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자전거도로의 인프라 확대에 따라 주로 레저를 중심으로 자전거이용에 대한 관심과 이용이 활성화되고 있는데, 서울의 경우에도 주말에 한강이나 안양천, 중랑천 등을 이용하는 자전거 인구는 2006년도의 530 만 명에서 2010년에는 1,020만 명으로 약 2배 이상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자전거이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자전거사고 역시 증가하고 있는데, 서울시의 경우 사망자수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 동안 108 명에 이르고 부상자도 9,108명이 발생하여 자전거이용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 다. 그러나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자전거교통류에 대한 기본적인 분석조차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다. 자전거교통류는 주행속도 분포가 낮게는 5~10kph에서 높게는 40kph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보행 자보다는 자동차의 교통특성과 유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교통류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주 행속도와 차두시간(Headway)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자전거교통류의 기본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먼 저 이상적인 상태에서의 실험을 통해 자전거속도와 차두시간간의 기본관계를 분석하였다. 실험자는 연령 별로 총 5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최소속도(5kph)와 최대속도(30kph)를 모의주행하면서 형성하는 차두시 간을 측정하였다. 맨 앞의 운전자는 속도계를 통해 각 실험단계별로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맨 앞의 운전자는 시작점에서 출발한 후 특정 지점에서부터 정해진 속도를 유지하도록 하며, 후발 운전자 들은 편안한 상태에서 앞 자전거와의 거리를 유지하며 주행하였다. 자전거의 주행방법은 일반적인 도로주 행과 앞 자전거와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도로주행으로 구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주행속도에 따 른 차두시간 그래프가 제시되었으며, 이러한 관계를 통해 향후 주행속도와 차두시간에 따른 자전거도로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기초자료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2.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차량간의 차두시간(Time Headway)은 도로의 안전성과 서비스수준(LOS), 용량(capacity) 등을 평가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지표중의 하나로 인지되고 있다. 앞차량과 뒷차량의 시간적 간격인 차두시간은 급정 거를 할 경우 교통사고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안전 지표이며, 용량과 서비스수준 역시 도로의 설계 와 소통 등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이다. 이런 이유로 도로설계와 교통운영 분야에서는 차두시간과 차두시 간 분포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도로구간별로 실제 차두시간을 측정하여 분석 함으로써 도로설계와 교통정책 수립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자전거에 대한 차두시간 연구는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자전거인구는 국내에서도 이미 누적기준 1,000만 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기존의 자전거교통이 활성화된 덴마크와 네덜란드뿐만 아니라 미국과 일본 등 대부분의 나라에서 자전거수단분담률이 증가하고 있다. 급증하는 자전거수요에 따라 자전거 교통사고 역시 증가하고 있어, 자전거도로 등의 인프라구축 및 자전거교통류 처리 등의 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나, 정작 기본적인 자전거 차두시간 및 용량분석조차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교통류의 차두시간 분포모형을 현장조사를 통해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상구간은 연속류로 운영되는 강변 자전거도 로를 선정하였으며, 관측된 데이터를 교통량(Low, High)과 분석단위(0.5초, 1초, 3초)에 따라 4가지 분 포(음지수, 전이된 음지수, 정규, 피어슨 Ⅲ)와의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낮은 교통량 수준에서는 음지수분포와 전이된 음지수분포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높은 교통량 수준에서는 음지수분포 와 전이된 음지수분포가 조금씩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2015.03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에서는 19990년대 초반 혼잡, 비혼잡 등 으로 표현 가능한 접근로별 교통조건에 따라 신호현시를 동적으로 조정 가능한 실시간신호제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실시간신호제어시스템 내에서 주기결정 및 신호현시 배분을 위한 핵심 분석지표로 사용되고 있는 변수가 포화도(DS, Degree of Saturation)이다. 포화도는 전체 녹색시간 중 차량 통행에 사용된 시간의 비율을 의미한다. 포화도에 대해 일반적으로 교통 조건이 혼잡해 짐에 따라 포화도도 비례하여 증가할 것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으나 현장자료를 바탕으로 한 정량적인 분석은 현재까지 이루어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조건에 따른 포화도 변화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포화차두시간의 변동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신호제어시스템 COSMOS(Cycle, Offset, Split Model of Seoul)의 운영결과자료를 활용하였다. COSMOS가 운영되었던 포스코사거리의 2 개월에 걸친 운영 결과자료를 사용하였으며(2006.9~2006.10) 해당 자료는 신호주기별/접근로별 자료로 구분되어 있다. 수집자료에 포함된 지표들 중 포화차두시간의 변동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V/g(교통량/녹 색시간)과 DS(Degree of Saturation)의 관계를 분석 하였다. V/g(교통량/녹색시간)은 주어진 신호조건 과 교통조건을 반영한 지표이며, DS는 COSMOS 내부에서 포화교통류율을 도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지 표로서 유효녹색시간당 손실시간을 제외한 실점유시간의 합으로 설명할 수 있다. V/g-DS 관계를 회귀분 석 의하여 선형, 2차, 파워, 대수 형태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4.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is study was done to model the headway distribution of rural two lane roads. METHODS: Time headway data for the various level of traffic volumes was measured in twelve sites. Based on the time headway data, existing seven mathematical models were evaluated and selected by comparing graphically the measured and theoretical distributions and conducting the Chi-square test.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both the Schul model and Composite Model were the most appropriate models of the models. Based on the measured time-headway distributions, this study proposed a new headway distribution model by the shift of the Schul model. CONCLUSIONS : The shifted Schul model has the ability to describe time headway distirbutons for random, intermediate, and constantheadway states.
        4,000원
        5.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통의 흐름에 있어서의 트럭 및 콘테이너 차량 등 대형차량의 혼입은 차체의 크기에 기인한 넓은 공간의 점유 및 승용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차량운행 능력 등의 특성 때문에 도로의 용량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도로의 교통용량산정 시 이러한 대형차량의 혼입에 의한 용량의 감소를 나타내는 척도로서의 승용차 환산계수의 개념은 1965년 도로용량편람에서 처음으로 도입되었으며, 이후 구미의 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배열 형태에 따른 차두시간의 분석을 통해 환산계수의 도출을 시도하였다. 분석을 위한 교통자료의 수집은 통행차량 차종의 대부분이 승용차와 대형차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교적 관측이 용이한 부산시 도시고속도로의 평지구간에서 첨두시간과 비 첨두시간으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환산계수 산정방법은 차두시간의 분석을 통한 미시적 접근방법인바, 동방법의 정확성 및 효율적 검증을 위해서는 거시적 접근 방법에 의한 산정방법과의 비교분석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