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병변 환자에게 집단 작업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개별 작업치료만 받는 환자와 집단 작업치료프로그램을 병행하여 받는 환자들의 상지기능, 인지∙지각기능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집단 작업치료프로그램 적용 효과를 규명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2008년 5월부터 10월까지 전통적 치료방법인 개별작업치료만 받는 뇌병변 환자 70명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주 5회 60분씩 총 40회의 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치료적 활동프로그램이 포함된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8주동안 주4회 개별치료와 주1회 60분씩 집단치료를 실시하였다. 결과 : 개별작업치료만 받는 환자군에 비하여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을 병행하여 받은 환자군이 상지기능, 인지∙지각기능과 일상생활 수행기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결론 : 전통적 치료방법인 개별작업치료만 받는 환자군에 비하여 치료적 활동프로그램이 포함된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을 병행하여 받은 환자들의 치료 효과가 더 높았음을 나타내고 있다. 앞으로 보다 많은 대상으로 집단 작업치료프로그램 개발 및 치료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4,200원
        2.
        200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 To evaluate the cognitive perceptual performance in relation to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Korean elderly women living in Seoul, Pundang, and Kwang-ju county.Method : To evaluate the cognitive perceptual performance, LOTCA-G battery was employed while IADL by Lawton and Brody was used to evaluate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accumulated data.Results : The total cognitive perceptual performance score (LOTCA-G) and the tota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ore (IADL) generally demonstrated a high correlation : (1) From observing the correlation of each items, the ability to use the telephone demonstra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rientation, concentration, visuomotor organization, perception, memory, thinking operation and praxis (2) While shopping demonstra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ink-ing operation, visuomotor organization, orientation and memory (3) Food preparation demon-stra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rientation, thinking operation, visuomotor organization, con-centration, memory and praxis (4) While house keep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ri-entation, memory, visuomotor organization, thinking operation, concentration and perception (5) Laundry demonstra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of the items except visuomotor organization (6) While the mode of transportation demonstra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of the items including orientation and memory (7) Responsibility for one’s own medication demonstra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rientation and thinking operation (8) The ability to handle finances demonstra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rientation and all of the items.Conclusion : Cognitive perceptual performan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kills. In particular, orientation and thinking operation, which are the items of cognitive perceptual performance affected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most. Thus, orientation, perception, visuomotor organization, thinking operation, memory, praxis, concentration and cognitive perceptual performance need to improve not only so elderly women may live independently in the community but so as to offer them a high stand-ard of livin.
        5,800원
        3.
        200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longitudinal study of CVA patients has two parts: the first with 50 subjects and the second with 24 subjects. The first part of study shows that in making a prognosis of the early stage of CVA, the factor of visual neglect is most critical. The second part suggested that I-ADL is a better criteria than ADL for long-term CVA patients. 1) In the first study, the 50 subjects, hospitalized in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Korea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1999, were divided by the result of their MVPT (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 into two groups: one with visual neglect and the other with no visual neglect. In terms of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group with visual neglect significantly scored less that the group with no visual neglect. This result strongly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the factor of visual neglect is closely related with the CVA patients’ progress of ADL. 2) After two years, the follow-up study on remaining 24 clients (4 deceased, 22 unreachable) has been conducted in an attempt to identify any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progress of ADL and I-AD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between two groups: neglect and neglect-free group. At this time, the ADL of both groups have remarkably improved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However, both groups still scored significantly low in I-ADL. 3) These results lead us to the conclusion that only in the early rehabilitation period, the factor of visual neglect is very useful to predict a prognosis of the CVA patients. In addition, it is reasonable to suppose that rehabilitation for the chronic CVA patients should be guided by I-ADL rather than ADL.
        4,800원
        4.
        199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gnitive perceptual performance in relation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who were treated at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the Samsung Medical Center from December 5. 1996 to April 10, 1997. The cognitive perceptual performance was measured by the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LOTCA) and by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to evaluate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Sixty-seven stroke patients were the subjects in this study. Collected data analysis were completed by using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were as follow: 1. Among the subtest of the LOTCA, orientation to time, plain block design, reproduction of puzz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patient's affected side. Orientation to time score was higher with left hemiplegic patients. Plain block design and reproduction puzzle score were higher with right hemiplegic patients. 2. Among the subtests of the MBI, dressing, ambulation, and self-car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ubtests of the LOTCA in order of thinking operation, visuomotor organization, perception and orientation. 3. The result of the cognitive perceptual function affecting the MBI performance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nking opera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he cognitive perceptual perfomance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skills. Also, it is an important factor to functional recovery after stroke. Therefore, accurate evaluation of cognitive perceptual performance after stroke with treatment of each patient's appropriate level should be done simultaneously with rehabilitation treatment to improve patien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skills.
        4,300원
        5.
        199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sensory-perception and it's relation to activi- 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The subjects were who had been treated at the Yonsei University Rehabilitation Hospital from march. 2, 1996 to oct. 10,1996. Sensory-Perception was measured by several test for evaluating wide range of per- ception and sensation(proprioceptipn). These test were MVPT, The Line Bisection Test, Bodyscheme & Body image Test, clinical test for proprioception and FIM(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to evaluate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Visual perception and ADL( total& sub) scores were correlated significantly. 2. ADL(total& sub)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which had been devided with sensory-perceptual function. 3. Th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ing total score and subscore of ADL were visual percept ion and sensory percept ion. From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improvemet of sensory-perceeption besides visual perception in order to enhance ADL and functional level in stroke patients.
        4,000원
        6.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수평-수직 착시(horizontal-vertical illusion)가 지각과 동작 제어 사이의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시각적으로 지각된 결과와 운동수행에서의 결과가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에 위치한 C 대학 체육학과 골프 전공자들로 KPGA와 KLPGA에 소속된 프로선수들 총 16 명을 선정하였다. 실험 과제는 총 두 가지가 실시되었다. 첫 번째는 지각 판단 과제로 수평-수직 착시를 세 가지 조건(200cm, 400cm, 600cm)으로 제시하여 시각적으로 선분의 길이를 확인한 후, 시각이 차단된 상태에서 보행하고 판단된 위치에서 보행을 멈추는 과제를 각 조건에 따라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각각 10회씩 30회를 실시 하였다(총 60회). 두 번째 과제는 골프 퍼팅으로 지각 판단 과제와 동일한 세 가지 조건에서 진행되었다. 두 과제의 수행은 수평-수직 착시 조건에 따른 과제의 항상 오차(constant error: CE)를 통해 분석되었다. 산출된 자료는 2(수평-수직 착시 여부) x 3(착시 조건)에 의한 요인설계로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 with factorial design) 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 수평-수직 착시 여부와 착시 조건에 따른 지각 판단 과제와 골프 퍼팅 거리는 모두 시각적 착시에 의해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착시 현상으로 수평 방향에 비해 수직 방향이 길게 지각되었으며 골프 퍼팅도 실제 길이 보다 길게 수행되었다.
        7.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시각적 착시에 의한 지각된 난이도 변화가 동작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 였다. 방법: 본 연구의 참여자는 정상이거나 교정시력을 보유한 8명(남자 6명, 여자 2명)으로 우세 손이 오른손인 자들로 구성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Verbal 판단과제, 판단수행과제, 그리고 연속수행과제를 수행하였다. 각 과제별로 5cm, 10cm, 20cm로 난이도가 구분이 된 Inverted-T 도형을 무작위로 제시하였다. Verbal 판단과제는 도형을 보여준 뒤 수평선과 수직선 중 어느 선이 더 길어 보이는지 구두로 표현하게 하였다. 판단수행과제는 연구 참여 자가 수평선과 수직선의 거리를 마크가 부착된 막대를 벌려 제시하게 하였으며, 이때 제시된 마크를 촬영하였다. 연속수행과제는 각 도형별 주어진 타겟을 40회 왕복 태핑 하는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총 운동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Verbal 판단과제 수행 결과 참여자 8명 모두 수직선이 길다고 판단하였다. 판단수행과제에서 5명의 참여자 가 수직선이 수평선보다 길다고 판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명의 참여자는 수평선이 수직선보다 길다고 하였다. 연속수행과제에서는 연속적인 움직임 수행 시 착시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난이도 지수가 커질수록 운동시간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Inverted-T 도형은 지각 판단 시 수직선을 긴 것으로 지각하였으나, 연속수행과제 시착시는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시각시스템이 두 개의 경로로 나뉘어 처리되는 것을 시사한다.
        8.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뮬러-라이어 착시 도형을 이용하여 지각과 동작 수행 간에 나타나는 정보획득과정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조준과제와 잡기과제에서 나타난 행동학적 특성을 통해 지각과 동작의 제어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 목적에 부합하기 위하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생 15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실험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지각판단 과제, 잡는 잡기 과제, 조준과제를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해서 안구 움직임 추적장치(EMR-9), 3차원 동작 분석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변인에 대한 지각과 동작 수행의 정보획득과정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반복측정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 및 분석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뮬러-라이어 착시 도형에서는 실제 크기와 다르게 지각 하였을 때 잡기 과제에서 다르게 지각한 것이 동작 수행에 영향을 끼쳤고, 최대그립크기와 같은 요인에서도 다르게 지각한 요인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부터 지각과 동작 제어 기전에서 연합성과 분리성의 개념이 아닌 복측흐름과 배측흐름에서 서로 상호작용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9.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a new behavior planning scheme for autonomous robots, allowing them to handle various objects used in our daily lives. The key idea underlying the proposed scheme is to use affordance concepts that provide a robot with action possibilities triggered by a relation between the robot and objects around it. Specifically, the robot attempts to find the affordances and to determine the most adequate action among them. Through a series of the perception processes, robot motions can be planned and performed to complete assigned tasks. What is of particular importance from the practical point of view is a decision making capability to determine the best choice by comparing the human’s body characteristics and behavioral patterns as criteria with action possibilities as alternatives. For this,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echnique is employed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iteria and the alternatives. Moreover, the alternatives arranged in order of priority through the decision making process enable the robot to have redundant solutions for the assigned task, resulting in flexible motion generation. The effectiveness and validity of the proposed scheme are verified by performing extensive simulations using objects of our daily use.
        10.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착시에 따른 지각과 동작의 제어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지각과 동작의 제어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사용한 시각적 착시는 주변원의 크기에 따라 중심원의 크기가 달라 보이는 에빙하우스 착시 도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오른손잡이 성인 10명이 자극 형태에 따라착시도형과 일반 도형에서 지각판단 과제와 잡기 과제를 수행하였다. 지각판단 과제에서 피험자는 자신이 생각하는 중심원의 크기를 엄지와 검지 손가락의 그립 크기로 나타내도록 하였다. 잡기 과제에서는 연구자의 신호에 의해 중심원을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잡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결과를 살펴보면, 에빙하우스 착시가 지각판단과 잡기 동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착시에 의한 지각적 차이가 실제 잡기 동작에서 그립 크기와 최대 그립 크기의 차이를 유발하였다. 그러나 중심원의 크기가 작게 보이는 착시 도형의 잡기 과제에서는 그립 크기에 대한 착시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각과 동작의 분리성과 연합성을 명확히 밝히는 데에 한계가 있으나, 두 시각 시스템이 서로 상호작용한다는 결과를 지지한다고 할 수 있다.
        11.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섯 개의 분절간 각도가 다른 시각 정보에 대한 시간 타이밍의 지각과 동작의 제어 특성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8명의 여자 성인을 대상으로 컴퓨터 모니터에 제시되는 시각정보를 보면서 J키와 F키를 이용하여 각 분절의 길이에 맞는 시간 타이밍 과제를 수행하였다. 분절간 각도는 10°, 30°, 60° 인 실험 조건에서 각 분절의 길이에 맞는 시간 타이밍의 지각적 특성과 실제 타이밍 반응의 결과를 살펴보았다. 지각적 특성은 제시되는 시각 정보를 어떻게 지각하였는지를 실제 반응 이후 설문을 통해 알아보았으며, 실제 타이밍 반응은 실제 반응 타이밍 시간과 분절의 길이에 따라 정해진 시간 값 간의 상대적 타이밍 오차와 절대적 타이밍 오차를 계산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도 조건에 따라 각도 조건에 따른 시간 타이밍에 대한 지각이 전반적으로 다르게 나타나 시각적 착시가 일어났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실제 동작은 각도 조건에 관계없이 동일한 타이밍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각과 동작의 처리과정의 분리적인 특성을 제시한 Milner와 Goodale(1995)의 지각-동작 가설과 동작 제어시 계획 단계와 다른 온라인 제어에 의한 동작 수정이 이루어진다는 Glover(2002)의 계획-제어 가설과의 관련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