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In this study, a model was developed to estimate the concentrations of particulate matter (PM2.5 and PM10) in expressway tunnel sections. METHODS : A statistical model was constructed by collecting data on particulate matter (PM2.5 and PM10), weather, environment, and traffic volume in the tunnel section. The model was developed after accurately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M concentration. RESULTS : A machine learning-based PM concentration estimation model was developed. Three models, namely linear regressi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random forest models, were compared, and the random forest model was proposed as the best model. CONCLUSIONS : The evaluation revealed that the random forest model displayed the least error in the concentration estimation model for (PM2.5 and PM10) in all tunnel section cases. In addition, a practical application plan for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proposed.
        4,000원
        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paper aims to summarize the findings of studies related to driving safety in long tunnels, and based on these findings, evaluate the risk in driving safety in consecutive tunnels. METHODS: After evaluating the risk in consecutive tunnels, it was verified that driving safety depends on the tunnel length of the consecutive tunnels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tunnels. The experimental devices used in this study were a virtual driving simulator and PolyG-I system, measuring, driving speed and among driver's brain waves, theta wave that represents drowsiness or inner conscious states. RESULTS: The results of experiment I showed that, in consecutive tunnels, the variation of speed was higher and the theta wave increased at similar points in comparison with that for long tunnels, demonstrating the risk in consecutive tunnels. The results of experiment II revealed that the variation of speed was the highest in the shortest tunnel (250 m) and the risk of overspeeding was the highest in the longest tunnel (900 m). Additionally, among the consecutive tunnels, the longer tunnel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overall theta wave in the tunnels, increasing the risk of drowsy driving. CONCLUSIONS: Of the three scenarios, it was concluded that safety was highest when the tunnel length was set to 600 m.
        4,000원
        5.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고속도로 터널부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는 일반부와 다른 도로환경으로 인해 대형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구간이라 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고속도로 터널부 사고 감소를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2007년부터 구간과속단속 시스템이 도입·운영되고 있다. 구간과속단속 시스템은 속도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도로구간을 대상으로 차량의 평균주행속도를 측정하여 제한속도 위반여부를 판단하는 시스템이다. 구간과속단속 시스템은 단속 장비가 설치된 지점에서만 속도를 줄이고, 지점 통과 후 다시 가속하는 ‘캥거루 드라이빙’에 따른 사고위험을 완화하고, 교통류 안정화를 통해 사고를 저감하는데 효과적인 교통관리기법으로 알려져 점차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그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연구사례는 그리 많지 않으며, 특히 터널부에서의 효과를 함께 검토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터널부를 포함하여 구간과속단속 시스템이 설치된 고속도로 6개 구간을 대상으로 시스템 설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스템 설치 전·후의 교통사고, 교통량 및 속도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구간과속단속 구간 내에서는 평균속도와 속도 분산이 대부분 감소하여 구간과속단속이 교통류를 보다 안정된 상태로 형성하는데 기여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Empirical Bayes method와 Turning Point Analysis 기법을 적용하여 사고건수의 변화를 비교하고, Proportional Test를 통해 터널 내 사고 특성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구간과속단속 효과를 정량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6.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속도로의 터널구간은 일반구간과는 다른 주행특성(속도, 교통량, 밀도 등)을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고속도로 일반부에서 터널진입 전과 후에 운전자 행태가 변하는데, 가장 대표적인 예가 속도의 감소 현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 중 현재까지 연구의 진행 추세는 도로의 용량, 속도감소 측면의 정량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 위주로 진행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터널의 다양한 여건을 고려할 수 있는 구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설문결과 분석을 통해서 터널구간 속도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정성적 요인들을 알아 보았다. 분석 결과 최근 증가 추세인 장대터널과 관련된 터널 자체의 형상(차로폭, 갓길폭, 터널길이)에 대한 요인이 터널 내부 속도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터널입구 보임여부와 같은 시각적 환경이 속도감소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터널 내부의 조명밝기에 따라 속도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고속도로 터널부 설계관련 기술개발 및 서비스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질 것이라 판단된다.
        4,000원
        7.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천성산지역을 관통하는 경부고속철로 KTX 원효터널 계획구간은 개발과 보전의 문제가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곳이다. 이 지역에 대한 식생구조를 밝히고자 대상지를 중심으로 65개(단위면적 100m2)의 조사구를 설치하고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존식생조사결과 침엽활엽수림과 낙엽활엽수림군락이 전체 대상지의 53%를 차지하였고, 녹지자연도 분석결과 등급 8이 전체의 86.68%를 나타내었다. 식생구조는 대표적인 군락인 침엽활엽수군락, 낙엽활엽수군락, 소나무-떡갈나무군락, 소나무-상수리나무군락, 떡갈나무군락에 대해 종조성을 알아보았다.
        4,000원
        8.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resses occurred in the middle slab at the areas of the emergency passageway in a double-deck tunnel are analyzed when the slab is lifted to replace bearing pads placed between the middle slab and supporting bracket as a maintenance process. The middle slab can be lifted at several different points near the emergency passageway areas and the stresses of the middle slab depend on the lifting points. This study presents the effect of the lifting location of the middle slab on the stress occurrence for the maintenance work of replacing bearing pads under the middle slab near the emergency passageway areas.
        9.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unnel structure is a structure supported by the ground rigidity around the tunnel excavation. Therefore, when tunnel excavation occurs, various problems arise in the tunnel when the ground stiffness is weak. These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because the ground conditions in the design of tunnels are often different from the construction conditions investigated during tunnel construction
        10.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tunnel constructions have been increased in Korea. According to the increment of tunnel constructions, cases of tunnel collapses also have been increased under tunnel construction . Among these tunnel collapses, after a certain amount of time has elapsed due to excessive displacements on slope of tunnel exit or entrance, cases of tunnel collapse have been increased rapidly. Therefore,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in this study to figure out factors effect on the tunnel collapses due to excessive displacements on tunnel exit or entrance slopes. Base on the case study, the fragmental zone of fault and the rainfall were most important factors on the collapse.
        11.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the present, technology of tunnel has developed more significantly than before. Due to the difficulty in assessment of long-term durability, it is more important to persistently maintain the tunnel to save the budget efficiently since its completion. Some aspects of the focused management section were written for some of the road tunnels which was recently inspected by KISTEC according to the special law for safety management of Infrastructure.
        12.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터널은 대규모 단층파쇄대가 존재하여 기존 설계시 강관다단그라우팅 보강공법을 적용하여 보강이 완료된 터널이다. 본 터널굴착공사는 상반굴착 완료후 1년간 중지된후 하반굴착을 위하여 공사안전 확인 계측을 실시한 결과 최대 천단부에서 28cm 이상의 변위와 하반 측벽부에서 융기가 발생되어 원인분석과 추가적인 보강대책을 적용하지 않을 경우 대규모 붕락 발생가능성 높은 터널에 대한 변형원인과 보강대책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13.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re are many cracks in Section Change. We investigated surface and geological environment and so on. To figure out the cause of cracks, we are using FEM. This Study can help developing designation and maintenance about Tunnel.
        14.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지역은 울산시 울주군의 양산단층대를 통과하는 터널(복안터널) 구간으로서 터널 상부에 경부고속도로와 국도 35호선이 위치한다. 기존의 조사결과 양산단층대 통과 터널 구간은 최대 폭 100 m에 이르는 단층비지와 단층각력암이 넓게 분포한다. 연구결과 양산단층 동측부에는 셰일로 대표되는 퇴적암이 분포하는데 이들은 기계적인 파쇄작용이나 열수변질작용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 양산단층 서측부에는 데사이트질응회암이 분포하며, 양산단층의 영향으로 기계적 파쇄작용과 열수변질작용이 진행되었다. 양산단층 구간은 단층운동과 관련된 기계적 파쇄작용과 녹니석화작용, 견운모화작용, 고령석화작용으로 대표되는 열수변질작용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폭 50~130m에 이르는 단층대가 발달한다. 기계적 파쇄작용과 열수변질작용의 특징에 의해 양산단층대는 지질공학적으로 비변질대, 변질대, 변질.파쇄대, 단층비지대 등 4개의 구간으로 구분된다. 이들 구간은 기계적 파쇄작용과 변질작용의 정도 및 양상을 달리하며, 공학적 특성을 달리한다.