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들어 도시 재개발 과정에서 중요시되는 도시 워터프런트를 다각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여러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수(水)문화 개념에 입각하여 항구도시 워터프런트를 문화론적으로 해석하고자 시도했다. 본 논문은 안과 밖을 허물고 경계를 희석시키는 물의 속성에 기반하여 바다의 역동성과 집합성, 개방성 속성에 기초하여 워터프런트가 가진 속성을 밝혔다. 그리하여 항구도시 워터프런트가 지닌 경계성, 개방성, 혼종성, 통로적 성격이라는 문화론적 속성이 도시 거주민의 문화정체성 형성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부산의 사례를 통해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항구도시 워터프런트와 거주민들의 문화정체성간의 상관관계를 분명히 하였다. 나아가 이런 상관관계에 대한 이해가 항구도시 워터프런트 개발의 방향성에 반영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2.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워터 프런트에 있어서의 집합주택은 전면에 퍼지는 수역의 경관을 얻을 수 있어 사람들의 생활에 윤택이나 안락함 등을 가져다 준다. 그러나 시가지와는 다른 워터프런트만의 환경적 이점을 살릴 계획 수법이 확립되어 있다고는 말하기 어려운 것이 현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워터프런트(니시노미야하마와 비와코) 거주자를 대상으로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하여 친수 활동, 거주 환경 의식과 거주 선택 이유 등에 대해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향후의 워터 프런트에 입지하는 집합주택 거주자들의 거주환경에 대한 의식과 거주선택이유의 상이점을 알 수 있었다. 또 각각의 워터프런트지역에서 염해나 해충에 대한 대책 등 지역환경 특성에 맞는 문제점을 경감 대책의 필요성과 수변에의 전망을 확보를 희망하고 있으며 "방의 넓이" "통풍" "전망 채광" "프라이버시의 확보"등 워터프런트에 입지하는 집합주택의 계획수립 시에 상기한 거주환경의 조성이 거주자들의 주거의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워터프런트의 온화한 기후특성과 함께 자연이나 개방성 그리고 그러한 것들을 포함하는 축제성이 시민 생활환경의 질 향상이라는 요구에 대응하기에 적합한 공간이라는 특징 때문에 부산에서는 해안지역 워터프런트의 개발이 수익의 극대화를 위해 초고층 건축물 위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초고층 위주의 개발은 토지피복의 변화와 더불어 풍속을 약화시키기 때문에 개발에 의해 기후특성이 변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개발에 따른 워터프런트의 기후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최근 초고층 건축물 위주의 개발이 집중되고 있는 부산의 해운대 지역을 대상으로 개발 전후의 기후특성을 비교 검토하여 개발 이후 해운대의 겨울에 따뜻하고 여름에 시원한 해안지역 기후특성이 변화하여 여름의 기온상승이 현저하며 열대야일수가 증가하였음을 밝혔다.
        4.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워터프런트의 개방성과 자연환경을 만끽하기 위한 중요한 공간으로서 오픈스페이스와 이에 연계된 노천카페 및 야외레스토랑의 계획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워터프런트는 낮은 기온, 강풍, 강한 일사 등 도심 및 내륙지역과는 다른 기후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노천카페, 야외레스토랑 등을 계획할 때에는 대상 워터프런트의 기후특성, 특히 풍환경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부산의 대표적 워터프론트인 해운대, 수영만, 광안리 지역을 대상으로 오픈스페이스와 노천카페 및 야외레스토랑 계획을 위한 워터프런트의 풍환경에 대해 검토하였다. 검토경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해운대-광안리까지의 워터프런트는 야외레스토랑 등에 적합한 지역이다. 2)3월말에서 11월 까지가 야외레스토랑 등을 이용하기에 적합한 시기이다.
        5.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워터프린트는 도심 및 내륙지역과는 다른 독특한 기후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고려하지 않고 개발할 경우 시설물의 하자발생, 에너지 및 유지관리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됨은 물론 배후지, 도시기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10개 기상관측지점을 해안선에서 거리에 따라 워터프린트 및 내륙지역으로 분류하고 5년 간의 기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워터프런트의 기후특성에 대해 검토한다. 또 한 워터프런트 지역임에도 내륙지역과 유사한 기후특성이 나타나고 있는 대연지점을 대상으로 기후특성변화의 원인에 대해 검토한다.
        6.
        2000.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lthough there are a lot of primary factors to be able to make characters and identities in Pusan South Harbor, Badly Planned development prevented enhancing the sense of place in urban waterfront. The point in the waterfront development is how to secure amenities based on indentity and orientation; node, landmark, edge, path, district.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waterfront area of Pusan South Harbor and attempting to establish an identity through studying characteristics of ‘places’ in Pusan South Harbor. The place consists of two elements; orientation and identity, which can be explained the environmental totality, ‘character’ and ‘space’ respectively. The urban waterfront has strong characteristics which consists of land area, water area, and transit zone combining two areas. The place of Pusan South Harbor is analysed those four elements. We proposed objectives and criteria which can be used in enhancing the sense of this place.
        7.
        1999.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at advancing waterfront planning and development of North Port or of Pusan and attempting to establish an identity through the analysis and case studied of waterfront development of foreign countries. This study is based on Pusan urban harbor plan and the case study which was investigated the relational port with an urban area to find a model of development method and procedure of urban waterfront renewal. The approach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diversified cases and to suggest elements after reviewing successful cases. The point in the waterfront development plan of North Port of Pusan is how to secure an amenity on the edge and provides a comprehensive theoretical base such as skyline, coastline, green area, accessibility scenery, landmark, open space, and so on. The results of this stud is useful for the planner to develop more and systematic approaches which could utilize waterfront. Waterfront development will be a new change of urban development for Pus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