아여성 관광객의 디자인 선호도를 조사하여 앞으로의 문화관광기념품 기획 및 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하나의 지표를 만드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한 아시아여성 관광객의 ‘한국 상징 디자인’ 선호도는 평균 24%(동남아 28%, 중국 26%, 일본 17%)로 ‘기타지역 여성 평균’ 41%보다 낮게 나타났다. 2. ‘한국화 기법 디자인’ 선호도 또한 평균 32%(일본 40%, 중국 30%, 동남아 28%)로 ‘기타지역 여성 평균’ 62%보다 낮게 나타났다. 3. ‘한국 상징 디자인 별’ 선호도는 ‘남산’ 36%, ‘숭례문’ 20%, ‘한글’ 17%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에 나타난 디자인 별 선호도로 볼 때 방한 아시아여성 관광객의 취향에 적합한 디자인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지표 결과, 방한 관광객의 기존 상품에 대한 구체적 자료를 토대로 한 세부적 선호도 분석 자료는 앞으로 문화 관광기념품의 기획과 제작에서 보다 구매가치가 높고 매력적인 상품기획에 유용한 지표로서 의미를 지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3.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국내에 거주하는 아시아 이주민과 그 자녀의 교육 현황을 정책 및 실제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한국사회를 보다 역동적인 다문화사회로 나아가게 할 수 있는 건설적인 힘으로서 다문화교육을 개념화하는 인식론적 모델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국내의 다른 아시아인을 위한/에 대한/과 함께하는 다문화교육을 위해서는 동화주의적 시민권 개념을 넘어 사회통합의 새로운 형태를 위한 문화적 다양성의 가치를 탐구하기 위해 지속적인 학술적·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한국의 지배적인 문화규범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바탕으로 사회 및 문화에 대한 관점의 창의적 해체와 재구성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