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0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7년 10월 2일부터 10일 사이에 동해에서 계량어군탐지기를 이용하여 수집한 어탐기록과 CTD를 이용한 해양관측 결과 및 중층트롤에 의한 어획물의 생물학적 조성 등을 비교, 분석하여 어족생물의 일주기적인 유영행동특성을 검토, 고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997년 10월 3일에 북위 36˚04', 동경 130˚53'의 조사 해역의 경우, 수온약층은 수심 60~110m의 수층에 형성되었고, 혼합층과 수심 250m이 저층 수괴 사이의 온도차와 염분 차는 각각21˚, 0.6%이었다. 2. 조사대상해역에 있어서 1997년 10월 2일~3일에 대한 일주기적 연직회유행동을 고찰할 때, 주간에 수온약층 아래쪽 수심 250 m 전후에 분포하는 생물군의 평균상승속도는 시간대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0.51m/min이었고, 일출을 전후하여 100~ 125 m 수층에서 하향 이동하는 생물군의 평균하강 속도는 0.41 m/min이었다. 3. 조사대상해역에 있어서 어군의 체적산란강도는 표층, 중층, 저층의 순으로 높았고, 개체 생물의 반사강도는 저층, 중층, 표층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 중층트롤에 의한 시험조업의 결과, 초음파 산란층에 분포하는 어획 생물 중에서 살오징어가 점유하는 비율이 가장 높아 95.7%이었고, 그 평균 외투장과 평균체중은 각각 25.3 cm, 390.0g이었으며, 위 내용물은 살오징어, 갑각류, 치어류 등이었다.
        4,000원
        2.
        199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형 그물에 대한 어군행동의 수치모델링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어군행동의 모델링을 위하여 어군행동을 나타내는 운동방정식을 구성하는 각종 힘들의 parameter를 추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모형 그물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유속 변화에 따른 무지개송어의 유영행동을 화성처리하여 각 개체 위치좌표로부터 계산된 유영속도, 유영깊이, 수조의 변과 개체 사이의 거리, 개체상호간의 최근접거리, 어구의 3차원적 구조 등의 유역특성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영궤적으로부터 무지개송어의 유영행동을 살펴보면, 정수상태에서는 수종 중앙부에서 유영하는 빈도가 높았으며, 수조 벽면으로부터 상당히 떨어져서 유회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수상태에서의 평균 유영속도는 21.6~23.6cm/sec(2.5~2.9BL cm/sec)로서 개체수가 많을수록 체장당 유영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속의 변화에 따른 어군의 평균유영속도는 유속이 증가할수록 유영속도도 증가하여 유속이 25cm/sec인 경우에는 유영속도가 30.6 cm/secd(3.8BLcm/sec)에 달하였다. 어군의 평균 유영깊이는 17~38cm로서 주로 중층의 깊이에서 유영하였으며, 유속이 빨라질수록 유영 깊이가 깊어지고 유영 깊이의 변화가 적어졌다. 수조의 벽과 개체 사이의 평균 거리는 17.6~21.4cm였으며, 유속이 빨라질수록 수조의 벽과 개체사이의 거리가 다소 멀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개체상호간의 최근거리는 개체수가 많을수록 가까워지며, 유속의 변화에 따른 개체상호간의 최근접거리 평균치는 3.0~5.9cm(0.4~0.7BL cm)로 나타났다. 어군의 3차원적 구조는 군을 형성하는 개체수가 증가함에 따라 군의 형상이 길이, 폭 및 깊이의 모든 방향으로 넓어지며, 유속이 빨라질수록 길이방향과 폭 방향의 크기가 깊이 방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져 각 방향의 평균 상태비는 2.8 : 2.7 : 1이었다
        4,000원
        3.
        199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vertical distribution and activity patterns of fishes during the evening and morning transitions between day and night were studied acoustically and by bottom trawling in November 1990-1992 in thermally stratified waters of the East China Sea. The acoustic data were collected from six stations with a scientific echo-sounder operating at two frequencies of 25 and 100kHz, and the echograms were used to determine the vertical distributions of fish. Biological sampling was accomplished by bottom trawling to identify fish species recorded on the echograms, and the species and length compositions were determined. At each station, vertical profile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dissolved oxygen were taken with a CTD system and were related to the diel movements and the depth distributions of fish. During the day most fish were within several meters above bottom, but began to migrate upwards just before sunset, and during the night they were dispersed in midwater. Prior to sunrise with a thermocline present, one group of the fish aggregation occurred in dense schools slightly above the thermocline, while the other group occurred with the numerous single fish-traces bellow it. These groups of aggregations rapidly began to migrate toward the bottom across the thermocline from about 40 min before sunrise. Trawl hauls in the bottom strata below the thermocline with the characteristic single fish traces yieled invariably catches dominated by snailfish and fishing frog with minor quantities of other species in all stations. He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snailfish and fishing frog were the dominated scatterers in the depth strata below the thermocline, and the single-fish recordings were mainly snailfish. The fish species such as anchovy and juvenile mackerel in bottom trawl catches is poorly represented in relation to the mesh selectivity of the trawl net, but their occurrence suggest that the fish-school recording above the thermocline were due to these species which migrated vertically across the thermocline, with a temperature gradient of about 8℃, from the water layers near the bottom at night. Accordingly, we conclude that the vertical distribution and activity patterns of snailfish were strongly temperature dependent and in the termally stratified waters, the upper limit to diel activity was closely linked to the position of the thermocline.
        4,300원
        4.
        200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어류는 생존과 번식을 위해 회유 또는 이동을 하며, 이러한 회유나 이동은 어종에 따라 넓은 범위에서 이루어 질수도 있고 국지적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피라미는 한국의 강과 하천에 우점종으로 서식하는 어종이다. 그러나 하천에 설치된 댐, 보, 암거 등은 어류가 이동하거나 번식하는데 많은 장애가 되고 있다. 실제로 어류 서식처간의 연결부가 배수암거(culvert)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평상시 피라미와 같이 몸집이 작은 어류가 이동하는데 장애를 줄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