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2.
        202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조건축은 자연적인 풍화와 노화, 인위적 개축 등에 의해 수리와 중건이 불가피하다. 건축사적으로 중요한 건축물 일수 록 수리에 의한 변화 양상과 수리범위, 수리 원인 등을 파악하는 것은 대상 건축물의 진정성과 원형성 검토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단청은 건축물의 성격을 유지하기에 위해 수리와 중건 시마다 재단청하는거나 부분적으로나마 개채가 시행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단청은 시대적, 지역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수리로 인해 재단청한 경우나, 부분개채 시 수리범위와 수리식등을 어 느정도 유추할수 있으며, 건축 수리와 개축 등의 중건 기록이 부족한 경우 단청 흔적 조사를 통해 건축연혁 관련 기록의 공 백 기간의 수리 정보를 보충할 수 있는 실증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몇 가지 실재적 사례를 들어 단청 흔적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중수 시 수리내용과 범위를 추정해보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3.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파일럿(Pilot)이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항공기 조종사를 떠올린 다. 그러나 이 용어는 해상에서 먼저 사용된 용어다. 연혁적으로 살펴보면 항공 기가 탄생하기 전에도 해상분야에서는 ‘pilot’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었다. 그럼으로 그 기원이 바다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약 2,500년 전 고대시대의 로오드해법은 일부분이 소실되었지만 단편적인 부 분에서 도선사의 존재와 도선제도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후 생성된 고대 로마법과 초기 중세 해법에서 도선제도의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 있다. 당시에는 도선의 실수로 인하여 선박이나 화물에 손해를 입히거나 멸실되면, 도선을 실시한 도선사는 지금은 상상할 수 없는 참수형에 처해졌다. 이는 당시 시대 상황을 반영한다. 고대 및 중세시대가 전제군주 시대였고, 마음대로 그 권 력을 남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선사에게는 목숨을 걸고 도선에 임하 여야 하는 막대한 책임감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도선사의 책임에 대해서는 16 세기에 들어서야 비로소 항변권과 손해에 대한 보상으로 그 책임을 면할 수 있 었다. 현대에 존재하는 공적규제로써의 강제도선제도는 과거 중세 해법에서부 터 그 연혁을 찾아볼 수 있다.
        8,400원
        4.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oe-amsa temple was renewed by Zen priest Na-ong(1320-76) in the later Goryeo dynasty(918-1392), and he introduced the institution of Zen Buddhism temple of Yuan dynasty(1271-1368) in China. And in 13-14 century, many Zen Buddhism temple were built in east Asia, like China, Japan, Korea and so on. Hoe-amsa temple became to be ruined in the middle years of Joseon dynasty(1392-1910), and the ruin was excavated rec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searching examination the history of Hoe-amsa temple by analyzing the historic records and excavation relics, and to clarify the function of Jeongcheong, east Bang-jang and west Bang-jang of Hoe-amsa temple, by comparative analysis with Bang-jang architecture of Zen Buddhism temple of Yuan dynasty.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said like follow. Hoe-amsa temple maintained the form made by priest Na-ong in spite of several times of repair in Joseon dynasty, and it was reflected in excavation relics of now. The Jeongcheon of Hoe-amsa temple was the space called Chimdang where the chief priest performed lectures and ceremony, the west Bang-jang was the living space of chief priest, and the east Bang-jang was lodging for honored guest. The architecture composed by Jeongcheong, east Bang-jang and west Bang-jang was the adaptation of institution of Bang-jang architecture of Zen Buddhism temple in Yuan dynasty, on the base of general architecture form of Goryeo dynasty.
        5,700원
        6.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cused to the historic changes of Yungnam-Ru(嶺南樓), which are based on the site layout, and architectural forms in architectural building history and historic periods analyzed with the historic reference, paintings, and photos. This study is to search the alteration of the types of axis and the formation of spaces in Yungnam-Ru which is the Ru-Gak(樓閣) The conclusion of the architectural changes from the historic period and architectural form which is the belows. The first Yungnam-Ru by name had been used to be called, before it was re-called Yungnam-Ru by Kim Ju in 1365. Therefore, the hypothesis in naming Yungnam-Ru form assumption that the building under the name of Yungnam-Ru was re-named by Kim Ju from the Old Budist Temple called Yungnam-Sa, should re-considered in history. The second, it is considered that Milyang-Sibyi-Kyungdo(密陽十二景圖) as the painting can only be seen the site layout in 1542. It could be compared the differences of the site layouts from in 1542 to the present time. At that time Nyungpadang(凌派堂) was connected the main buildings called Yungnam-Ru Chimrudang(沈流堂),building was seperated with the Yungnam-Ru at that period. In 1542, the main Building(Yungnam-Ru) was consist of 5 spans of columns(from the front) and 2 spans of columns(from the side). Now, the main Building(Yungnam-Ru) has the 5 spans of columns from the front, and two spans of columns short from the side, compared to the present facade. At the past, Chimrudang(building) has the two spans of columns and one span of columns short, compared to the present facade. The third, It supposed that main building, Nyungpadang and Chimrudang in the composite of facade was connected with Wolrang(月廊) and Hunrang(軒廊) after invatioin from japan in 1592. 1844, (Chosun dynasty, Hunjong 10) the Yungnam-Ru was re-builted by maintaining the same concept in site layout of the past, and finally the three buildings was put together with Wolrang and Hunrang. As a result, the plan of the Yungnam-Ru was expanded with many aspects. From 1542 to 1844, the present site-layout gradually completed with three buildings which was spatially connected. The forth, in the middle age of Chosun dynasty, after added Gaeksa(客舍), the building is for the government officer staying temporally from outside province) in the site, the site layout was greatly changed with volume of building. In 1844, the Yungnam-Ru as the Nugak belongs to Miljukwan(密州館) was expanded spacially and formally. After that time, the burned buildings could not have been re-built because of aspects in government ability and economical ability.
        5,400원
        7.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필자는 연계재에 소장된 여러 종류의 사마안, 연계안을 통해 조선 후기 진주 사마소의 건립과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 전기 유향소를 능가하는 막대한 영향력을 향촌사회에 행사하고 있었던 사마소는 1603년에 혁파되었지만, 이후 시간이 얼마 지나지 않은 1620년대에 와서 사마소가 다시 세워지고 있다. 사마소는 고을의 역사적 조건에 따라 일찍 부터 지속적으로 운영되기도 하고 아주 늦은 시기에 설립되기도 하였던 것이다. 진주에서도 조선 전기에 사마소가 세워졌다가 혁파된 이후 한동안 운영되지 않다가 1736년에 새로 창건되었고, 이에 따른 명안인 ‘사마안’도 만들어졌다. 이후 1812년에는 다시 ‘청금록’이 작성되었는데, 입록의 시기적 범위가 넓혀지 고 문과 급제자도 기록되기 시작하였다. 1841년에 와서는 연방안과 계적안이 별도로 작성되었고 사마소의 명칭도 ‘연계재’로 바뀌었다. 이후에 가서도 새로 운 명안이 여러 차례 만들어진다. 18세기 전반 진주에 사마소가 창건된 것은 우선 진주 지역에서 좀더 많은 과 거 합격자가 배출되기를 열망하는 교육적 목적 때문이었다. 사마소가 건립된 또 하나의 배경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진주 내에서 열세이던 노론세력들 이 그들의 입지를 강화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삼았던 점이다. 그런데 후대로 오면서 사마소의 성격은 변화양상을 보인다. 참여가문이 증가 하고 사마시 합격자뿐만 아니라 문과 급제자도 포함되면서 점차 연계안 체제로 변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연계안에 입록된 인물의 수도 점차 증가한다. 많은 가문들이 연계안에 관심을 가지고 조상을 입록시키기 위해 경쟁하면서 과거합 격 여부가 분명치 않은 인물들도 수록되기 시작하고, 가문간에 여러 가지 분쟁 도 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