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Froude 수 1.0으로 운항하는 길이 약 10m 급 소형 고속선박의 에너지 효율 설계를 위해 선미부에 트림 탭을 부착하였고, 선저 면과의 각도에 따른 항주자세와 저항성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성능 해석은 CFD 해석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축척에 의한 영향을 보기 위해 모형선과 실선에 대해 각각 해석을 수행 후 두 결과로부터 예측된 실선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나선에 대한 해석 결과는 두 결과가 전반적으로 유사하였고, 트림 탭이 부착된 경우 선저 면과의 각도가 동일할 때 자세 변화량이 달라 전 저항의 차이로 이어졌지만 자세에 따른 저항 변화 경향은 유사하였다. 이로부터 축척 효과가 있더라도 저항 저감 경향으로부터 최적 항주자세를 찾을 수 있으나, 트림 탭에 의한 자세 변화와 실선 주위 유동의 특성을 알기 위해서는 실선에 대한 직접적인 해석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4,300원
        2.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oude(Fr) 수의 상사성을 통해 문풀의 크기와 유동 속도를 결정할 경우 축척비에 따라 문풀 내부 유동에 대한 Reynolds(Re)수가 크게 달라진다. 즉 같은 Fr 수를 갖는다 할지라도 축척비에 따라 문풀 내부 유동 특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같은 Fr 수로 상사되었을 때 축척비가 문풀 내부 유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2차원 수치 해석을 수행하였다. 문풀의 크기가 작을 때 문풀에 작용하는 힘은 매우 주기적인 특성을 보이는 반면 문풀의 크기가 커질수록 주기가 일정하지 않은 교란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과도 응답과 통계적 정상 상태의 응답을 구분하기 어려워진다. 주파수 특성에 있어서도 축척비의 제곱근에 반비례하여 나타나는 주파수 특성(f0.5 ~ 2f1 ~ 2f2.0)은 Fr 수의 상사성에 따른 유동 특성으로 볼 수 있으나, 문풀의 크기가 클 때 매우 낮은 주파수(f2.0=0.07)로 문풀 내부에서 매우 강한 와가 발생하는데 이는 축척비에 따른 영향이다.
        4,000원
        3.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low resistance of the bottom pair trawl nets. The bottom pair trawl nets being used in fishing vessel (100G/T, 550ps) was selected as a full-scale net, and 1/10, 1/25 and 1/50 of the model nets were made. Converted into the full-scale net by Tauti’s modeling rule and Kim’s modeling rule, when resistance coefficient k of each net was calculated by substituting into above equation for flow resistance R and wall area of nets S values of each net v. Because resistant coefficient k decreases exponentially according as flow velocity v increases to make k cv-m, c and m values of each net were compared. As a result, as the model was smaller, c and m values was smaller in the two rule into standard of 1/10 model value, decrease degree of 1/25 model was almost same in the two rule, decrease degree of 1/50 model was very big in Tauti’s modeling rule. Therefore, in the result of experiment, because average of c and m values for similarly 1/10 and 1/25 model were given c=4.9 (kgf․s2/m4) and m=0.45, R (kgf) of bottom pair trawl net could show R =4.9Sv1.55 using these values. As in the order of cod-end, wing and bag part for 1/25 and 1/50 model net were removed in turn, measured flow resistance of each, converted into the full-scale, total resistance of the net and the resistance of each part net were calculated. The resistance ratio of each part for total net was not same in 1/25 and 1/50 model each other, but average of two nets was perfectly same area ratio of each part as the wing, bag and cod-end part was 43%, 45% and 12%. However, the resistance of each part divided area of the part, calculated the resistance of per unit area, wing and bag part were not big difference each other, while the resistance of cod-end part was very large.
        4,000원
        4.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지도학의 주요 개념인 투영법과 축척에 관한 미국 학부생들의 이해 상태를 조사하였다. 첫째, 투영법 개념을 테스트하는 인터뷰에서 지도학의 비전문가인 학생들은 두 지점 사이의 대권항로가 지도상에서 직선으로 나타나지 않는 이유에 대해 항공 교통 통제 및 비행기 충돌방지, 높은 산과 같은 장애물 회피, 환승, 코리올리의 힘 때문이라는 네 가지 유형의 반응을 보였다. 본 조사에 참여한 학생들은 투영법에 따른 대권항로의 다양한 표현 형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다. 둘째, 축척에 대해서는 기존 연구에서 널리 알려진 대축척, 소축척 개념의 혼동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오해였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대축척 지도에서 사용된 ‘대’자라는 용어 때문에 대축척 지도가 넓은 지역을 표현한 지도라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축척이라는 개념 자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학생들도 있었다. 이 연구는 투영법과 축척이라는 두 가지의 중요한 지도학적 개념에 대해 학생들의 이해 상태를 실증적으로 조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추후 지도 관련 정보 디자인이나 효과적인 지리교육 전략 개발 등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300원
        5.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low resistance of the bottom trawl net. The bottom trawl net being used in the training ship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was selected as a full-scale net, and model nets such as 1/10, 1/25 and 1/50 of the actual net were made. Total resistance of the net part, the height of the net mouth and the flow resistance of components of the net such as wing, bag and cod-end part was measured, converted into full-scale and compared. Additionally, the model rule of Tauti (1934), which has been most frequently used in fishing net modeling experiments, was applied to interpret flow resistance and scale effect of model experiment was investigated. Presumed that the flow resistance R is R=kSr2 against the flow velocity of each net r, resistance coefficient k was calculated by substituting R, r and S of the net. From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k decreases exponentially when u increases which makes k=cr-m. Whereas m of each net is ranged between 0.13-0.16 and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ets. c does not show big difference in 1/10 and 1/25 model and the value itself was relatively bigger than in 1/50 model. The height of the net mouth of 1/25 and 1/50 model net h decreases exponentially according as r increases to make h=dr-n. Whereas d and n values were almost same in two nets. Additionally, when resistance of cod-end, wing and bag part in 1/25 and 1/50 model nets, both nets showed big resistance in bag part when flow is 1m/s as more than 60%. Wing and cod-end part showed almost same value or wing part had little bit larger value. On the other hand, when reviewing the reasons why both models showed difference in 1/50 model while c value against the resistance coefficient k did not show big difference in 1/10 and 1/25 model, it is inferred that the difference occurred not from material difference but from the difference in net size according to scale. It was judged that they are the scale effects concomitant to the model experiments.
        4,000원
        6.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use and magnitude of scale effect occurring in the model experiments of fishing nets, five pairs of Nylon pyramid nets and one pair of PE ones in which all the two nets paired were equal each other in the factors determining their flow resistance, i. e., the ratio d/l of diameter d to length l of bars, the angle f between two adjacent bars, the attack angle q of nettings to the water flow, and the wall area S of nets, and different in the values of d and l were prepared. Then, the nets were attached to the circular steel frame alternately and their flow resistances with shapes in water were measured on the sea ascribing no turbulent flows by using the tension meter made of a block bearing for the experiment. All the Nylon nets were spreads out easily in water to form a circular cone at relatively low velocity of water and showed the resistance smaller a little in the nets with larger d and l than them with smaller d and l, because the filtration of water through meshes become easier in nets especially with larger l. But PE nettings were not spread out sufficiently on account of their small flexibility and showed higher resistance especially in them with thicker twines. Therefore, the difference in bar length or mesh size and flexibility of nettings between prototype and model nets are regarded to become factors ascribing scale effect. Especially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in mesh size may become large significantly in actual model experiments because the mesh size of model nets is decided at much larger value than that given by scale ratio and so the difference of mesh size between the two nets become much larger than that between nets used in this experiment.
        4,000원
        7.
        2010.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르 영화의 이데올로기는 이제 과감한 컴퓨터그래픽과 화려한 스펙터클 그리고 입체라는 새로운 기술전략으로 관객에게 승부를 걸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데올로기에 봉합되지 않고 예술로서 영화의 책무를 끊임없이 보여주려는 노력 또한 여전히 존재한다. 그러한 노력은 폭로와 전복의 미학을 통해 가능한 것이다. 디지털은 바로 이러한 면에 있어서 이율배반적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관객에게 거칠고 날카로운 그들의 삶을 여과 없이 보여주기 위해 디지털은 자기의 모든 장식적 껍질을 벗어버리게 되는 것이다. 디지털 0과 1의 픽셀미학은 이미지의 아방가르드적 현존을 가능하게 하며 관객의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 내게 한다. ‘국내 디지털 아방가르드 영화 <자본당 선언, 만국의 노동자여 축적하라>는 바로 이러한 진화의 한 축을 이루는 진보적인 국내 실험영화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디지털 아방가르드 영화<자본당 선언, 만국의 노동자여 축적하라>의 숭고미학에 있어서 탈이데올로기적 특징을 리오타르의 이론을 통하여 고찰해 볼 것이다.
        5,500원
        8.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desirable to have an accurate expression on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surface(or interfacial) tension Σ, because most of the interfacial thermodynamic functions can be derived from it. There have been proposed several equations on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surface tension, Σ(T). Among them Eotvos equation and the one modified by Katayama, which is called Katayama equation, for improving accuracies of Eotvos equation close to critical points, have been most well-known. In this article Katayama equation is interpreted on the basis of the cell model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equation. The cell model results in an expression very similar to Katayama equation. This implies that, although Eotvos and Katayama equations were obtained on the basis of experimental results, they have a sound theoretical background. The Katayama equation is also modified with the phase volume replaced with a critical scaling expression. The modified Katayama equation becomes a power-law equation with the exponent slightly different from the value obtained by critical-scaling theory. This implies that Katayama equation can be replaced by a critical-scaling equation which is proven to be accurate.
        4,000원
        9.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록을 보면 우리나라에서도 오래 전부터 대축척지도가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고지도에 관한 연구는 거의 대부분 소축척지도에 집중되어 왔다. 고지도 연구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해서, 대축척지도에 대한 연구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시점이 되었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대축척 실측도가 본격적으로 제작, 사용된 대한제국기의 지도들을 수집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다음 3가지 특징을 발견하였다. 첫째, 대한제국기에 근대적인 대축척지도의 기초가 된 전답도형도가 등장하였다. 둘째, 그 이후로 다종다양한 근대적인 대축척 실측도가 제작되었다. 셋째, 각 지도들의 축척이 다양하고 매우 정밀했다.
        4,500원
        10.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lbrink 본뜨기에서 모우드 라킹 현상과 소모적 궤적의 두 경우에 대한 일반화차원 D 하(n)을 수치 해석적으로 계산하였다. 투닝변수 z=0.03, 소모변수 b=0.9, k 하(d)=0.272313668의 값으로 주어진 소모적 Wilbrink 본뜨기에서 모우드 라킹현상의 경우에는 n~20일 때 D 하(-20) =0.924202의 값을 갖으며, 소모적궤적에서는 D 하(-20) =0.63292와 D 하(+20) =1.89877의 값으로 주어진다. 이때의 값들은 n→∞감에 따라 Circle 본뜨기의 D 하(±∞) 값들과 근사적으로 일치한다.
        4,000원
        11.
        196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stated the variation of the hydrodynamic resistant coefficient K of hand knitting plane model net which was set perpendicularly to the flow of water. The scale of the model net was determined after Tauti's principle for similarity law and experi nent was conducted for measuring the coefficients about two cases of the nets composed of flat knot (reef knot) and trawlers knot(sheet bent). The scale of the model nets which was used in experiment were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and full scale.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in circulating water tank came to the conclusion that; a. The hydrodynamic coefficient of trawler knotted net showed about 0.55 higher than the flat knotted net. b. The value of K coincided approximately with the value estimated by the formulae which H. Miyamoto, M. Nomura and Y. shimozaki calculated from experiment. c. The hydrodynamic coefficient K were not varied when the scale ratio was larger than 1/50, the value of K was increased gradually from 1/60 and suddenly increased at 1/80 and 1/90. Therefore, when we design a model net it is appropriate to restrict the scale ratio to less than 1/50,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velocity of the full scale is 1.3 knot in this experiment.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