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국내외 아동의 자기애와 관련된 변인들을 연구대상으로 메 타 분석을 통해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1년 까지의 국내외 학술지 및 학위논문 총 202편을 메타 분석하였다. 자기애 의 표현형을 3가지(건강한, 웅대한, 취약한)로 분류하고, 핵심 특성 변인 군(부적응양육/대상관계, 취약한 자기조절 실패 변인군)과 주변 특성 변 인군(기질, 성격, 부적응적, 적응 변인군)으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국 내외에서 모든 자기애와 공통적인 상관 방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특권 의식과 적대성이며, 이는 자기애의 공통 핵심 특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 구는 국내외 아동의 자기애 관련 변인간의 관련성을 통합하고 종합적인 결론을 도출하여 자기애 형성에 중요한 시기인 아동이 건강한 자기애 발 달의 경로를 자기애 표현형을 통해 접근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6,400원
        2.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이 된 스마트폰은 단순히 생활필수품을 넘어 현대인들이 과도하게 몰입하게 되는 대상이 되었 다. 이로 인해 현대인들의 다수는 스마트폰 중독 현상에 노출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대상 중독 현상은 대상물 자체의 문제를 넘어 이를 이용하는 대상자들의 심리적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써 대학생들의 성인 애착과 내현적 자기애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중독 척도, 성인 애착 척도, 내현적 자기애의 척도를 각각 사용하여, 스마트 폰 중독, 성인 애착 및 내현적 자기애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 정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성인 애착 정도와 내현적 자기애 정도를 독립 변인으로 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불안 애착과 내현적 자기애의 과민/취약성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현상 을 이해하기 위해서 이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자들의 심리적 특성 요소들의 영향에 따라 서로 다른 접근방법이 요구됨 을 시사한다.
        4,000원
        3.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J소재 3개 대학교의 간호대학생 375 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간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간호전문직관, 지각된 사회 적 지지, 대인관계능력 간의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는 대인관계능력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대인관계능력은 내현적 자기애와 간호전문직 관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은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간호전 문직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강화하기 위해 대인 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5,100원
        4.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 내현적자기애, 대인관계능력 및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및 이들의 경로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소재 3개 대학교의 간호대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 내현적자기애, 대인관계능력 및 자기효능감 간의 인과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내 현적자기애, 대인관계능력 및 자기효능감은 학업탄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자기효능감은 내현적자기애와 학업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이지만 경쟁효과인 억제효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은 대인관계능력과 학업탄력 성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과 관련 요인을 고려한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5,400원
        5.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학생 시기는 여러 가지로 첫 시작을 위한 중요한 준비 시기라 할 수 있겠다. 이 시기에 있어 감정적 부분은 개인적, 대인관계적, 가치관, 직업적 기초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서로간의 영향을 줄 수 있겠다. 무엇보다 사회복지 서비스를 준비하는 대학생 스스로에 대한 성향과 생각들은 인성과 그 준비에 중요한 관점이라 할 수 있다. 대학생의 시 기는 독립적인 시기의 준비이자 스스로에 있어 여러 다양한 새로운 경험과 문제를 다루는 것을 알게 되는 시기로 이러한 부분에 있어 우울감은 대학생활과 사회적 기초가 되는 이 시기에 학교생활과 대인관계 그리고 일생의 발달과업의 시작인 다양한 사회적 관계의 순간들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대학생의 자기애성향과 우울 및 자기애 성향과 우울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기애성향은 우울에 영향을 미쳤으며, 성별에 따른 우울감 차이로는 정서적 우울, 인지적 우울, 동기적 우울에 있어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높았다. 자기애성향과 우울간의 관계로는 서로간의 유의미하게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애성향이 높을수록 우울 경향이 높았다. 자기애성향의 하위 요인들로는 자기중심성이 높을수록 정서적 우울이 높았고, 자기중심성이 강할수록 인지적 우울과 동기적 우울이 높았다. 이에 대학생들의 우울감에 대한 관심 및 대인관계와 학교 생활에 있어 어려움에 대한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다각적인 상담 및 소규모 프로그램들을 통해 현실적인 평가와 자존감 향상을 통한 다양한 상담 및 활동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5,100원
        6.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female college students'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pursuit of clothing benefits according to their narcissism.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survey for female college students, and a total 22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es. For analysis of data,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appli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actor analysis on narcissism resulted in two dimensional structures: self-initiated and other-dependent narcissism. The respond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narcissism groups, such as compositive, self-initiated, other-dependent, and withdrawn narcissism groups. Second, the factor analysis on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resulted in two dimensional structures: internalization and awareness. Five dimensions of pursuit of clothing benefits were identified: individuality, self-expression, fashion, comfort, and social recognition pursuit.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ategorized narcissism groups in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pursuit of clothing benefits. The results confirm that narcissism has an impact on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pursuit of clothing benefi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provides insight for apparel makers or retailers to develop their marketing strategies.
        4,500원
        7.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적 원조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여자대학생 115명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다이어트 행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건강증진행위에 관련된 요인들이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다이어트 행위요인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은 임의 표집하여 건강증진 생활양식 척도, 자기애적 성격검사 척도, 다차원적 섭식태도 검사 척도를 사용한 자기보고질문지로 응답하였다. 조사 자료의 분석은 SPSS 1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검정,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들의 건강증진행위의 평균점수는 129.51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세부 영역으로 실천 정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스트레스 관리이며, 가장 낮은 영역은 자아실현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증진행위와 자기애적 성격성향, 다이어트 행위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다이어트 행위는 여자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다이어트행위의 고려를 반영하는 복지서비스 투입이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서 여자 대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으로 제안되었다.
        6,300원
        8.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arcissistic personality and self-esteem o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weight, skin care, makeup, hair care, clothing selec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rated to 362 female college students living in Gwang-ju city, Korea. For analysis of data,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Cronbach'α,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emale college students' narcissistic personality was categorized into four factors, need for administration, leadership/self-confidence, need for power/entitlement, and superiority. Second, narcissistic personality significantly influence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e further examination of the effects showed that need for administration appeared to affect clothing selection, hair care, skin care, makeup, and weight. Third, self-esteem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s on overal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e further examination of the effects showed that self-esteem appeared to affect clothing selection, skin care, hair care, makeup, and weight. The results indicated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narcissistic personality and self-esteem were important factors to the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marketing programs for fashion industries.
        4,600원
        9.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narcissism, self-esteem, and aggressiveness of the juvenile convicts incarcerated in a correctional institution.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we expect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and data needed in developing correctional educational programs to reduce their recidivism. The survey research was done on a population of 189 juvenile offenders incarcerated in a juvenile prison. The study utilized the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s major statistical techniques. The study examin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the relationships among narcissism, self esteem, and aggressiveness of these juvenile convicts? 2. What are the impacts of narcissism and self esteem on their aggressiveness?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correlation analysis, the juvenile convicts' narcissism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aggressiveness. The findings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uch variables as the juvenile convicts' narcissism, self-esteem, and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termining their aggressiveness. The study suggests that we should make more efforts in developing correctional educational program for juvenile convicts, so they can develop a healthy personality.
        6,700원
        10.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국내 팀 종목 운동선수의 자기애 성격과 자아존중감, 인지된 경기력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실업팀에 소속되어 있는 팀 종목 선수들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으며 최종 242부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 방법은 SPSS 23.0과 AMO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모형 검증,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운동선수의 자기애 성격은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자아존중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인지된 경기력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고,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인지된 경기력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선수의 자기애 성격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국내 팀 종목 운동선수들이 지니는 자기애 성격의 긍정적인 측면을 증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운동선수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연구를 촉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11.
        201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교사의 진로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 관련 변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자기 관련 변인으로는 예비 교사들에게 중요하다고 판단되어진 외현적 자기애, 자기성찰, 자기통제력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북지역에 위치한 대학교 2개교에 재학 중인 사범대 학생들 225명이었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진로동기에 대한 외현적 자기애의 웅대성/자기칭찬과 주목의 욕구, 자기성찰, 자기통찰력이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동기의 하위 변인인 진로정체감에는 외현적 자기애의 웅대성/자기칭찬과 주목의 욕구, 자기성찰, 자기통제력이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동기의 하위 변인인 진로통찰력에는 외현적 자기애의 웅대성/자기칭찬과 주목의 욕구와 과장된 자기지각, 자기성찰, 자기통제력이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동기의 하위변인인 진로탄력성에는 자기성찰의 자기이해와 타인이해, 자기통제력이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권위주의와 자기애 성향이 학생에 대한 편견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 교사의 공감이 각각의 성향변인(자기애, 권위주의)과 학생에 대한 편견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중․고등학교 교사 196명을 대상으로 학생에 대한 편견 척도, 권위주의 성격 척도, 공감 척도, 자기애 성격장애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자기애 성향과 권위주의 성향이 각각 학생에 대한 편견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회귀분석에서도 각각의 성향이 편견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 권위주의 성향이 자기애 성향보다 편견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공감이 각 성향(권위주의, 자기애)과 학생에 대한 편견 사이를 매개하여 편견 감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애자와 권위주의자가 편견을 갖는 것은 일정 부분 대상에 대한 공감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감하는 정도가 높아지면 편견수준은 낮아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사의 편견이 성향에서 비롯될 수 있다는 문제제기와 학교 내에서 편견을 줄여나가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