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

        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adon is a radioactive gas material, which is not detectable by humans because of the absence of color and odor. Radon gas can exist indoors through a number of pathways and long-term exposure to such material can affect the human body, which may result in serious health issues such as lung-cancer. It is thus essential to reduce and maintain indoor radon concentration in order that potential health risks from radon can be diminished. In order to achieve the aforementioned goals, it is requisite to utilize a practical detector which is capable of continuous radon monitoring. In relation to this, a recently developed prototype radon detector, i.e., RS9A, provides highperformance comparable to existing research-grade radon detectors for the purpose of continuous radon monitoring in the air. Furthermore, RS9A is a convenient piece of equipment for use by the public as it is compact in size and affordable. In this paper, we conducted continuous measurements of indoor radon concentrations by using sets of RS9A and evaluated the equivalence of RS9A in terms of quality assurance.
        4,000원
        4.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유충의 섭식 행동을 분석하기 위해 컴퓨터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통해 연속적인 잎 면적 측정을 시도하였다. 잎 면적 측정은 담배거세미나방 2령충 유충을 이용하여 피망 잎 섭식흔을 1분 간격으로 일주일 동안 조사하였다. 유충의 먹이인 피망은 매일 교체하였고 잎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한천 배지위에 부착하여 제공하였다. 관찰 결과,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피망 잎 섭식 행동은 계단형의 불연속적인 섭식 형태를 보였다. 또한 섭식기와 비 섭식기가 뚜렷하게 구분되었으며 비 섭식기 이후 탈피를 하고 다시 섭식기에 들어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 실험을 위해 BT(Bacillus thuringiensis)제를 권장사용량의 절반 농도(500 ppm)로 처리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섭식량이 감소하였으나 탈피 시기는 빨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지구물리 물리탐사 분야에서 경사각과 방위각 정보는 시추공 물리검층 및 물리탐사 자료보정을 위한 시추공 편차검층, 이동형 실시간 자료획득 시스템, 기타 지구물리 모니터링 시스템 등 다양하게 활용되면서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 셰일가스의 개발이 가능하게 한 방향시추 기술에서도 경사각과 방위각 정보는 필수일 정도로 그 응용범위가 매우 넓다. 따라서 여러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경사각과 방위각 측정 시스템의 초소형 옥외 저전력 운용이 절실해졌다. 본 논문에서는 최신 CMOS 저전력, 고성능 MCU 및 멤스(MEMS) 자세방위기준장치(AHRS)를 도입하여 초소형, 저전력으로 제작된 다용도 야외시험용 실시간 경사각과 방위각 연속 측정 시스템 개발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시스템은 최소 지름 42 mm의 존데 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초슬림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실시간 데이터 획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엔코더, DGPS 연동으로 운용 확장이 가능하여 다양한 응용이 기대된다.
        4,600원
        6.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tinuous odor monitoring system has an important role of grasping odor of weak time zone, when is difficult in direct sampling, by measuring the odorous compounds continuously for 24 hrs a day. However, the operation of the continuous odor monitoring system do not mean only a great number of analysis data being producted continuously. But also, in order to obtain high quality data, the analyzer is maintained under the optimum conditions and suitable QA/QC is necessary. The analysis data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for understanding odor characteristics, odor causes, and odor reduction plan, and thus they should have a role of explaining the affection area, tracking" odor in conjunction with the odor dispersion models. Since the designated odor components in Korea Odor Prevention Act cannot reflect on all types of odorous compounds, additional compounds causing the odor problem should be analyze to comprehensive monitoring.
        4,300원
        7.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언제 어디서나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u-health care를 위해 cuff를 사용하지 않고 손쉽게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ECG와 PPG 시그널(signal) 만을 이용하여 혈압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존 기술은 PTT를 분석 할 때 노이즈나 진폭의 변화로 인해 Peak 추정의 오류가 자주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적응적 peak 추정 기술을 개발하여 Peak 추정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이를 적용하여 측정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PTT의 표준편차는 28%감소하였으며, 노이즈 탐지 성능은 18%증가하였다. 또한 PTT와 혈압간의 상관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수축기 혈압= -0.044 · PTT + 133.592의 상관식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상관식을 적용하여 PPG와 ECG 만으로 수축기 혈압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4,000원
        8.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mmonia in ambient were sampled by high efficiency diffusion scrubber (HEDS) and analyzed by IC. Ammonia showed high linearity (R²>0.999) of the calibration curve and good repeatability (RSD<5%). The detection limit of Ammonia was about 0.05 ppbv. Average concentration of Ammonia was 12.7 ppbv, Instantaneous maximum concentration was 83.4 ppbv. Continuous sampling method is proper to monitor ammonia which is the odor material instantaneously increased mainly affected by meteorological condition. The sampling and analysis process can be automated and performed in real-time by continuous sampling of HEDS-IC system.
        4,000원
        9.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rganic acids in ambient were sampled by high efficiency diffusion scrubber (HEDS) and analyzed by IC. Most of organic acids showed high linearity (r²>0.999) of the calibration curve and good repeatability (RSD<10%). The detection limit of organic acids was about 7 pptv. The concentration of acetic acid was ranged from 0.43~1.74 ppbv, formic acid was ranged from 0.28~1.85 ppbv. Since the organic acids are one of odor compound species with instant production characteristics and affected easily by weather, continuous analysis method is better than intermittent method to determine these compounds. The sampling and analysis process can be automated and performed in real-time by continuous sampling of HEDS and IC.
        4,000원
        10.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attempt to analyze for 4 compounds (MEK, MIBK, n-Butyl acetate, i-Butyl alcohol) in ambient air using on-line thermal desorber (on-line TD) with gas chromatograph/flame ionization detector (GC/FID). These compounds will be regulated by KMO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within 2010. We tested two different experimentation. First, we try to find the influence of Nafion dryer for the 4 compounds. Second, we want to know basic analytical characteristic of target compounds through the linearity, reproducibility, and minimum detection limit. According to this study, target compounds are removed in Nafion dryer more than 80 percent, respectively. So, we progressed next experimentation progressed without Nafion dryer using hydrophobic cold trap. Results for each compounds showed good linearity (r²=0.99 upper) and good precision (RSD=1 % below). In additional, we analyzed the ozone precusors standard gas (56 compounds) using the same method to see if there are any peaks to be overlapped in ambient air.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no peak overlapped. This means that analytical system of this study could be used on-line analytical system. Minimum detection limit (MDL) value for this system are less than minimum malodor threshold concentration.
        4,000원
        11.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tmospheric aldehyde compounds were sampled by high efficiency diffusion scrubber (HEDS) and analyzed by HPLC. The sampling and analysis process can be automated and performed in real-time by continuous sampling of HEDS. All carbonyl compounds regulated by the odor regulation law can be measured in sub-ppbv level and in real-time by the HEDS-HPLC system.
        4,000원
        12.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다공성막을 통한 기체 투광성분의 투과 transient와 투과 조성을 on-line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체 투과장치를 개발하였다. 측정은 연속흐름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측정한 투과 transien로부터 여러 가지의 투과특성, 즉, 투과계수, 확산계수, 용해계수 등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다. 잘 알려진 유리상 고분자인 두 가지 폴리이드막과 고무상의 고분자인 실리콘막을 선택하여 여러 가지의 기체투과 특성들을 측정하여 문헌치와 비교함으로써 투과장치 및 측정방법에 대한 신뢰성,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측정한 투과 transient를 분석함으로써 막을 통한 기체 투과거동을 좀더 자세하게 다양하게 분석할 수가 있다.
        4,000원
        13.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환경변화에 따른 작물생체의 반응을 근속하고 정확히 해석하기 위하여, 로드셀과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하여 수경조건에서 생체중을 비파괴적으로 연속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 하였다. 또한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양액의 이온농도 및 명암 조건에 따른 상추의 생장반응을 조사 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작물의 생체중을 비파단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이 장치의 측정오차는 측정범위 0-2000g에서 0.05%인 土1.0g 이하로 나타났다. 나. 로드셀에서 출력된 지시중량은 수면위의 생체중량과 잘 일치하였다. 다. 상추의 생체중은 정식후 18일에 정식 당시에 비해서 44배 정도 증가하였고, 상대생장율은 정식후 5일까지는 미약하였으나 이후에 급격히 높아져 정식후 13일에 최대에 달하여 29.6% day-1 이었다. 정식후 18일간의 상대생장율은 10.7-29.6% day-1 범위에 있었다. 라. 양액의 무기 이온 농도에 따른 상추의 생장량은 EC 1.4-2.2mS/cm 에서 가장 높았으며, EC 0.7 이하나 2.8 이상에서는 떨어졌는데, 특히 지하부의 생장량은 2.8 이상의 고농도에서 현저히 낮았다. 마. 양액의 이온 농도에 따른 생체중량의 증가속도는 정식후 7일까지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이후 차이가 나기 시작하여 정식후 20일에는 양액의 이온농도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 사. 암흑 처리후 12시간 까지는 정상적으로 생체중이 증가 하였으며, 이후 78시간까지도 완만한 증가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아. 명조건에서 암조건으로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생체중량은 급격히 증가하였고 반대의 조건에서는 일시적인 생체중 감소가 있었는데, 이와 같은 양상은 생육단계, 광조사 시각 및 시간을 달리하 여도 같은 경향이었다.
        4,000원
        15.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점 선원인 60Co, 137Cs 및 혼합부피선원을 이용하여 피크 대 컴프턴 비율, 연속체 배경 스펙트럼을 감소시키기 위해 저 에너지 peak부터 고 에너지 peak에서 측정된 측정치와 PENELOPE와 비교하였다. 또한, 저에너지 부근에서의 변화를 통해 후방산란, 컴프턴 단(compton edge)의 효율 변화를 PENELOPE와 비교하였다. 혼합부피 선원에서 나온 결과를 토양시료에 적용하여 억제와 비 억제(unsuppressed)모드에서 토양시료의 최소검출한계치가 얼마큼 감소하였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60CO(1,173 keV)의 저에너지 영역의 컴프턴 억제가 상당히 되었으며, 137Cs(661 keV) 피크에 대한 Compton edge의 RF는 2.8이다. 특히, 60Co 선원은 1,173.2keV와 1,332.5 keV의 coincidence 감마선을 방출하므로 컴프턴 억제는 대략 21% 감소하였다. 60Co 선원에서 방출되는 1,173keV와 1,332keV의 compton edge의 RF는 3.2, 3.4였으며 피크대 컴프턴 edge 비율은 8:1로 향상되었다. 그리고, PENELOPE와 비교했을 때 불확도는 2% 이내로 잘 일치하였다. Compton unsuppressed 모드에서 661 keV, 1,173 keV 및 1,332 keV의 MDA 값은 각각 0.535, 0.173 및 0.136Bq/kg이었으나, Compton suppressed 모드에서는 0.121, 0.00826 및 0.00728B/kg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Compton suppres sed는 배후방사능과 검출기 자체에 함유된 방사능을 줄일 수 있었다.
        16.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세장체의 연속적인 거동을 전체 길이에 대하여 측정할 수 있는 계측시스템을 선정하며, 선정된 수중카메라 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수행한다. 수중카메라의 기초성능평가를 위하여 강체파이프의 강제가진 실험을 수행한다. 파이프의 상단을 강제가진장치에 고정시킨 후, 일정주기와 진폭으로 가진시켜 수중카메라를 이용하여 변위를 측정한다. 강제가진장치에 입력된 신호와 수중카메라에 계측된 신 호를 비교하여 측정 정밀도를 평가한다. 연속체인 세장체 파이프의 강제가진 실험을 수행하여, 수중카메라 시스템의 실시간 3차원적인 측정 가능성을 정성적으로 평가한다. 본 수중카메라 시스템은 향후 국내 심해공학수조에 적용되어, 세장체구조물 및 계류선 등의 거동 측정에 활용 될 것이다.
        17.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성자에너지 영역 0.003 eV에서 10 eV에 대해 천연 Sm의 Sm(n,γ) 반응에 대한 중성자 포획단면적을 측 정하였다. 교토대학교 원자로실험소의 46-MeV 전자선형가속기에서 발생되는 전자의 광핵반응에 의한 중 성자를 사용하였고 TOF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사용한 검출기는 12개의 BGO(Bi4Ge3O12) 섬광체로 구성되었 고 이 검출장치로 Sm(n,γ) 반응으로부터 나오는 즉발감마선을 측정하였다. 검출장치는 중성자 생성 위치로 부터 12.7±0.02 m 위치에 설치되었으며 10B(n,αγ)7Li 반응을 이용해 Sm 시료에 입사되는 중성자 선속을 구 하였다. 또한 중성자 선속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BF3 검출기로 모니터링 하였다. Sm(n,γ) 반응단면적 측 정결과는 BROND 2.2에 의한 평가결과와 J. C. Chou 및 V. N. Kononov 의 측정값과 비교하였다.
        18.
        2014.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에서는 수은을 황산 산성에서 디티존사염화탄소로 추출하고 브롬화칼륨 존재 하에 황산 산성에서 역추출하여 방해성분과 분리한 다음 알칼리성에서 디티존사염화탄소로 수은을 추출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 490nm파장에서 측정한다. 반면에 고상・액상 시료를 직접 주입하여 분석하는 열분해 금-아말감 수은분석기는 분석시간과 전처리 과정에서의 오염 가능성을 줄일 수 있어 전세계적으로 전처리가 까다로운 퇴적물, 토양과 같은 고형시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 국내 토양공정시험기준과 수질(퇴적물)공정시험기준에도 추가되었다. 그러나 이 시험법을 액상시료에 대하여 적용할 경우, 최대용량(200ul)을 주입하더라도 오토샘플러(Autosampler)내에서 증발 현상이 일어날 수 있어 회수율 및 재현성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 용출시료를 가정한 액상시료를 대상으로 오토샘플러 거치시간과 샘플위치에 따른 수은 손실을 검토해 보았다. 각 매질별(3% HNO3, HCl, H2SO4) 10개의 시료를 오토샘플러에 동시에 거치하고 순차적으로 분석하여 연속 측정에 따른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대기 시간이 길수록 최대 43%까지 회수율이 떨어지고 매질별 재현성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0셀×10층=100개로 구성되어 있는 오토샘플러에 연속 측정을 할 경우, 편차가 2.84로 매우 큰 반면 한셀씩 건너뛰어 측정할 경우 1.70, 층별로 하나씩 찍을 경우 1.08로 나타나 오토샘플러 위치에 따라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히터에서 분석완료된 시료보트의 열이 분석 전 대기 중인 시료에 영향을 미치쳐 수은이 손실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19.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have measured with an aerodynamic particle sizer spectrometer(APS) at Gosan site, which is known as background area in Korea, from January to September 2011. The temporal variation and the size distribution of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have been investigated. The entire averaged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in the size range 0.25∼32.0 ㎛ is about 252 particles/㎝3. The number concentration in small size ranges(≤ 0.5 ㎛) are very higher than those in large size ranges, such as, the number concentration in range of larger than 6.5 ㎛ are almost zero particles/㎝3. The contributions of the number concentration to PM10 and/or PM2.5 are about 34%, 20.1% and 20.4% in the size range 0.25∼0.28 ㎛, 0.28∼0.30 ㎛ and 0.30∼0.35 ㎛, respectively, however, the contributions are below 1% in range of larger than 0.58 ㎛. The monthly variations in the number concentration in smaller size range(<1.0 ㎛) are evidently different from the variations in range of larger than 1.0 ㎛, but the variations are appeared similar patterns in smaller size range(<1.0 ㎛), also the variations in range of larger than 1.0 ㎛ are similar too. The diurnal variations in the number concentration for smaller particle(<1.0 ㎛) are not much, but the variations for larger particle are very evident. Size-fractioned aerosol number concentrations are dramatically decreased with increased particle size. The monthly differences in the size-fractioned number concentrations for smaller size range(<0.7 ㎛) are not observed, however, the remarkable monthly differences are observed for larger size than 0.7 ㎛.
        20.
        200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주파수 변조 연속파 레이더를 사용하여 화물 선박의 탱크의 내용물의 깊이를 측정하는 레벨 센서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사용 주파수는 10∼11 GHz를 이용하였으며, 테스트용 물체는 RCS가 0.8m2인 도체판을 사용하였다. 실험은 연구실 내부와 운동장에서 하였으며, 스윕 주기가 100ms, 안테나 이득이 약 22dBi인 사각형 혼 안테나를 사용하여 약 8 dBm의 신호를 안테나에 인가하여 40m 까지 물체를 움직이며 비트주파수를 측정하여 이론치와 비교하였다. 실험치와 이론치가 잘 일치하였으나 전압제어 발진기의 비선형으로 인해 분해능이 약 10cm 정도로 측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